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게 세상구경을 물어본다./국민의 의무는 재미다.

신사참배 앞장 선 친일 거물 목사, 김길창 (金吉昌)

草霧 2013. 12. 3. 11:29

 

 

 

종교

    

 

김길창 (金吉昌, 18921977)

  

 

 

  

신사참배 앞장 선 친일 거물 목사

    

 

 

    

 

19331934년 조선기독교연합회 회장

1941년 이후 기독교 황민화운동 추진단체의 수치로 활약

 

1892 - 경남 고성 출생

1917 - 경남성경학교 졸업

1923 - 평양신학교 졸업

1924 - 목사 안수

1924~1929 - 거창읍교회, 부산영도교회 등에 전임

1929~1932 - 동경 유학생교회

1933~1934 - 조선기독교연합회 회장

1938 - 장로교 제 27회 총회에서 부회장으로 각 노회 대표들을 이끌고 평양신사에 참배

1949 - 반민특위에 체포, 3개월 만인 6월 기소유예로 석방

그 이후 - 남성여중고 설립, 동아대학교 설립에 참여, 경남노회장, 부산기독교연합회 회장, 한국기독연합회 회장

1977 - 사망

 

김길창(金吉昌, 1892년 11월 11일 ~ 1977년)은 한국장로교 목사이다. 호는 순산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경상남도 고성 출생으로 경남성경학교와 평양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1923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목사 안수를 받아 목회자가 되었다. 부산부거창군 등 경남 지역에서 목회 활동을 하다가, 도쿄의 유학생 교회를 거쳐 1933년 부산 항서교회에 부임하여 사망할 때까지 이 곳에서 재직했다.

 

1933년 조선기독교연합회 회장이 되는 등 기독교계의 거물급 인사로 활동하였는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신사참배 강요에 동조해 솔선한 일이 있다. 1938년 장로교 교단이 신사참배를 결의할 때 장로교총회 부회장으로서 이 결정을 이끌었고, 가결 직후 노회 임원들을 인솔해 그 길로 평양신사를 참배했다. 기독교계 지도자를 대표하여 도일한 뒤 신궁을 직접 참배하기도 했다. 경남 장로계 황민화의 선봉장이었다는 평가가 있다.

 

특히 신사참배를 찬성하거나 실천한 데에서 그치지 않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밀고했다는 혐의까지 받아 광복 후인 1949년 반민족행위처벌법에 의해 체포되었다. 반민특위 기소의견서에는 김길창이 교인의 황민화를 주도적으로 추진했고, 신사참배를 통한 민족정신 말살에 앞장섰으며 경찰과 결탁하여 신사참배 반대 목사와 교인을 탄압했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김길창은 3·1 운동에 참가한 민족대표 33인에 대해 교회를 사리사욕에 이용하다가 실패한 것이라고 평가하며 비하하기도 했다.

 

반민특위에서 기소유예로 풀려나온 뒤 여러 학교 재단의 설립과 운영에 참여하며 교육계에서 활동했다. 부산 경성대학교의 전신이 된 경남사범대숙을 1955년 설립해 1966년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으로 발전시킨 것[2] 이 대표적이며, 부산신학교남성여자고등학교도 창립했다. 일제 말기의 행적에 대해서는 회고록 《말씀따라 한평생》을 통해 교회를 살리기 위해 불가피한 일이었다고 해명하였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의 기타 부문과, 2008년 공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의 종교 부문에 선정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4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항서교회
  • 경성대학교
  • 부산신학교
  • 남성여자고등학교
  • 11일 고 김길창 목사 추모행사”, 《울산매일신문》, 2007
  •  

     

     

     

    고희(古稀) 넘어 새장가 든 화제의 주인공

    기사 관련 사진1962년 6, 71세의 목사가 자신의 아들이나 자부보다 나이가 어린 34세의 젊은 여성, 그것도 자신이 목회하는 교회의 전도사를 지낸 인물과 재혼하여 세간에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이 화제의 주인공이 바로 김길창 목사다. 그는 목사로서 뿐만 아니라 세상에 교육가로서도 잘 알려진 인물이다. 그가 가진 직위로 보아서 영적인 지도자요, 지적인 지도자 행세를 하였음이 분명하다.

     

    그가 교계에서나 교육계에서 일반 목사로서는 갖기 어려운 화려한 경력과 '업적'을 가지고 있음은 아무도 부인할 수 없다. 인간의 가치를 무엇을 이룩하였는가 로만 평가한다면 그는 분명히 대단한 '업적'을 가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떻게 그것을 이룩하였는가가 영적 지도자나 교육자에게는 더 중요하며, 평가에 반드시 이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그는 과연어떤 인물인가.

