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의 정신병자/중세미술

중세미술Ⅲ, A.예루살렘을 사수하라 - 1부.십자군 전쟁(2차십자군-가 )

草霧 2013. 3. 17. 00:00

 

 

 

 

중세 미술 3

 

십자군 전쟁과 이슬람의 부흥 그리고 문명충돌 

    

. 인간의 야욕이 신을 닮았다.

 

A. 예루살렘을 사수하라

 

 

 

 

본 연재 글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세미술, 1부 예루살렘을 사수하라 편에서는 3편으로 나누워 연재됩니다. “1부 십자군 전쟁 ”, “2부 이슬람의 부흥”, “3부 문명충돌 로 기독교의 광기와 무슬림의 충돌을 통하여, 문명충돌과 미술의 진보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참고로, “2. 이슬람의 부흥편은 본 저의 서양예술은 교합의 산물이다 3 (오리엔탈리즘 편)을 참조하세요.

 

1. 십자군 전쟁

2. 이슬람의 부흥

3. 문명충돌

 

   

1. 십자군 전쟁 (CRUSADE)

 

  

십자군 전쟁 [crusade] (1095-1270)

1차 십자군원정(1096-1099)

2차 십자군원정(1147-1148)

3차 십자군원정(1189-1192)

4차 십자군원정(1202-1204)

5차 십자군원정(1217-1221)

6차 십자군원정(1228-1240)

7차 십자군원정(1248-1252)

8, 9차 십지군 원정(1252-1291)    

 

십자군 전쟁의 배경

첫째, 로마 카톨릭교회의 세력이 정치적으로 황제들과 군주들 사이에서 점점 약화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십자군전쟁을 고안해낸 것이었다.

 

둘째, 로마 카톨릭교회의 내부적 단결을 보다 더 공고히 하기 위하여 교회의 숙원인 예루살렘 성지회복의 명분으로 십자군전쟁을 주장함으로서 교회 내부에서 교황권의 신장을 노리고 있었다.

 

셋째, 로마 카톨릭교회가 내적으로 동서로 분열되어 있는 역사적 현실을 감안하여 십자군전쟁을 일으킴으로서 흡수통합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으려 했다. 이슬람의 침공을 받을 위험에 처해 있는 동로마제국을 원조한다는 명분으로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은 십자군창설을 주장했던 것이다    

 

십자군 전쟁의 원인

로마 제국이 AD 476년에 동서로 분열되었다. 동서로 분열된 로마제국은 서로마제국과 동로마의 비잔틴제국”, 이렇게 두 개의 제국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하지만 로마 카톨릭교회만은 1054년까지 분열되지 않고 있었으며 동로마제국의 비잔틴교회는 여전히 명목상으로 그대로 서로마 카톨릭교황청의 전통과 통치하에 남아 있었다.

 

11세기 중엽에 이르러서 서로마제국의 내부사정은 매우 복잡했다. 로마의 세속정권의 황제인 하인리히 4세와 그때 당시 로마 카톨릭교회 교황인 우르바누스 2세 사이에 정치와 교권의 관계의 불화로 인하여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의 권위가 로마에서 뿐만 아니라 서유럽전역에서 실추되고 있었다.

 

또한 동로마 비잔틴제국의 사정도 역시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한 상태에 놓여져 있었다. 비잔틴제국은 기독교의 한 축인데 셀주크 투르크의 이슬람세력이 팽창하면서 비잔틴 기독교제국을 위협하고 있었다.

 

다급해진 비잔틴제국의 황제 알렉시우스는 로마 카톨릭교황청 우르바누스 2세 교황에게 긴급한 군대의 지원을 요청했다.

 

동방의 비잔틴 기독교제국으로부터 긴급한 군대의 지원의 요청을 받은 로마교황청의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은 로마와 서유럽에서 실추되고 있는 교황청과 교황의 권위와 위신을 다시 회복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판단했다.    

 

십자군전쟁의 시작

부모로부터 토지와 재산을 상속받을 수 없는 봉건 귀족의 차남 기사들에게 있어서 십자군은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매력적이었다. 막대한 전리품이 그들의 눈앞에서 어른거렸을 것이며 특히 이슬람의 땅을 점령하고 또 성지를 탈환하면 전리품으로 땅을 소유하게 된다는 꿈을 꾸고 있었다.

