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미술 3
십자군 전쟁과 이슬람의 부흥 그리고 문명충돌
Ⅲ. 인간의 야욕이 신을 닮았다.
A. 예루살렘을 사수하라
본 연재 글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세미술, 1부 예루살렘을 사수하라 편에서는 3편으로 나누워 연재됩니다. “1부 십자군 전쟁 ”, “2부 이슬람의 부흥”, “3부 문명충돌 ”로 기독교의 광기와 무슬림의 충돌을 통하여, 문명충돌과 미술의 진보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참고로, “2부. 이슬람의 부흥” 편은 본 저의 서양예술은 교합의 산물이다 – 3 (오리엔탈리즘 편)을 참조하세요.
1부. 십자군 전쟁 2부. 이슬람의 부흥 3부. 문명충돌
|
1부. 십자군 전쟁 (CRUSADE)
십자군 전쟁 [crusade] (1095-1270)
제1차 십자군원정(1096-1099년)
제2차 십자군원정(1147-1148년)
제3차 십자군원정(1189-1192년)
제4차 십자군원정(1202-1204년)
제5차 십자군원정(1217-1221년)
제6차 십자군원정(1228-1240년)
제7차 십자군원정(1248-1252년)
제8, 9차 십지군 원정(1252-1291년)
십자군 전쟁의 배경
십자군 전쟁의 원인
십자군전쟁의 시작
십자군 전쟁의 전개
클레르몽 교회회의 (Council of Clermont, 1095)
레콩키스타 (Reconquista, 718-1492)
군중 십자군 (1096)
1차 십자군 원정 (1096-99)
니케아(1097) – 도릴라이움(1097) – 안티오키아(1097~1098) –
마라트 안-누만(1098) – 예루살렘(1099) – 아스칼론(1099)
십자군 국가의 성립 (1098-1291)
예루살렘 왕국(Kingdom of Jerusalem)
북쪽의 십자군 국가들
아제르 상귀니(1119) - 몽기사르(1177) - 이나브(1149) - 하틴(1187)
2차 십자군 원정 (1147-49)
리스본 공방전 (1147) - 다마스쿠스 공방전 (1148)
3차 십자군원정(1189-92)
리들리 스콧이 제작한 십자군에 대한 영화인 <Kingdom of Heaven>은 바로 이 제3차 십자군전쟁 당시의 복잡한 상황들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
북방 십자군 (北方十字軍, 발트 십자군 1193 ~ 1236)
덴마크와 스웨덴의 기독교 국왕과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 튜턴 기사단과 같은 독일인 기사단이 발트 해를 둘러싼 지역을 점령한 십자군 활동이다. 후일 러시아의 동방 정교회에 대한 공격도 북방 십자군의 일부로 다루어지기도 한다. 북방 십자군은 발트 해 부근의 리보니아인, 라트갈레인, 에스토니아인, 핀족, 발트 프러시아인 등을 무력으로 굴복시켜 개종시켰다. 1193년 교황 첼레스티노 3세의 요청이 북방 십자군의 공식적인 시작이나, 스웨덴과 신성 로마 제국은 이미 주변의 비기독교 민족에 대한 정복 활동을 하고 있었다.
제2차 십자군의 시작과 함께 작센족, 덴마크, 폴란드인들로 구성된 십자군이 엘베 강과 오데르 강 사이에 있던 폴라비아 슬라브족, 소브르인, 오보트리트인과 같은 슬라브 민족을 공격하였다.(웬드 십자군), 1154년부터 1249년, 1293년에 스웨덴의 십자군이 오늘날의 핀란드 지역을 공격하였다.
1193년 - 1227년에 걸쳐 독일과 덴마크의 십자군이 리보니아인, 라트갈리아인, 에스토니아인을 공격하였다.(리보니아 십자군), 1219년 - 1290년 동안 세미갈리아인과 쿠로니아인들이 공격 받았다. (리보니아 십자군), 발트 프러시아인 침공 (리보니아 십자군), 1236년 - 1316년에 걸쳐 독일의 십자군이 리투아니아와 사모기티아를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리보니아 십자군)
작센족과 덴마크는 북방 십자군 기간 동안 핀족, 발트족, 슬라브족과 싸웠다. 북방 십자군 전쟁은 종교적인 이유 이외에도 주요 거점의 확보와 무역로의 독점을 위한 것이었다.
독일 십자군 (1096)
웬드 십자군 (1147)
1147년 제2차 십자군 기간 동안 오늘날의 독일 북부와 동부에 거주하던 웬드족과 같은 슬라브족에 대한 공격이 진행되었다. 덴마크과 독일에 의해 진행된 이 공격은 16세기까지 간헐적으로 계속되다.