     

    자서전 {말씀 따라 한평생}에 따르면, 김길창은 18921111일 경남고성읍에서 한약방을 경영하던 아버지 김영수와 어머니 박순이의 82녀 중,아들로는 제일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경남 창원의 청계서당에서 한문을 배웠고, 16세 때 대구 계성학교에 입학하였으나 학비가 중단되어 일년을 넘기지 못하고 중퇴하였다.

     

    그 후 창원, 칠원 등지에서 선교사 밑에 조사로 있으면서 1917년 경남성경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여 이듬해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가 선교사 밑에 조사로 있다가 그 일을 그만두고 농업경영과 상업에 뛰어들었던 일이 있었는데 그는 이 일을 이렇게 설명한다.

     

    "조사 일에 대한 회의도 일어났다. 조사생활만 하다가는 평생에 육적 호강을 바라볼 수도 없고, 영적인 주의 사업을 한다지만, 영적 사업도 역시 목사가 되지 않고는 중구난방이 되고 말겠다는 생각이었다." 그리하여 고민 끝에 육적 사업의 길로 나갈 것을 결정하고 진영에서 30마지기 땅을 빌어 농사를 하였으나 실패하고, 다시 콩 장사에 손을 대었으나 콩 값의 폭락으로 빚만 지게 되었다.

     

    , 그가 바라던 '육적 호강'의 길이 막히자 목사가 되는 길을 택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마산에 있는 호주선교부의 서기로 2년간 일하다가 다시 조사로 나가, 27세 되던 해인 1918년부터 평양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게 되었다.

     

    그는 선교부에 서기로 있을 때의 심경을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다. 내가 2년 동안 마산에 있는 호주선교부의 서기로 있으면서 배운 점도 많았고 일한 것도 적지 않았으나, 민족적인 울분에 어쩌면 2년을 더 못 넘겼는지도 모른다.

     

    내가 선교사의 흉을 보는 것 같지만 당시 내가 선교사와 여행 차 기차를 탈 때도 선교사는 1등 칸으로 가고 나는 3등 열차에 앉았다간 하차시에 만나서 지방교회의 예배를 맡았어야만 했었다. 그런데 이때만 해도 사회와 축도는 선교사가 하고 나는 설교만을 했으니 말하자면 어렵고 수고로운 것은 내가 하는데도 3등 민족의 대우를 받아야만 하는 데에 섭섭함을 금치 못했다.

     

    그는 자긍심과 공명심이 대단한 인물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이 점이 그가1930년대 일제의 황민화정책에 적극협력하게 된 요인이 되었던 것 같다. 해방 후인 1949년 김길창이 반민특위에 체포되었을 때 증인으로 불려갔던 윤인구의 다음과 같은 증언도 이를 뒷받침한다.

     

        

     

     

    (조사관 심륜):김길창의 성격을 잘 아는가?

     

    (증인 윤인구):말하자면 심히 날뛰고 출중하려고 애쓰고 독선적으로 활약하는 성질이고, 이런 인물은 탄압하고 회유하는 일경의 술책에는 응당 이용되었을 것이고, 공명심에 끌려 과한 언행이 있었겠습니다.

        

     

    3·1 운동과 민족대표 모독

    그는 신학생으로 있을 때 일어난 3·1 운동에 대해서도 소극적이었던 것 같다. 다만 당시 같은 신학생이던 김의창이 우편으로 보내 온 독립신문을 친한 연분을 찾아 몇 장 나누어 주다가 마산서에서 10일간 구류를 살았고, 그 후 1926년에도 '무기 은닉 및 반일 선동' 혐의로 7일간 유치장에 갇혔으나 무혐의로 풀려났다. 그는 이 일을 자랑스럽게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나라 안팎으로 뒤숭숭한 정황을 잘 알고 있는 나였기에 이토록 억울한 철장의 생활을 통하여 내 나름대로의 애국을 배우고 인내를 기르며 망명투사들의 불타는 민족혼을 몸소 체험할 기회가 된 것이다.과연 이것이 그 때 그의 심정이었을까?

     

    반민특위 기소의견서에 따르면

    " 교인의 황민화운동 추진단체의 수뇌 인물 황민화운동, 신사참배운동, 민족정신 말살운동이 현저 신사참배에 반대하는 목사 교인을 일경과 결탁하여 탄압케 함"이라는 범죄 사실에 덧붙여, "뿐만 아니라 기미년 3·1 운동에 언급하여 3·1 운동을 쓸데없는 딴 장난하다가 실패했다고 하며, 33인 중의 기독교 대표자에 대하여 교회를 사욕에 이용 할려다가 실패하고 말았다고 했으니 이는 위대한 선열에 대한 큰모독일 것이다. 조국 광복에 종교계의 공헌이 크다고 하면 할수록 그에 따라본 피고자의 죄적(罪跡)은 현저할 것이다"라고 기소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김길창은 피의자 신문에서 다음과 같이 변명하고 있다.

