중세 미술 3
십자군 전쟁과 이슬람의 부흥 그리고 문명충돌
Ⅲ. 인간의 야욕이 신을 닮았다.
A. 예루살렘을 사수하라
본 연재 글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세미술, 1부 예루살렘을 사수하라 편에서는 3편으로 나누워 연재됩니다. “1부 십자군 전쟁 ”, “2부 이슬람의 부흥”, “3부 문명충돌 ”로 기독교의 광기와 무슬림의 충돌을 통하여, 문명충돌과 미술의 진보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참고로, “2부. 이슬람의 부흥” 편은 본 저의 서양예술은 교합의 산물이다 – 3 (오리엔탈리즘 편)을 참조하세요.
1부. 십자군 전쟁 2부. 이슬람의 부흥 3부. 문명충돌
|
1부. 십자군 전쟁 (CRUSADE)
십자군 전쟁 [crusade] (1095-1270)
십자군 전쟁의 배경
십자군 전쟁의 원인
십자군전쟁의 시작
십자군 전쟁의 전개
클레르몽 교회회의 (Council of Clermont, 1095)
레콩키스타 (Reconquista, 718-1492)
군중 십자군 (1096)
1차 십자군 원정 (1096-99)
니케아(1097) – 도릴라이움(1097) – 안티오키아(1097~1098) –
마라트 안-누만(1098) – 예루살렘(1099) – 아스칼론(1099)
십자군 국가의 성립 (1098-1291)
예루살렘 왕국(Kingdom of Jerusalem)
북쪽의 십자군 국가들
아제르 상귀니스(1119) - 몽기사르(1177) - 이나브(1149) - 하틴(1187)
2차 십자군 원정 (1147-49)
리스본 공방전 (1147) - 다마스쿠스 공방전 (1148)
3차 십자군원정(1189-92)
제4차 십자군원정(1202-4)
5차 십자군원정(1217-21)
6차 십자군원정(1228-40년)
7차 십자군원정(1248-52)
8, 9차 십지군 원정(1252-91)
4차 십자군 원정 (1202-04)
12세기초 유럽은 극히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호엔슈타우펜 왕가가 노르만족의 시칠리아를 접수했고 잉글랜드 왕국은 사자심왕 리처드가 죽은 이후 분쟁을 벌이고 있었고 독일은 내전에 휩싸였다. 1198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십자군을 다시 주장했고 1201년 샹파뉴의 원수인 빌라르두앵의 조프루아를 중심으로 기사들이 베네치아를 방문, 베네치아 공화국과 합의하에 십자군이 결성되었다. 이들은 출발 일자를 1202년 6월 24일로 잡고 베네치아에 모였다.
이슬람 세력을 물리치기 위해 기획되고 예루살렘이 아닌 이슬람교의 본거지인 이집트 공략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종교적·신앙적 동기보다는 세속적, 경제적 목적이 더욱 강하게 작용하여 이슬람이 아닌 같은 기독교국가인 동방 정교회의 비잔티움 제국을 목표로 하였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개입한 이 십자군은 베네치아에서 들여온 배와 장비의 대금을 지불할 수 없게 되자, 베네치아인들을 도와 헝가리의 자라 시를 점령한 다음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했다. 1204년 4월 13일 그들은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고 도시를 약탈했다. 십자군과 베네치아인들은 콘스탄티노플 라틴 제국을 세웠는데, 이 제국은 60년 이상 존속했다. 이는 단일 사건으로 역사상 최대의 문명적 재앙을 낳았다.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는 십자군의 이러한 행동을 비난했지만, 제4차 십자군은 비잔틴 교회와 라틴 교회의 동맹 가능성을 완전히 파괴해버렸으며, 비잔틴 제국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혔다.
제4차 십자군으로 가장 이득을 본 것은 바로 베네치아 공화국이다. 베네치아는 친 베네치아 황제를 세움으로써 동 지중해의 무역권을 완전히 독점할 수 있었다.
비잔티움은 계속 몰락은, 정치적으로 서유럽은 오스만등 이슬람 세력에 대한 방어막을 잃게 되는 것이고 문화적으로도 그리스-로마의 고대 유산이 보존되어 잇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유산들이 파괴되어 엄청난 손실을 가져왔다. 종교적으로는 로마 가톨릭에 의한 동방 정교회의 파괴와 약탈로 기독교계의 대분열은 이제 돌이킬 수 없는 상처로 남게 되었다.
2001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과는 사건이 일어난 지 800주년이 되는 2004년에 양 교회는 표면적으로는 화해하였다.