 

가난한 농부들과 빈곤한 민중들이 그들의 무지함이 십자군에 지원하는 동기가 되고 있었다. 그들은 신의 가호만을 바랄 수밖에 없는 순진한 마음으로 군중심리에 이끌리어 십자군에 동원되고 있었다.

 

십자군전쟁은 정의의 전쟁이며 이교도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하는 것이 신의 지상명령이기 때문에 사명감에 의하여 십자군에 지원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교적 사명의식을 가진 무리들이 유럽 각지에서 모여들었다.

 

십자군으로 나아가 싸우기만 하면 교황이 발행하는 면죄권을 받을 수 있었다. 교황이 발행하는 면죄권을 받기만하면 이 세상에서 지은 모든 죄를 무조건 용서를 받게 돼 죽어서도 천국행이 보장된다고 하는 중세기 기독인들의 공통된 신앙 때문이기도 했다.    

 

십자군 전쟁의 전개

십자군전쟁은 제1차 십자군전쟁에서부터 시작하여 제9차 십자군전쟁까지 186(1096-1291) 동안이나 계속 됐다. 

 

클레르몽 교회회의 (Council of Clermont, 1095)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은 그의 고향이 프랑스이기 때문에 프랑스 출신의 교황이었다. 그는 109511월에 프랑스의 클레르몽에서 긴급종교회의를 소집했다.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이 종교회의를 긴급히 소집한 목적은 오직 십자군을 창설하기 위함이었다.

 

클레르몽 종교회의에 유럽전역에서 300명의 주요 성직자들이 모였다.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은 연설을 통하여 이슬람의 위협을 받고 있는 동로마 비잔틴제국과 비잔틴교회를 신흥 이교도 이슬람의 위협에서부터 구출해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이교도의 손아귀에 떨어져 있는 예루살렘을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되찾아야 한다고 선언했다.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의 열띤 선언에 성직자들과 군중들은 신의 뜻대로, God wills it”을 외치면서 열광적으로 화답했다.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은 그가 프랑스 출신 교황인 것을 과시하여 프랑스 전역을 몸소 순회 하면서 십자군창설과 십자군에 동참할 것을 선동했다. 교황이 몸소 직접 돌아다니면서 십자군창설의 시급함을 선동함으로서 예상치 못한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때 당시 로마교황청은 돈이 필요할 때마다 면죄권을 발행하여 민중들에게 판매하고 있었다. 교황 우르바누스 2세는 약화된 교황권을 회복하기 위하여 십자군을 창설했는데 그 결과는 엉뚱하게 다른 방향에서 큰 호응을 획득했던 것이다.      

 

레콩키스타 (Reconquista, 718-1492)

 

군중 십자군 (1096)

AD 1096년에 로마 카톨릭교회의 광신자인 은자 피에르느 군중십자군을 창설하면서 십자군전쟁을 최초에 시작한 군중 십자군은 예루살렘 탈환을 위한 성전이라는 명분과는 아무 관계 없이 1년 동안 허무하게 방황하다가 12,000명이 모두 다 전멸을 당하는 비극적인 역사적 기록을 남겨 놓았다. 

 

1차 십자군 원정 (1096-99)

당시 이슬람의 통치권 정세는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가 패망에 이르고 있었으며 또 페르시아에서는 셀주크 제국의 분열되어 있었다. 십자군원정은 이 틈새를 이용하여 블로뉴 백작 가문의 차남인 고드프루아가 최초로 예루살렘 성벽을 넘어 승리했다. 고드프루아는 예루살렘 왕국을 세워 최초로 예루살렘의 왕이 됐다.

 

1차 십자군원정대는 주로 프랑크인들이었는데 그들의 잔악한 행위와 식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식인을 자행한 악행으로, 십자군전쟁의 악순환은 처음부터 시작되었다.    

니케아(1097) 도릴라이움(1097) 안티오키아(1097~1098)

마라트 안-누만(1098) 예루살렘(1099) 아스칼론(1099)

십자군 국가의 성립 (1098-1291)

레반트 지역

키프로스 섬

그리스 지역

프로이센

 

예루살렘 왕국(Kingdom of Jerusalem)_ 1차 십자군 원정이 남긴 유산

고드프루아 (성묘의 수호자) ~ 보두앵 1~ 1187년 예루살렘이 살라흐 앗 딘에게 함락

이사벨 1~ 앙리 2~ 1291년 아크레 함락 (맘루쿠 왕조)

멸망 이후에도 키프로스, 나폴리, 오스트리아, 사보이, 스페인의 군주들이 명의 국왕을 칭하였다  

 