        

     

     

     

     

     

    (조사관 심륜) : 기미년 독립운동에 대하여 33인을 모욕한 사실이 있는가?

     

    (피의자 김길창) : 기독교를 이용하여 33인 중 신앙을 떠나서 조선 독립 운동을 한 것은 종교적 입장으로 보아서 오로지 기독교 자체를 모독한 것이라고 생각하였지 33인을 모욕한 것은 아니올시다.

     

    : 종교적 입장이든 무슨 입장이든 조국이 있어야 민족이 있고 민족이 있어야 종교가 있는데 종교적 입장만 주창하는 것이 민족의 본의로 생각하는가?

     

    : 물론 종교적으로도 민족적으로도 조국이 광복함으로써 모든 종교가 윤택해짐은 사실이오나, 독립운동을 방해나 또는 비방한 언사가 아니라 종교적 진리를 말한 것이요, 33인 중 신앙을 떠난 사람 몇몇이 공산주의자들이 종교의 본의를 망각하고 기독교를 이용하여 기독교 자체를 모독하였단 말이올시다.

     

    : 우리 독립운동 열사들은 교회가 가장 안정한 장소라고 교회를 이용하여 독립운동 또는 행동을 시작하였고, 기타 열사들은 공산주의든 민족주의든 살인방화든 모든 역량을 다해서 오직 우리 조국 광복만 위하여 투쟁한 것이지 공산주의자라고 말하는 것이 모독이 아닌가?

     

    : 대단히 죄송합니다. 본인도 똑같이 생각합니다.

     

     

     

    여기서3·1 운동을 비방한 사실에 대해서 자신을 변호하려다가 조사관의 질책을 듣고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후 반민특위 특별검찰부에서 실시된 신문에서는 아예 그러한 사실조차 없다고 잡아떼면서 심지어 증인들이 모두 거짓으로 증인했다고 주장하였다.

     

        

     

     

     

     

    (특별검찰관 곽상훈) : 증인 김금순, () 한익동, 동 김만일, 동 윤인구, 동 박인순, 동 김상순, 동 권세권 등 피의자가 신사참배는 국민된 도리요, 국가 의식인 고로 적극 찬양한 사실과 신사참배 반대교인을 경찰에 밀고한 사실및 조선민족성을 망각하고 황국화하기 위하여 일본 기독교와 합류 공작한 사실, 친일적 언사 황민화운동 강연, 기미년 3·1 운동은 쓸데없는 장난이었다는 말의 행위를 입증하고 있는데 여하?

     

    (진술자 김길창) : 그런 증언은 모두가 거짓이올시다.

     

        

     

    위세 당당한 친일 거물 목사

    그는 1924년 목사안수를 받은 후 거창읍교회, 부산 영도교회 등에 전임하였다. 그러면서 교계 연합 사업에도 참여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것도 사실은 자신의 공명심을 채우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나의 영도교회 생활에 이렇다 할 큰 보람의 업적은 없어도 격리된 섬 의식의 열등감을 없애기 위하여 거의 날마나 청년사업 내지는 연합 사업을 위해 뭍을 찾아 활동을 전개하였다"는 회고에서도 입증된다.

     

    어떻든 이런 역성(열성?)이 인정을 받았던지 연합공의회는 그에게 1929년부터 1932년까지 동경 유학생교회를 맡겼다. 4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돌아와서는 잠깐 밀양읍 교회를 맡았지만, 그는 "아무래도 이 곳 군소재지가 나의 큰 꿈을 성취하기에는 너무나도 협소하므로 큰 도시로 진출할 기회만을 기다리며 기도"하고 있었다.

     

    193334년에 조선기독교연합회 회장을 맡게 되였다. '진출'의 소원이 일단은 이루어진 셈이다. 그러나 그 '진출'은 곧바로 '친일'로 연결된다.

     

    , 장로교에서 신사참배를 결의한 1938년 제27회 총회에서는 부회장으로서 각 노회 대표들을 이끌고 평양신사에 참배하였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그는 일제에 '순응'하는 길을 걷는다.

     

    앞에서 인용한 반민특위의 기소의견서는 "피의자 김길창은 목사로서 쇼와 16(1941) 이래 해방까지, 안으로는 항서교회에서 신사참배 추진, 황민화운동, 민족정신 말살을 추진하고, 밖으로는 조선기독교와 일본전시 기독교와의 지도이념 합치에 중심적 역할을 했으며, 일본 목사 가가와(賀川豊彦)와 도미타(富田滿) 등의 안내역이 되어 한국기독교인의 황민화운동의 추진단체의 수뇌 간부로서 활약하고, 소위신사참배 문제가 대두된 이후는 경남교구장으로서 적극적으로 신사참배를 주창하고 이에 반대하는 목사 교인을, 혹은 일본경찰과 결탁하여 탄압케 하였으니"라고 고발하였다.

