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의 정신병자/중세미술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2차십자군-나)

草霧 2013. 3. 17. 00:00

 

 

 

 

 

중세 미술 3

 

십자군 전쟁과 이슬람의 부흥 그리고 문명충돌

 

. 인간의 야욕이 신을 닮았다.

 

A. 예루살렘을 사수하라

 

 

 

 

    

본 연재 글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세미술, 1부 예루살렘을 사수하라 편에서는 3편으로 나누워 연재됩니다. “1부 십자군 전쟁 ”, “2부 이슬람의 부흥”, “3부 문명충돌 로 기독교의 광기와 무슬림의 충돌을 통하여, 문명충돌과 미술의 진보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참고로, “2. 이슬람의 부흥편은 본 저의 서양예술은 교합의 산물이다 3 (오리엔탈리즘 편)을 참조하세요.

 

1. 십자군 전쟁

2. 이슬람의 부흥

3. 문명충돌

 

 

1. 십자군 전쟁 (CRUSADE)

   

 

십자군 전쟁 [crusade] (1096-1291)

1차 십자군원정(1096-1099)

2차 십자군원정(1147-1148)

3차 십자군원정(1189-1192)

4차 십자군원정(1202-1204)

5차 십자군원정(1217-1221)

6차 십자군원정(1228-1240)

7차 십자군원정(1248-1252)

8, 9차 십지군 원정(1252-1291)

 

  

십자군 전쟁의 배경

    

십자군 전쟁의 원인

     

십자군전쟁의 시작

     . 

십자군 전쟁의 전개

      

클레르몽 교회회의 (Council of Clermont, 1095)

      

레콩키스타 (Reconquista, 718-1492)

 

군중 십자군 (1096)

AD 1096년에 로마 카톨릭교회의 광신자인 은자 피에르느 군중십자군을 창설하면서 십자군전쟁을 최초에 시작한 군중 십자군은 예루살렘 탈환을 위한 성전이라는 명분과는 아무 관계 없이 1년 동안 허무하게 방황하다가 12,000명이 모두 다 전멸을 당하는 비극적인 역사적 기록을 남겨 놓았다.

 

1차 십자군 원정 (1096-99)

당시 이슬람의 통치권 정세는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가 패망에 이르고 있었으며 또 페르시아에서는 셀주크 제국의 분열되어 있었다. 십자군원정은 이 틈새를 이용하여 블로뉴 백작 가문의 차남인 고드프루아가 최초로 예루살렘 성벽을 넘어 승리했다. 고드프루아는 예루살렘 왕국을 세워 최초로 예루살렘의 왕이 됐다.

1차 십자군원정대는 주로 프랑크인들이었는데 그들의 잔악한 행위와 식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식인을 자행한 악행에 대하여 역사로 인식되며, 십자군전쟁의 악순환은 처음부터 시작되었다. 

니케아(1097) 도릴라이움(1097) 안티오키아(1097~1098)

 

마라트 안-누만(1098) 예루살렘(1099) 아스칼론(1099)    

   

십자군 국가의 성립 (1098-1291)

      

예루살렘 왕국(Kingdom of Jerusalem) .

 

북쪽의 십자군 국가들

     아제르 상귀니스(1119) - 몽기사르(1177) - 이나브(1149) - 하틴(1187)

 

2차 십자군 원정 (1147-49)

십자군과 무슬림이 공존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었지만, 이슬람측의 반격이 강화되면서 위기가 조성되고 있었다. 이 같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로마교황 베르나르도의 호소로 또 다시 제2차 십자군이 조성됐다. 프랑스의 황제 루이 7세와 독일의 황제 콘라드 3세를 중심으로 십자군은 정국을 회복하는데 실패하고 소아시아와 예루살렘 주변 등 여러 지역에서 고전을 하다가 결국 이슬람군에게 완패하고 말았다.  

 

 

리스본 공방전 (1147) - 다마스쿠스 공방전 (1148)

 

 

리스본 공방전 (1147)

114771일에서 1025일까지 벌어진 전투로 포르투갈이 리스본에 대하여 지배권을 결정적으로 확립하고 리스본의 무어인 지배자들을 물리친 사건이다. 2차 십자군 운동에서 벌어진 기독교 군세의 결정적인 승리 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 전투는 광범위하게 벌어진 레콩키스타(Reconquista)의 중요한 전투중 하나이다.

 

2차 십자군

1144년 에데사 함락은 1145년에서 1146년 교황 에우제니오 3(Eugene III)로 하여금 새로운 십자군을 일으키게 하였다.

 

마르세유(Marseille), 피사(Pisa), 제노바(Genoa)와 같은 지중해 도시들로 하여금 이베리아에서 싸울 것을 독촉했다. 그는 레온의 알폰소 7세의 무어인에 대한 다른 제2차 십자군 부대와 같은 권위를 부여하였다.

    

 

 

 

 

 

 

진로를 바꾼 성과

악천후로 인해 함대는 1147716일 북부 포르투갈 포르투에 정박하였다. 그때 십자군들은 주교 피토에스의 페드로 2(Pedro II Pitões)에게 설득되어 포르투갈의 국왕 알폰소(King Afonso of Portugal)를 만나게 되었다. 1147년 십자군은 포르투갈 왕실을 도와 리스본을 공격과 약탈 물과 포로 등에 관한 권리를 확인하는 조약을 체결하는 데 동의했다.