리보니아 십자군(Livländischen Kreuzzug 1198~1290)
12세기에 들어 오늘날의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 해당하는 리보니아에 대한 십자군의 공격이 있었다. 덴마크와 스웨덴으로 대표되는 로마 카톨릭세력과 러시아 공국으로 대표되는 동방 정교회가 이 지역의 개종을 명분으로 공격하였다. 이로 인해 에스토니아의 경우 150년 동안 13번의 침략을 받았다. 브레멘의 주교였던 아달베르트가 1045년 - 1075년에 걸쳐 평화적으로 이 지역의 개종 사업을 벌이고 있었다. 그러나 십자군의 공격으로 인해 이러한 평화는 붕괴되었다.
발트십자군 또는 리보니아 십자군은 북방 십자군의 한 갈래로서 독일과 단마르크가 주축이 되어 동방 식민지 개척을 목적으로 한 군사원정이었다. 리보니아 지역의 식민화 및 그리스도교화을 위하여, 라트비아와 에스티 지역에 걸쳐 일어났으며, 전쟁의 결과 동부 발트해 지역은 그리스도교화 되었다. 1207년 2월 2일, 교회의 봉토였던 마리아나 영토(Terra Mariana)는 신성로마제국의 가신국이 되었으며, 1215년 인노첸시우스 III세(Innocencius III)는 이곳에 성좌를 임명했다. 십자군이 성공한 이후, 도이치인들과 단마르크인들이 점령한 이 지역은 굴리엘모 디 모데나(Guglielmo di Modena)에 의해 6개의 공국으로 분할된다.
리보니아의 정복 이후, 리보니아 지역에 자리잡고 있던 대부분의 이교도들은 표면상으로나마 그리스도교화 되었으며, 비그리스도교 문학과 예배도 16세기 종교개혁 이전까진 자국어로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정복한 영토의 분할은 교황청 특사 굴리엘모에 의해 이루어 졌는데, 그 결과로 리가 대주교령, 쿠를란트 주교령, 도르파트 주교령, 외젤-비크 주교령, 에스티 공국이 성립되었다. 이 영토들은 모두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과 단마르크 국왕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1227년, 리보니아 기사단은 북부 에스티의 모든 단마르크령을 점령하게 되지만, 샤울렌 전투에서 기사단이 전멸함에 따라 1237년, 살아남은 단원들은 프로이센에 주둔하던 도이치 기사단에 통합되어 리보니아 기사단으로 재편성된다. 1238년 6월 7일, 성 게오르기우스 축일 반란에 의해 체결된 스텐스비(Stensby) 조약에 따라 튜튼 기사단은 1346년까지 단마르크 왕 발데마르 II세(Valdemar II)에게 북부 에스티를 반환받았으며 이 영토는 기사단 영토(Ordenstaat)에 포함되어 통치된다.
▲1200년 경, 리보니아 십자군의 주 무대가 된 발트 해 부근의 지도, 북방에 리보니아인들이 위치해 있다.
a. 리보니아인과 라트갈리아인(1198년~1209년) 정복
당시 리보니아인들은 동부 슬라브족인 폴로츠크(Полоцк) 공국에 조공을 바치고 있었으며 때때로 남부의 세미갈리아인들의 침략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1189년, 뛰어난 리보니아인 지도자이자 최초의 그리스도교 개종자이기도 했던 카우포 폰 트라이덴이 리보니아인들에게 세례를 줌으로서 리보니아는 점차 그리스도교화 되어가기 시작했으나, 아직까지 이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1193년, 교황 첼레스티누스 III세(Celestinius III)는 발트해 부근을 목표로 한 북방 십자군을 선포한다. 교황 인노첸시우스 III세(Innocencius III) 1200년, 리보니아를 침공한다. 1202년 이교도의 위협으로 부터 리보니아 교구와 도이치인 무역지구를 보호하고자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을 창설한다. 십자군의 정복활동을 통한 개종사업과 함께 리보니아에서의 도이치인의 지배력이 점점 확대되어갔다. 그리고 1206년, 트라이덴(Treiden) 승리를 거둠에 따라 많은 리보니아인들이 단체개종을 선언했다. 1224년 예르시카는 기사단과 리가 대주교령이 재분할 하게 된다.
b. 에스티인(1208년~1227년) 정복
1208년, 개종한 리보니아인들과 라트갈리아인들과 연합한 십자군이 남부 에스티의 사칼라(Sakala)와 우가우니아(Ugaunia)를 침공하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1227년, 노브고로드(Novgorod) 공화국이 등장과 함께 일부 에스티인들과 동맹을 맺임에 따라, 십자군과 다른 에스티인들 모두 위협감을 느낀다. 또한, 1211년부터 계속 사칼리아(Sackalia)의 장로, 레홀라의 렘비투(Lembitu i? Lehola)가 십자군에 대한 저항운동을 이끌기 시작했다. 그리고 1217년, 성 마테오 축일 전투에서 렘비투가 전사한다. 때마침 1218년, 리가 주교 알베르트가 단마르크에 지원을 요청해왔다. 하지만 단마르크는 북부 에스티 전체를 정복한다.