     

    한익동 목사가 반민특위에서 "김길창은 기독교 신도들에게 신사 참배하라는 총독부 지시가 있을 적에도 솔선적으로 신도들에게 추진 공작을 하고 보통인 보다 배 이상의 활동을 하는 자이오니 주로 고등계 형사 주임들과 교제가 빈번하였으니 이면에서 공작은 여하하였는지 미지이오나 신사참배 반대한 목사와 남녀 신도들이 구금당하였으니 김길창의 밀고 소치의 행위인가도 능히 추찰됩니다.

     

    본인은 어느 날 조용한 좌석에서 김길창에게 대하야 '일제에 너무 아부치 말고 경찰과 과도히 친근하지 말라'는 충고를 하였더니 답 왈 '경찰을 배척하면 사업도 못하고 앞으로 살아나갈 수가 없어서 여차한 행위를 하노라'고 한 사실이 있습니다." 라고 진술한 것도 김길창의 일제 말기의 행각을 잘 말해 주고 있다.

     

    이것은 그가 일제 경찰과 어느 정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는가를 말해주는 예이며 또한 단순한 친일파로서가 아니라 반일 신도들을 경찰에 밀고하는 밀정, 그것도 아주 고급 밀정이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 아닐까.

     

    당시 고등계 형사를 지냈던 장세권의 증언을 들어 보자.

        

     

     

     

     

     

    (조사관 심륜) : 그 당시 증인의 직업은 여하.

     

    (증인 장세권) : 부산 경찰서 고등계 형사로서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 그러면 당시 김길창은 증인에게 친교하자는 동기가 없던가.

     

    : 당시 김길창은 목사 중에도 제1인자인 거물 목사로 경찰 계에도 소위간부들과 연락이 빈번하였으며 교제가 심하였으니, 위세가 당당하여 본인 같은 말직형사들에게는 조석 간에 인사정도이고 접대도 소홀하였습니다.

     

    : 그러면 친밀하던 경찰 간부는 누구였던가.

     

    : 본인이 아는 자로서는 당시 고등계 주임 하라다 (原田:왜인)와 부산서 고등계 주임 아라이 (荒井:왜인)였는데, 하판락, 강락중이와도 친하다는 말은 들었습니다.

     

    : 교제가 심하였다는 증거가 있는가.

     

    : 본인이 형사 근무 시 어느 날 공무로서 김길창 본가를 찾아가니 김길창은 "지난 밤에도 하라다 고등계 주임이 왔었다" 하는 말을 직접 들은 사실도 있고, 더구나 김길창이 경찰에 출두할 시에도 형사들에게는 인사말도 없이 위세가 당당하게도 직접 아라이 주임을 찾으며, 아라이 주임 역시 김길창에 대한 태도는 마치 귀빈들이나 상관에게 대하는 환영을 하였고, 별석을 이용하야 오랫동안 요담한 사실도 빈번하였으며 대단히 친밀하였습니다.

     

    : 김길창은 애국자 또는 신사참배 반대한 신자들을 밀고, 투옥케 하였다는데.

     

    : 김길창은 경찰간부들과 연락이 빈번하였으니 말직형사인 본인으로서는 연락하고 밀담하던 내용을 직접 듣지 못하야 미지이오나 그 당시 국내에서 신사참배 반대자로서 목사 남녀 신도들 다수가 투옥당한 사실은 들었습니다.

     

        

     

    그러나 반민특위 공판 과정에서 김길창은 이런 사실을 극구 부인하였고, 증인들도 후에 진술을 번복하여 신사참배 반대자를 밀고하였다는 부분은 입증되지 못한 채, 반민특위에 체포된 지 3개월 만인 19496월 기소유예로 풀려나고 말았지만, 그 의혹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그 후 그는 일본인이 경영하던 학교를 불법으로 불하받아 현재의 부산남성여중고를 설립하였으며, 동아대학교 설립에도 참여하는 한편, 남성, 대동, 훈성, 한성 등 4개의 재단을 설립하여 교육 사업을 확장하였다.

     

    1962년에는 부산신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을 맡았으며, 이러한 사회적 영향력을 배경으로 교계에서도 수차의 경남 노회장, 부산기독교연합회 회장, 한국기독연합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이처럼 그는 종교계에서뿐만 아니라 교육계에도 발을 넓혀 자신의 탁월한 사업수완(?)을 발휘하였고 또한 능수능란하게 시류를 타면서 공명심을 채운 인물이었다.

     

    그가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신문을 받을 때 진술한 다음 내용은 그의 종교적·민족적 양심이라는 것이 어떤 것이었는지 능히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조사관 심륜) : 사이판 섬 황군 전승 기원제에 종교만으로서 승리할 수 있다고 열렬한 제문(祭文)을 낭독한 사실이 있었지?