 

북쪽의 십자군 국가들 _ 안티오크 공작령 (Principality of Antioch ), 에데사 백작령 (Count of Edessa), 트리폴리 백작령 (Count of Tripoli), 키프로스 왕국

아제르 상귀니스(1119) - 몽기사르(1177) - 이나브(1149) - 하틴(1187)

     

2차 십자군 원정 (1147-49)

 

비잔틴 제국과 셀주크 투르크 전쟁

1차 십자군의 성공은 셀주크 투르크에게 있어서는 적지 않은 타격이 되었다. 그리고 동로마는 전열을 다시 정비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동안 동로마와 셀주크 투르크 사이의 전쟁에서 동로마는 상당히 밀리고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십자군의 공격으로 지중해 연안의 거점과 예루살렘을 상실한 셀주크 투르크는 동로마와의 전쟁에서도 타격의 영향이 미쳤다

 

그 영향은 1116년에 필로멜리온 전투에서 동로마에 패배했으며, 1117년에는 동로마에게 시리아를 빼앗긴다. 이후 셀주크 투르크는 그 피해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1124년에는 베네치아가 이집트로부터 티루스항을 탈환함으로서 지중해 재해권을 장악했으며, 1134년에는 소아시아의 대부분을 동로마에게 빼앗긴다. 동로마는 그 기세를 몰아서 킬리키아·시리아 원정을 감행하였다.

 

 

루이 7, 프랑스 카페 왕조의 왕(1137~1180 재위), 별칭은 소()루이(Louis le Jeune), 예로부터 사이가 나빴던 잉글랜드의 헨리 2세와 계속 싸웠으며 서로에 대해 끊임없이 음모를 꾸몄다. 2차 십자군에 참여하기도 했다(1147~49). 동판화 

  

중동의 소강상태와 불안한 공존

당분간 중동에서는 십자군 국가 등에 거주하는 기독교인과 군소의 도시 등에 거주하는 무슬림이 공존하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었지만, 하지만 1140년대를 넘어가면서 양상이 바뀐다. 셀주크 투르크가 제1차 십자군에게 그리도 쉽게 패배했던 것은 이슬람세계 내부의 분열 때문이었다.

 

 

교황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십자군 원정 중 가장 성과가 없었던 십자군이라고 말해도 타당할 것이다.

 

십자군은 아무 성과도 얻지 못하고 돌아갔으나, 대립하던 다마스쿠스와 누르 앗 딘을 협력하게 만들어, 후에 누르 앗 딘이 다마스쿠스를 얻어 시리아를 통일하게 되어 이슬람 세력의 결집을 간접적으로 도와주게 되었다.

 

토착화된 십자군 국가는 무슬림 중에서 동맹자였던 다마스쿠스를 잃었고, 이전부터 서양인과는 타협하지 않았던 누르 앗 딘이 시리아 통일에 의한 압박을 받으면서 세력을 잃어간다.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리스본을 탈취하여 레콩키스타에 공헌했다.

 

슬라브인에 대한 십자군은 이후로도 계속되었다.

서양에서는 이 실패에 낙담하여, 에우제니오 3세와 베르나르도가 새로운 십자군 결성을 호소하지만 아무도 응하는 자가 없었다.

 

장기왕조 등장

 

 

하지만 114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슬람세계, 특히 셀주크 투르크는 전열을 가다듬고 반격에 나선다. 이슬람 측에서 영웅 이마드 앗 딘 장기가 등장하여 1141년에는 에뎃사를 점령하면서 예루살렘을 위협했으며, 1144년에는 알렙포(모술) 태수가 에뎃사 백령을 공격하여 멸망시킨다. 1146년에는 시리아의 아크베크조가 십자군과 전투를 시작한다. , 1차 십자군이 점령지 전역에서 셀주크 투르크의 공격이 시작된 것이다.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Eleanor of Aquitaine>, 왼쪽의 그림은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공주와 프랑스의 루이 7세의 결혼식(1137) 장면이다. 오른쪽 그림은 1147년에 일어난 2차 십자군 전쟁에 출정하기 위해서 배를 타고 떠나는 장면이다.