1. 동지중해의 상업 분쟁
제1차 십자군 당시, 십자군 수송은 베네치아 었으며, 1081년 로베르의 그리스 침략을 저지하는 데 기여하였다. 동로마 황제 알렉시우스 콤네누스는 베네치아 상인들에게 보상의 의미로 동로마 교역에 있어서 많은 특권을 부여하였고, 결과적으로 동로마 상업은 베네치아 독식하게 된다.
이에 반동으로 알렉시우스 콤네누스는 피사에게 비슷한 특권을 주어 견제하였으며, 그의 아들 요한 2세는 제노바에게도 비슷한 권리를 주어 베네치아 상인들의 경쟁자를 늘려놓았다. 이러한 상황은 그동안 동로마 교역을 독점하였던 베네치아들에게는 불만이 팽배하였다.
2. 헝가리 왕국 ‘차라’ 공격
당시 목표는 암암리에 이집트로 잡았는데 십자군은 도항비가 부족한 상황이었고 동방무역의 재패를 노리는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집트 원정을 원하지 않았다. 베네치아의 도제 엔리코 단돌로는 십자군을 설득하여 목표를 헝가리 왕국의 ‘차라’로 변경하게 했다. 이 소식을 접한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같은 기독교도를 공격한 십자군의 행위를 비난하면서 십자군 전체를 파문해 버렸다.
3. 알렉시우스 앙겔루스와 비밀협약
한편, 비잔티움 제국의 알렉시우스 3세의 폭정에서 망명한 황자 알렉시우스 앙겔루스는 십자군의 대표인 보니파치오를 만나 자신과 자신의 아버지 이사키우스 2세의 제위를 다시 되찾기 위한 제안을 했다.
그 제안에는 십자군이 자신의 큰 아버지 알렉시우스 3세를 몰아내고 아버지의 제위를 되찾아 주면 십자군의 이집트 정복을 위한 병사 1만 명과 기사 500명을 제공하겠다고 하고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로마 가톨릭의 관할로 주겠다고 약속했다.
베네치아로서는 동방무역의 독점을 위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점령이 중요했고 십자군은 모두 전쟁과 약탈로 한몫을 챙기기 위해 당시 가장 부유하고 번성한 도시를 약탈할 기회가 되었다. 이미 파문까지 당한 십자군에게 기독교적 대의명분이나 성지(聖地)를 회복한다는 성전(聖戰)의 개념은 없었다.
4. 비잔티움 제국 공격
그들은 동로마 교역 독점권을 위하여 충동질한 결과로, 베네치아는 제4차 십자군을 사주하여 동로마를 공격하도록 하였다. 당시 제4차 십자군을 수송한 것은 전통적으로 동지중해의 제해권을 장악하고 있던 베네치아의 상선이었다. 그들의 요구에 대하여 제4차 십자군은 부탁을 거절할 수 없었고, 보상할 것을 약속하였다. 또한 십자군 수뇌부에게도 동로마를 공략시 많은 전리품을 얻을 수 있다는 매력이 한몫했다. 결국 제4차 십자군은 종교적 열망보다 물욕을 쫓아 같은 기독교 국가를 공격하였다. 가장 더러운 십자군이란 오명을 얻게 된다.
1202년 동로마는 제위 계승 문제로 분열되어 있었다. 1203년 6월 제4차 십자군은 동로마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하여 포위한다. 1203년 7월 콘스탄티노플이 십자군에게 정전을 제의한다. 8월에 알렉시우스 4세와 이사크 2세가 동로마를 공동 통치하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1204년 2월에 황제를 살해한다. 그리고 4월,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플을 점거하고 약탈하고, 라틴제국을 건설하였다. 결과적으로 동로마는 분열되었다.
5. 콘스탄티노플 약탈
첫 번째 공격 (1203)
십자군은 공방전 끝에 도시를 점령하였고, 알렉시우스 4세와의 약속대로 실명한 채 감옥에 있던 이사키우스 2세를 다시 제위에 앉히고 그의 아들 알렉시우스 4세도 공동 황제로 임명하고 물러났으며, 알렉시우스 3세는 도주하였다. 그러나 알렉시우스 4세는 십자군과의 약속을 지킬 수 없었다.
두 번째 약탈 (1204)
베네치아의 도제 엔리코 단돌로는 십자군을 부추겨 아예 비잔티움의 제위에 프랑크족을 앉히하고 주장했다. 마침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폭동이 일어나 알렉시우스, 이사키우스 황제부자가 모두 살해되고 알렉시우스 5세 무르주플루스가 제위에 올랐다.