     

    (피의자 김길창) : 황군 전승 기원제는 교회는 물론 전국적으로 불교나 각계 교회를 할 것 없이 전부가 기원제를 거행하였사오니 보통으로 행사한 사실이 있습니다.

     

    : 소위 목사로서 민족을 팔고 종교를 팔고 양심을 팔아서 기도한 것이 종교의 지도자라는 것이 정당하다고 인정하는가?

     

    : 대단히 미안한 사실입니다. 종교인으로서 하지 못할 행사를 했음은 어찌 양심이 부끄럽지 않을 리가 있겠습니까만, 민족을 팔고 한 사실은 없습니다.

     

        

     

    그렇기에 그는 자서전에서 '화려한 일생'을 자랑스럽게 늘어놓으면서도 친일 행각에 대해서는 단 한 줄도 참회의 글을 쓰지 않았다.

     

     

    김승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연구위원, 반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

        

     

     

     

     

     

    경남 장로계 황민화의 선봉장

     

    김길창 (金吉昌 1892-1977)

    개신교 장로교 목사, 교육사업가, 대표관직 부산기독교학교연합회장, 경상남도 고성 출신

    191010월 순회전도사 백도명(白道明)의 전도로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아버지가 사망하던 날 그의 손바닥에 십자가를 그려준 것을 잊지 않고 교회에 헌신할 것을 결심하여, 어릴 적부터 남다른 신앙의 열정을 쏟게 되었다.

     

    대구 계성학교에 입학하였으나 2년 만에 중퇴, 고향으로 돌아가 19세 때부터 교회전도사로 일하기 시작해, 창원·함안·영산지방에 퍼져 있던 교회를 책임지고 순회목회를 하게 되었다. 한때 그는 전도사 직책을 포기하였다가 다시 호주선교회의 서기로 취임하여 선교사들과 함께 전도여행을 다녔다.

     

    26세 때 함안 길동교회에서 전도사로 시무하였는데, 교회당 안의 남녀좌석 사이의 포장을 철거한 일로 인하여 경남노회로부터 전도사직을 파면 당하였다. 파면된 지 한달 뒤 마산 문창교회의 전도사로 부임하였다. 문창교회의 학비보조로 1923년에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거창과 부산 영도교회 등에서 목회하다가 1929년 일본 동경에 가서 교포학생들을 위하여 4년 동안 목회하면서 메구로교회(目黑敎會) 등 다섯 군데 교회를 개척하였다.

     

    귀국한 뒤 밀양교회에서 잠시 목회한 뒤 1933년에 부산 항서교회에 부임하여 타계할 때까지 목회목사와 원로목사로서 관계를 가졌다.

     

    19331934년 사이에 조선기독교연합회장을 역임하고, 1938년에는 총회에서 부회장에 당선되어 신사참배, 황민화운동, 민족정신말살을 추진하고, 조선기독교와 일본전시기독교와의 지도이념 합치에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교육계에서도 많은 일을 하였다.

        

    19341936년 연희전문학교 이사, 19361965년 경남노회장을 여섯 차례 역임, 1945년 동아대학 설립이사장, 19451960년 부산기독교연합회장을 여섯 차례 역임, 19451967년 학교법인 남성·훈성·대동·한성재단 설립이사장, 19611962년 한국기독교연합회장, 19621968년 장로회경남노회 학교법인 금성학원·건국학원 및 창신학원의 이사장 및 이사, 1962년에는 부산연합신학교를 설립하여 교장 및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47년 정부로부터 교육공로자상을 받았으며, 19631965년까지 부산기독교학교연합회장을 역임하였다. 그는 한평생 목회생활에서 일곱 개의 교회를 개척하였고, 항서교회에서 33년 근속하였을 뿐만 아니라 광복 후 부산지방에서 남녀중등교육기관과 대학 및 신학교를 설립하였다.

     

    1923년 평양신학교를 졸업한 후 거창, 부산 등지에서 장로교 목사로 목회 활동을 하다가 1933년 부산 항서교회에 부임하여 죽을 때까지 재직했다.

     

    19389월 평양에서 열린 장로교 총회에서 총회 부회장을 맡은 그는 신사참배 가결을 독려했으며 총회가 끝난 뒤 각 노회장을 이끌고 평양신사를 참배하기도 하였다. 그해 12월엔 기독교계 지도자 5명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이세신궁, 야스쿠니신궁 등을 참배했다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경남교구장을 지내며 경남 장로계 황민화의 선봉장으로 활약했다.

        

     

    경성대학교

    법인명은 한성학원이고 1955년 김길창(金吉昌) 목사님께서 사랑과 봉사라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교육자 양성을 목적으로  1955년에 경남사범대학숙으로 개교한 사립종합대학교. 목사 김길창(金吉昌)이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교육자 양성을 목표로 설립했다.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 부산산업대학등으로 개편되었다가 1983년에 현재와 같이 교명을 변경했다.