 

에뎃사 백령 멸망(1144) 

에데사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에 교황 유게니우스 3세는 제2차 십자군을 소집했다. 당시의 명성 높은 설교가였던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는 교황의 부탁을 받고 유럽 각지에서 십자군 참가를 권유하여, 1147년 프랑스왕 루이 7세와 독일왕 콘라트 3세가 제2차 십자군이 1148년 봄 예루살렘에서 연합해 5만 명의 병력으로 다마스쿠스 북쪽을 공격했다. 그들은 장기의 후계자 누레딘이 이끄는 군대에게 밀려 결국 후퇴했으며, 2차 십자군 원정은 치욕스런 패배로 끝났다.

 

아코 회담과 다마스쿠스 공성전(1147-1148), 티레의 기욤의 기록에 근거한 그림, 2차 십자군 당시 일어난 아코 회담 장면과 무장한 십자군 기사들이 무슬림이 점령한 다마스쿠스 성을 향해 진격하고 있다.    

  

다마스쿠스 공방전 (1148)

십자군은 아무 성과도 얻지 못하고 돌아갔으나, 대립하던 다마스쿠스와 누르 앗 딘을 협력하게 만들어, 후에 누르 앗 딘이 다마스쿠스를 얻어 시리아를 통일하게 되어 이슬람 세력의 결집을 간접적으로 도와주게 되었다.

 

 

 

 

아크라 회의

토착화된 십자군 국가는 무슬림 중에서 동맹자였던 다마스쿠스를 잃었고, 이전부터 서양인과는 타협하지 않았던 누르 앗 딘이 시리아 통일에 의한 압박을 받으면서 세력을 잃어간다.

 

에데사 백국의 재건 실패, 이슬람과 십자군 국가의 긴장 고조, 비잔티움과 셀주크의 평화협정

 

리스본 공반전(1147)

또한,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리스본을 탈취하여 레콩키스타에 공헌했다. 슬라브인에 대한 십자군은 이후로도 계속되었다. 서양에서는 이 실패에 낙담하여, 에우제니오 3세와 베르나르도가 새로운 십자군 결성을 호소하지만 아무도 응하는 자가 없었다. 또 현지의 십자군 국가들의 참가는 없었다.

    

대립과 전투'누레딘'

에데사 백국 점령

'장기''장기 왕조' _ 이마드 앗딘 장기, 누르 앗딘 마흐무드

쉬제의 반대

'베르나르두스'

'유게니우스 3'(Eugenius PP. III, 1145 1153)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 (1090 1153) _ 시토회 창립, 양봉가·양초제작자·모래채취장·일꾼의 수호 성인

 

'엘레오노르’(1122 ~ 1204, Eleanor of Aquitaine)

서유럽의 중세 전성기 시절 가장 부유하고, 가장 큰 권력을 지녔던 여성이다. 프랑스 왕 루이 7세의 왕비, 잉글랜드 왕 헨리 2세의 왕비, 헨리 2세의 아들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와 존의 모후. 12세기 낭만문학의 중심지 푸아티에 지방의 영향을 받아 음유시인과 문학자들의 후원자였고, 남프랑스의 화려하고 세련된 궁정 문화를 프랑스와 잉글랜드에 전파한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십자군 실패와 루이 7세와의 갈등

푸아티에 연애 법정

프랑스의 루이 7(일명 소() 루이, Louis le Jeune, 1120 1180)

독일왕 콘라트 3( 호엔슈타우펜 왕조, 1138~1152)

슈바벤 공작 프리드리히(훗날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Friedrich I, 1152 1190, 일명 바르바로사로 불리었다.)

예루살렘의 보두앵 3

예루살렘의 아모리 1세 또는 아말릭 1(1136 1174)

비잔틴 제국의 마누엘 1세 콤네누스 (Μανουήλ Α' Κομνηνός, 1143 1180)의 반대

시칠리아 왕 루지에로 2세와 대립 (1095 ~ 1154)

1148년 다마스쿠스의 지방정권 부리 왕조 공격

북방십자군

 

레콩키스타(Reconquista) 

718년부터 1492년까지, 7세기 반에 걸쳐서 이베리아 반도 북부의 로마 가톨릭 왕국들이 이베리아 반도 남부의 이슬람 국가를 축출하고 이베리아 반도를 회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재정복"'국토 회복 운동'으로 이는 우마이야 왕조의 이베리아 정복에 의해 상실하였던 기독교 국가의 영토를 회복하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722년 코바동가 전투에서부터 시작, 1249년에 아폰수 3세가 알가르브를 점령, 1492년에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의 스페인 연합왕국이 그라나다를 정복하여 레콘키스타는 마무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