 

리스본 함락

포르투갈의 용감한 전사이자 귀족 마르팀 모니즈(Martim Moniz)이야기와 같은 전설들이 생겨났다. 리스본은 1255년 포르투갈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 승리는 포르투갈 역사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1492년에 종결되는 레콩키스타 운동을 확대시켰다.

   

페디카타(pedicata)

교황 에우제니오 3, 레온의 알폰소 7(Alfonso VII of León), 포르투갈 국왕 알폰소 1(Afonso I of Portugal), 에스푸그나티오네 릭스보네시(Expugnatione Lyxbonensi), 잉글랜드의 다트머스에서 플랑드르인(Flemish), 프리슬란드인(Frisian), 노르만인(Norman) 잉글랜드인(English), 스코틀랜드인(Scottish)와 쾰른 십자군, 프랑크(Franks), 서포크 총사령관 헨리 그란빌(Henry Glanville), 아에스코트의 아놀드3(Arnold III of Aerschot), 귀스텔레의 크리스티안(Christian of Ghistelles), 도버의 시몬(Simon of Dover), 런던의 앤드루(Andrew of London), 아르첼의 사헤르(Saher of Archelle), 헨리 그란빌, 헤이스팅스의 길버트(Gilbert of Hastings)

 

다마스쿠스 공방전 (1148)

 

 

2차 십자군 운동 기간 중인 1148년 십자군의 결정적인 패배로 끝이 났으며, 십자군의 약화를 불러일으켰다. 1144년 에데사 백작령의 함락으로 야기로 십자군의 주된 목표는 에데사(Edessa)였으나, 예루살렘의 왕 보두앵 3(Baldwin III)와 성전 기사단은 다마스쿠스(Damascus)를 노리고 있었다.

 

내부 분열

아크레 회의에서 십자군의 목표를 에데사에서 다마스쿠스로 바꾸었다. 십자군 전군은 728일 퇴각하였다. 아스칼론(Ascalon)을 공략하는 계획이 세워졌으나, 다마스쿠스의 패배로 인해 생긴 불신감으로 인해 이 계획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호불신은 패배로 인해 대대로 쌓여갔다.

 

십자군의 패배로 인해 다마스쿠스 시에서 십자군의 지원 세력은 사라졌고, 이 공격으로 인해 다마스쿠스는 더 이상 십자군을 신뢰하지 않았고, 1154년 다마스쿠스는 누르 앗 딘의 손에 넘어갔다.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드도 또한 실패자로써 굴욕감을 느끼게 된다.

 

아크레 회의

콘라트(Conrad), 오토(Otto), 오스트리아의 하인리히 2(Henry II of Austria), 후대의 신성로마황제 프리드리히(Frederick) 그리고 몬페라토의 윌리엄 5(William V of Montferrat)는 신성로마제국을 대표했다. 루이(Louis), 알자스의 티에리(Thierry of Alsace)은 프랑스를 대표했다. 예루살렘 왕국에서는 국왕 보두앵(Baldwin), 멜리장드 왕비(Melisende), 총대주교 풀크, 크라온의 로베르(Robert of Craon; 성전 기사단 단장), 프로방스의 레몽 드 푸이(Raymond du Puy de Provence; 몰타 기사단 단장), 히에르제의 마나세(Manasses of Hierges; 예루살렘 총사령관(constable of Jerusalem), 툴롱의 험프리 2(Humphrey II of Toron), 밀리의 필리프(Philip of Milly), 월터 그레니엘(Walter Grenier), 이벨린의 바리산(Barisan of Ibelin)등이 대표를 맡았다. 안티오크, 트리폴리 그리고 구 에데사 백작령에서는 단 한 사람도 참여하지 않았다. 루이와 콘라트는 이 회의에서 다마스쿠스를 공략하기로 하였다. 

 

교황 에우제니오 3(Eugenius III),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드(Bernard of Clairvaux), 독일의 콘라트 3(Conrad III of Germany), 프랑스의 루이 7(Louis VII of France), 예루살렘의 왕 보두앵 3(Baldwin III), 누르 앗 딘(Nur ad-Din),신성로마제국의 프리드리히 1(Frederick I)가 되는 스와비아의 프리드리히(Frederick of Swabia), 고수머리의 볼레수아프 4(Bolesław IV the Curly), 보헤미아의 블라디슬라프 2(Vladislaus II of Bohemia), 장기(Zengi), 맘루크 무인 앗 딘 우누르(Mu'in ad-Din Unur), 우사마흐 이븐 문퀴드(Usamah ibn Munqidh), 우누르는 모술의 사이프 앗딘 가지 1(Saif ad-Din Ghazi I of Mosul)와 알레포의 누르 앗 딘, 티레의 윌리엄(William of Tyre) 

 

 

일부은 다마스쿠스의 부리 왕조가 다스리고 있는데, 이들은 비록 무슬림이기는 하나 장기 왕조에 대항하는 동맹자임을 예루살렘 왕국 인사들에게 지적하며 다마스쿠스를 공략하는 것이 어리석은 일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콘라트, 루이, 그리고 보두앵은 다마스쿠스는 기독교를 위한 성스러운 도시라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