     

     

     

     

     

    참고문헌

    [반민특위 피의자 신문조서 및 증인신문 조서], 1949

    김길창, {말씀따라 한 평생}, 부산 아성출판사, 1971

    영남교회사편찬위원회, {한국영남교회사}, 양서각, 1987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 김길창 : 신사참배 앞장 선 친일 거물 목사 (김승태), 친일파 993

    “11일 고 김길창 목사 추모행사”, 울산매일신문, 2007

    안병기. “혹 친일 청산은 우리 역사의 우산이 아닐까 - 전주 역사박물관 '캐리커처로 보는 항일과 친일전'을 보고”, 오마이뉴스, 2007

    구미진,송원경. “50년 역사 속의 우리 대학은...”, 디지털경성 저널, 2003

    조호진. “"한국 교회 친일행적 말할 때 됐다" - CBS-TV 8·15특집 다큐 '한국교회의 친일을 말한다'”, 오마이뉴스, 2004

    친일파 99(반민족문제연구소, 돌베개, 1993)

    한국기독교사(이영헌, 컨콜디아사, 1978)

    기독교사상9-11(1965)

    韓國基督敎史(李永獻, 컨콜디아사, 1978)

    基督敎思想 911(1965). 李章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Contents?contents_id=E0008848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hndj21&logNo=150136891416&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

    &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예수교장로회연맹

    http://blog.naver.com/okinawapark?Redirect=Log&logNo=109084420&from=postView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kinawapark&logNo=164580030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19529

    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8959

     

     

     

    거제 유력자 등, '침략전쟁' 독려자로 나선 '친일협력자들'

    <창간 2주년 특별기획> 거제친일협력단체 ④ 조선임전보국단 거제 참여자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報國團)은 1941년 10월 22일 흥아보국단(興亞報國團)과 임전대책협의회(臨戰對策協議會)를 통합하여 결성되었다. 1942년 10월 29일 국민총력조선연맹으로 흡수된 친일단체이며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력한 최대의 민간 단체다.

    임전보국단은 1941년 10월 9일 결성식을 앞두고 10월 14일부터 10일까지 각도에 유세대를 파견하는 한편, 경성부내 유력자 70여명이 '꼬마' 채권을 가지고 가두에 나와 팔아 국책소화(國債消化) 협력활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11월에는 지원병 제도의 취지를 선전하는 강연대회를 개최하였으며, 1941년 12월 8일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긴급임시전선대회를 개최하여 전시 협력을 강화하였다. 활동 내용으론 중앙과 지방조직을 통해 저축강조, 금속회수운동, 청년체력검사 취지 철저운동, 부인계몽운동, 군복의 근로수리작업 등을 들 수 있다.

     

    민간친일단체 중 최대조직

    임전보국단에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에서 활동하던 주요 친일파들이 대거 참여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고문을 맡은 윤치호(尹致昊), 단장 최린(崔麟), 부단장 고원훈(高元勳, 경남출신)을 비롯해 상무이사에 박흥식(朴興植, 화신백화점 사장), 김동환(金東煥, 시인), 이사 방응모(方應謨, 조선일보 사장), 감사 손영목(孫永穆, 경남 출신).김성수(金成洙, 동아일보 사장), 평의원 장면(張勉, 2대 대통령), 김활란(金活蘭, 이화여대 이사장), 박영희( 朴英熙, 시인), 김장태(金璋泰, 부산 출신, 부산상공회의소 의원, 부산부회 의원), 김동준(金東準, 경남도회 의원), 양주삼(梁柱三, 목사) 등이다.

    그들은 1943년 4월 조선지원병제 실시에 따라 전국을 다니면서 순회강연회를 조직하여 동원되었으며, 다수 민중들에게 '징병에 나서자'고 선전. 선동했다.

     

     

     
    ▲ 1941년 지원병제 실시 강연회에 나선 거제 친일유력자. 사진은 당시 보도된 신문 ⓒ 2005 거제타임즈 전갑생

     

     

     

     