1219년, 레벨리아(Revelia) 린다니세(Lyndanisse) 전투에서 에스티인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게 되는데, 이 전투에서 현대 단마르크의 국기인 다네브로그(Dannebrog)가 유래했다고 한다. 이후 발데마르는 단마르크 요새(CASTRVM DANORVM)를 건축 한다.
1224년 초, 신성로마황제 프리드리히 II세(Friedrich II.)는 카타니아(Catania)에서 리플란트(Livland), 프로이센(Preussen), 잠란트(Samland) 주변의 영토들을 모두 제국령으로 선언하며 이들 영토를 모두 교회가 아닌 황제의 영토로 편입했다. 이에 1224년 말, 교황 호노리우스 III세(Honorius III)는 굴리엘모 디 모데나를 특사로 임명하여 카타니아, 프로이센, 잠란트 등의 영토가 모두 교회의 관할에 있음을 재확인시켰다.
▲1219년, 린다니세 전투를 묘사한 그림. 하늘에서 날아오는 다네브로그가 보인다.
c. 사레마 섬(Saaremaa, 외젤 섬, 1206년~1261년) 정복
도이치인들로 이루어진 십자군이 본토 에스티를 정리하고 있는 동안, 리가 만 북쪽에 위치한 외젤(사레마) 섬에서 에스티인들은 단마르크-스베리예 함대를 상대로 최후의 저항을 펼치고 있었다. 1220년, 국왕 요한 스베르케르손(Johan Sverkersson)과 린쾨핑(Linkoping) 주교 카를 마그누손(Karl Magnusson)이 이끄는 스베리예군이 서부 에스티의 리훌라(Lihula)와 로탈리아(Rotalia)를 정복하지만 같은해, 외젤인들은 스베리예군의 한 요새를 공격하여 린쾨핑 주교를 포함한 요새의 모든 수비대를 몰살시킨다.
1222년, 단마르크 국왕 발데마르 II세(Valdemar II)가 두번째 원정을 감행했다. 이번 원정에서 발데마르는 거점에 강력한 석조요새를 건설하지만 요새는 포위된지 5일도 채 안되어 항복하고 만다. 1227년,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과 리가 주교령은 다시 사레마에 대한 합동공격을 실시한다. 이 공격으로 공식적으로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이는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1241년, 외젤인들은 외젤-비크 주교령과 리보니아 기사단의 안드레아스 데 벨벤(Andreas de Velven)과 다시 그리스도교를 인정한다는 조약을 체결한다. 1255년에 체결된 조약에서는 토지의 소유권과 상속, 종교의 자율성과 특정종교에 대한 법률을 다루고 있다.
1343년 7월 24일, 푀이데 요새 공격 후, 이에 대한 복수를 위해 1344년 2월, 부르하르트 폰 드라일레벤(Burchard von Dreileben)이 침공한다. 1345년 외젤을 완전히 정복하였으며 외젤은 다시 기사단의 가신으로 종속되었다. 이후 외젤은 1559년, 외젤-비크 주교령의 관할하로 들어간다.
▲1241년, 리보니아 기사단, 외젤-비크 주교령과 외젤인들 간에 체결한 조약. 이 조약에서 외젤인들은 다시 한번 그리스도교 포용을 강요당했다. 스베리예 국립 보관소 소장
d. 쿠로니아인과 세미갈리아인(1219년~1290년) 정복
에스티인들이 패배하게 됨에 따라 십자군은 칼날을 쿠로니아인들과 세미갈리아인들에게 돌리기 시작했다. 1236년, 샤울렌(Schaulen) 전투에서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이 사모기티아인들과 세미갈리아인들에 의해 패배하게 됨에 따라 남은 잔여병력은 1237년, 도이치 기사단의 일부로 편입되어 리보니아 기사단(Livlandischen Orden)이란 이름으로 활동하게 된다. 1260년, 두르베(Durbe) 전투 승리 그러나 1267년, 십자군은 끝내 쿠로니아인들을 굴복시키고 1287년과 1290년에 걸쳐 가로자(Garoza) 전투에서 사모기티아인들을 패퇴시킨다.
이후 정복되지 않은 남부 지역 - 시드라베(Sidrabe), 라크테(Rakte), 케클리스(Ceklis), 메가바(Megava) 등 은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연합하여 십자군에 끝임없이 저항한다.