십자군은 4월 9일 총 공격을 감행하여 도시로 쳐들어갔다. 알렉시우스 5세는 트라키아로 도주하고, 도시는 사흘간 계속 약탈 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행동은 단순히 약탈에서 그치지 않았다. 그들의 약탈은 그리스의 기독교 교회라고 예외가 아니었으며, 창녀를 소피아 대성당의 총주교 좌석에 앉히는 등 신성모독도 자행되었다. 이때 네 마리의 청동 마상도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대성당으로 옮겨졌다.
한편, 교황은 처음 콘스탄티노플 공략을 비판했으나, 추후 타협하였다. 교황이 반대했던 것은 성지로 가지 않는다는 것이었으며, 오히려 라틴제국이 들어서자 환영하였다. 이를 계기로 로마교회의 영역이 동로마 지역으로 확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록 콘스탄티노플 점령 과정에서 신성모독과 3일간의 무차별적 약탈이 자행되었으나, 교황이 이를 굳이 거부할 이유는 없었던 것이다.
6. 라틴 제국성립
몬페라토의 보니파치오는 새 황제가 되려고 했으나 엔리코 단돌로가 반대하여 새로운 황제로는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을 선출되어, 5월 12일 하기아 소피아에서 황제가 되었고 이로써 라틴 제국이 건국하였다. 그리고 테살로니카 왕국, 아테네 공국, 아케아 공국과 그 밖의 나라들이 들어섰다. 베네치아은 동로마의 콘스탄티노플 등 중요 항구를 차지하였다.
7. 비잔티움 망명정부 수립
한편, 동로마 황제의 사위였던 테오도르 라스카리스는 니케아 제국(훗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탈환)을 세웠으며, 알바니아의 산악지역에는 황실의 사생아가 에페이로스 공국을, 콤네누스조의 두 왕자는 흑해 남해안을 포괄하는 트레비존드 제국(가장 오래 존속한 망명 정권, 1461 멸망)을 세웠다. 이 시기부터 동로마는 내전을 1261년 재통합하기까지 겪어야 하였다.
빌라르두앵의 조프루아
니케타스 코니아테스 (Niketas Choniates, 1150 ~ 1213)
라틴 제국(1204~1261),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1세 (1172 – 1205)
몬페라토의 보니파치오
샹파뉴의 원수인 빌라르두앵의 조프루아
비잔티움 제국의 알렉시우스 3세 (1153 – 1211)
알렉시오스 5세 (1205)
알렉시우스 앙겔루스 (알렉시오스 4세 1182 – 1204)
콘스탄티누스 라스카리스 (1204)
이사키우스 2세 (1156 – 1204)
몬페라토의 보니파치오
플랑드르 (Flandre)
발루아
신성로마제국 ( Heiliges Römisches Reich, 神聖羅馬帝國)의 오토 4세(Otto IV, 1175 – 1218)
베네치아 공화국 (Serenissima Repubblica di Venezia)은 8세기부터 1797년까지
헝가리 왕국 ‘차라’ (Magyar Királyság )
불가리아의 칼로얀(1197~1207)
베네치아의 도제 엔리코 단돌로
교황 알렉시우스 4세 (Innocentius PP. III, 1198 ~ 1216)
엔리코 단돌로 (Enrico Dandolo, 1107? – 1205)는 제4차 십자군의 비잔티움 제국의 침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베네치아의 전 역사를 통틀어 가장 놀라운 인물 중 하나로 중세의 베네치아를 빛내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무덤조차 하기아 소피아 성당에 있다. 그러나 그의 애국심과 개인적인 야심으로 인해 비잔티움과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위대한 문화유산이 십자군 약탈자들의 의해 파괴되고 엄청난 문명적 재앙을 겪게 되었다.
빌라르두앵 [Geoffroi de Villehardouin, 1150~ 1213] <콘스탄티노플 정복 Conquête de Constantinople>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 [Innocentius III, 1160~1216]
필리프 [Philipp, 별칭은 슈바벤의 필리프(Philipp von Schwaben). 1178~ 1208] 독일 호엔슈타우펜가의 왕
니카이아 제국 (1204~ 1261, 비잔티움의 부활)
에페이로스 공국 (1204~1479)
트라페주스 제국 (Empire of Trebizond, 1204~1461)
'맑음의 정신병자 > 중세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소년십자군 ) (0) | 2013.03.20 |
---|---|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 알비 십자군 ) (0) | 2013.03.19 |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3차십자군 ) (0) | 2013.03.18 |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북방 십자군 ) (0) | 2013.03.17 |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2차십자군-나) (0) | 201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