    김영수·김현국, 거제·통영출신자

    1941년 경남 임전보국단에는 지역정치인, 문화예술인, 수산자본가, 부(府).군(郡).읍(邑).면(面) 의원들까지 포함되어 있다. 거제통영출신자들은 김영수(金榮洙, 거제, 도회의원), 김현국(金炫國, 통영, 도회의원) 등이다.  주요 참여자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김동준(金東準, 경남위원장), 우신출(禹新出, 화가, 춘광회원), 장재식(張在軾), 이현각(李鉉覺), 이장희(李章熙), 최지환(崔志煥, 富山隆盛, 진주), 서상식(徐相湜, 진주), 이장희(李章喜, 진주), 정상진(鄭相珍, 진주부회의원), 김억근(金億根, 산청, 도회의원), 이우식(李佑植), 하호룡(河本浩龍), 하한석(河翰錫), 안효식(安孝式), 박길호(朴吉浩), 김병규(金秉奎), 곽종섭(郭鍾燮), 조중환(曺重煥), 김전한(金子典幹), 백남일(白南日), 김강홍(金村康弘), 박상요(朴相堯, 竹城武雄, 고성), 박용보(朴容甫, 고성), 최연국(崔演國, 사천), 황순주(檜山順柱, 사천), 장응상(張鷹相, 삼천포), 윤병호(尹丙浩, 남해), 박진평(朴晋平, 남해), 이은우(李恩雨, 하동), 강석근(姜錫根, 하동), 김석신(金錫舜 ), 김경엽(金璟燁), 오명진(吳明鎭), 최열만(崔烈萬), 노준영(盧俊泳, 김해), 정순현(鄭淳賢), 하종락(桐本鍾洛),  하준석(河駿錫, 창녕), 김길창(金吉昌, 부산, 목사),  김애원(金埃源), 김장태(金璋泰), 오재일(吳載一), 이면재(李冕載), 이귀흥(李貴興) 등이다.

     

    경남의 회원들은 국민총력경남도연맹을 비롯해 부, 군, 읍, 면연맹의 위원장과 고문을 맡기도 했으며, 조선지원병 실시에 따라 각 시군별로 다니면서 강연회를 열어 직접 참여했다. 특히 김동준, 김영수, 이장희, 최지환 등은 거제와 통영 지역을 방문하여 징병에 나가자고 역설했다.

    1942년 5월 21일부터 조선임전보국단 경남지부를 비롯해 경남지주봉공회, 경남도유림회 등이 경남도내 군마다 '징병제 실시 축하강연회'를 개최했다. 김동준 경남임전보국단 경남지부장, 김경진 경남도 지주봉공회 위원장, 김영수 경남도회의원 등이 3반으로 나누어 부산, 마산, 통영, 창녕, 함양 등지에서 지원병제 실시 강연회에 연사로 나섰다.

     

    조선 기독교, '내선일체 거국 일치'나서

    [친일단체 바로알기 8]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예수교장로회연맹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예수교장로회 연맹(國民精神總動員 朝鮮耶蘇敎長老會 聯盟,일명  精動 長老會總會聯盟)은 1939년 9월 11일 신의주 제2예배당에서 개최된 제28회 총회중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예수교장로회 연맹' 결성하여 40년 12월 6일까지 존속한 기독교 친일단체다. 경남은 1940년 2월 12일 경남노회 지맹 결성하기에 이른다. 1940년 12월 6일 '국민총력 조선예수교장로회 연맹'으로 흡수 개편되어 해방을 맞는다.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 산하 조선예수교장로회의 기구로 이 단체의 목적은 "내선일체 거국일치 국민정신 총동원의 취지의 달성을 도모하고 전도보국의 실을 거둘 것"(연맹 규약 제2조) 이었다. 이 연맹은 그 하부에 다시 각 노회연맹을 두고 각 교회마다 애국반을 조직케 하여 부일 협력 활동을 하였다.
    주요활동은 1940년 1월 24일 장로회보 창간 발행하였다. 회보 편집 내용은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연맹 공문 및 기사, 각 교회 국가행사, 애국반 활동, 위문 소개 등으로 하였다. 1940년 5월 27일 일본해군기념일에 해군 위문금으로 100원을 헌납하기도 하였다.
    기독교는 일제에 협력하고자 다음과 같이 국가·황민·교회에 대한 방침을 내세웠다.

    국가에의 봉공(國家フノ奉公)
    1) 대동아전쟁 목적 완수에 협력함과 동시에 사상의 완벽을 기할 것.
    2) 시국의 진전에 즉웅하여 여러 교회 및 여러 단체를 전시체제화하여 국가적 요청에
         청헌(請獻)할 것.
    3) 징병 의무 및 정신을 높이 강조하여 신도에게 철저하게 할 것.
    4) 총후 봉공의 목적으로 다음 사항을 장려할 것.
       황군 상이 장병 및 유가족의 위문, 군사원호 사업, 국민저축의 실시, 귀금철류의 헌납
       전시 생활지도와 절약 운동, 전시 근로 봉사, 매월 정액의 국방헌금, 신사참배 및 전승기원의 여행

    황민의 동성(皇民ノ 成)
    5) 각 신도의 가정마다 대마(大麻)를 봉재하고 황도정신을 철저히 할 것.
    6) 국체의 본의에 기초하여 충군애국의 정신과 경신숭조의 정신을 함양할 것.
    7) 아국(我國)의 순풍미속을 존중하고 질실(質實) 강직한 기풍을 길러 견인 지구의 공고한 의지를 연성할 것.   
    8) 신도(信徒)의 황민동성의 실을 거두기 위하여 황국 고전 및 국체의존에 관한 지도 교본을 편찬할 것.
    9) 각 소(所)에 동성회를 개최하고 교사(목사) 및 신도의 동성에 노력하며 특히 황국 문화의 연구 지도를 도모할 것.