리플란트 십자군(Livlandischen Kreuzzug)
독일 기사단
형제기사단 리가 주교 알베르트 폰 리가(Albert von Riga)
'리보니아의 왕' 카우포 폰 트라이덴(Kaupo von Treiden), 핀족계 리보니아인 영주
리보니아 주교 테오데리히 폰 트라이덴(Theoderich von Treyden)
하인리히의 '리보니아 연대기'
리보니아 검의 형제단의 종말 (1228년~1236년)
교황 첼레스티노 3세 (Caelestinus PP. III, 1191 - 1198)
덴마크 (Kongeriget Danmark)
스웨덴 (Konungariket Sverige)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 리보니아의 그리스도 기사 수도회 (劍友騎士修道會, Schwertbrüderorden) _ 1202년에 리보니아(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제3대 주교 알브레히트 폰 북스회프덴이 창설한 기사 수도회이며, 1204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정식 인가을 받았다. 리보니아 기사단, 검의 형제 기사단, 도검 기사단, 그리스도의 민병대라고도 불렀다. 1236년 시아울리아이 (사울레) 전투에서 완패당한 후 다음해인 1237년, 독일 기사단에 흡수되었다.
튜턴 기사단
발트족 (baltai))
리보니아인 (Livonia 라트비아)
라트갈레인 (Latgalians)
에스토니아인 (Eesti 에스티)
리투아니아(Lietuva 리에투바), 리투아니아 대공국(Grand Duchy of Lithuania)
핀족 (Finns)
발트 프러시아인
제1차 리가 전투(Schlacht von Riga), 1203년
제1차 코크네제 전투(Schlacht von Koknese), 1205년
키어흐홀름 전투(Schlacht von Kirchholm), 1206년
제1차 트라이덴 전투(Schlacht von Treiden), 1206년
사레마 전투(Schlacht von Saaremaa), 1206년
제2차 코크네제 전투(Schlacht von Koknese), 1208년
제1차 오테파 전투(Schlacht von Otepää), 1208년
예르시카 전투(Schlacht von Jersika), 1209년
제2차 오테파 전투(Schlacht von Otepää), 1210년
벤덴 전투(Schlacht von Wenden), 1210년
위메라 전투(Schlacht von Ümera), 1210년
제2차 트라이덴 전투(Schlacht von Treiden), 1211년
제1차 빌얀디 전투(Schlacht von Viljandi), 1211년
레홀라 전투(Schlacht von Lehola), 1215년
제2차 리가 전투 (Schlacht von Riga), 1215년
제1차 준타간 전투(Schlacht von Soontagan), 1215년
제3차 오테파 전투(Schlacht von Otepää), 1217년
제2차 준타간 전투(Schlacht von Soontagan), 1217년
성 마테오 축일 전투(Schlacht von St. Matthias Tag), 1217년 9월 21일
린다니세 전투(Schlacht von Lyndanisse), 1219년
메조트네 공방전(Belagerung von Mežotne), 1219년
레알 전투(Schlacht von Leal), 1220년
제1차 탈린 공방전(Belagerung von Tallinn), 1221년
죌라 전투(Schlacht von Soela), 1223년
위메라 교량 전투(Schlacht von the Ümera Strombrücke), 1223년
제2차 빌얀디 전투(Schlacht von Viljandi), 1223년
제2차 탈린 공방전(Belagerung von Tallinn), 1223년
타르투 공방전(Belagerung von Tartu), 1224년
무후 전투(Schlacht von Muhu), 1227년
아이츠라우클레 전투(Belagerung von Aizkraukle), 1229년
샤울렌 전투(Schlacht von Schaulen), 1236년
두르베 전투(Schlacht von Durbe), 1260년
테르베테 공방전(Belagerung von Tērvete), 1259년
제1차 테르베테 전투(Schlacht von Tērvete), 1270년
도벨레 공방전(Belagerung von Dobele), 1279년
제2차 테르베테 전투(Schlacht von Tērvete), 1280년
제1차 도벨레 공방전(Belagerung von Dobele), 1281년
제3차 리가 전투(Schlacht von Riga), 1281년
제3차 테르베테 전투(Schlacht von Tērvete), 1281년
가로자 전투(Schlacht von Garoza), 1287년
제2차 도벨레 전투(Schlacht von Dobele), 1290년
'맑음의 정신병자 > 중세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4차십자군) (0) | 2013.03.19 |
---|---|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3차십자군 ) (0) | 2013.03.18 |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2차십자군-나) (0) | 2013.03.17 |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2차십자군-가 ) (0) | 2013.03.17 |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 1차십자군-바 ) (0) | 201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