    교회의 필신(敎會ノ筆新)
    10) 기독교 교사(목사)로서의 교양을 높이고 솔선 수범하여 세상의 사표가 되는 실을 거두기 위하여 다음 사항을 실시할 것. 현 교사의 신학적 재교육운동, 교사양성 기관의 정비
    11) 일본기독교를 확립하기 위하여 특히 전문가로서 일본교학의 연찬에 노력하고 일본적 신학을 수립시킬 것.
    12) 말세·심판·재림 등은 세상적·물질적 해설을 고쳐 그것을 종교적·심령적으로 해설할 것.
    13) 구약성서에 나타나는 비기독교적 유대사상을 시정하기 위하여 그 적당한 해석 교본을 편찬할 것.
    14) 전시에 있는 반도 교화의 실을 거두기 위하여 신앙 부흥 및 전도 진흥의 구체적 방법을 강구할 것.
    15) 신도필휴·신찬미가·기도문 및 예전 요의(要義) 등을 편찬할 것.
    16) 국어(일본어) 상용을 극력 장려할 것.
    17) 예배당은 신축 또는 개축할 경우 일본적 양식을 고려할 것.
    18) 예배 혹은 집회 양식에 대하여는 연구를 진행하여 될 수 있는 한 일본적 풍습을 채용할 것

    기독교연맹의 조직과 사람들
    연맹에 참여한 목사와 장로 등은 신사참배와 일제에 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당시 연맹 이사장(총회장) 윤하영(尹河英, 총회장), 이사(노회장)  김경덕(경기노회)·이정로(경성노회)·박상철(황해노회)·나기환(평양노회)·최봉주(평서노회)·유상봉(안주노회)·김홍식(평북노회)·지군일(용천노회)·윤하영(의산노회)·임척호(삼산노회)·고려위(산서노회)·최성주(봉천노회)·이학인(남만노회)·전수창(북만노회)·문재린(동만노회)·강두송(함북노회)·강흥수(함중노회)·정재면(함남노회)·경환(충청노회)·양찬언(경북노회)·김세영(경안노회)·김광수(경동노회)·김석진(경남노회)·곽진근(전북노회)·최병준(전남노회)·박용희(순천노회)·정순모(제주노회) 등이다.

    평의원(총회 총대)은 용희창·박태선·유흥렬·전필순·강헌집·김기현·김교영·권오균·김정묵·김두헌·정규삼·김응순·오응식·김현정·방학성·이지양·이계수·민영률·배창교·김낙영·오경신·김용삼·송재찬·조택수·장운경·박응률·이승길·김정칠·서성일·김화식·최지화·김선환·손창헌·전기형·김천덕·조승환·이영은·홍우석·윤원삼·황주옥·김석흥·김윤찬·김치근·조승익·허덕화·김봉아·조희상·박봉로·송형칠·변봉조·박선택·김진국·이희정·김제각·방경수·김범진·최익순·김영서·강신명·김석창·이영희·김성호·홍택기·김의문·김성준·김내흥·장애경·고봉윤·서재곤·홍종섭·이동희·신봉정·장인호·문신규·김성찬·김하원·이보식·한경직·이영태·김만곤·이경즙·김병률·오용갑·김인빈·장기순·김희섭·김기형·이창철·고려위·이규을·김이철·최광훈·김대업·이희영·박병호·백낙원·권중여·김재철·백일선·이권찬·박례헌·이창섭·박경희·김광수·정헌주·조승제·사칠현·함종흡·정기헌·염학기·김우필·이주석·조희염·안봉진·김형숙·문재희·유창세·김형관·김리현·이병식·이태학·신후식·이문주·정재순·이상백·김정오·이우항·이도봉·심상민·강병철·강석진·김은석·윤주한·김혁동·지문상·우연석·김창립·이운목·허담·박순석·오기주·김길창·김만일·김영환·정진률·주영신·장병윤·이홍필·이창규·이수현·박승준·계일승·김수영·최상섭·고득순·김영후·김광수·윤석귀·백남철·김득주·송화익·김용출·이윤의·박영기·양윤묵·김태호·이남규·주형옥·조두현·박동환·김규언·김형모·신영욱·목영석·이기방 등 대부분 한국기독교계의 거물들이 포함되었다.

    1940년 2월 결성된 경남노회 지맹의 간부들은 이사장 심문태(沈文泰), 이사 김길창·김만일·김영환, 평의원  김석진·이정심·이운형·배운환·한익동, 서기 서명준 등이 맡았다.

     

     

    일본교단 조선장로회, 일본군 '비행기 헌납'에 나서

    [친일단체 바로알기 9] 국민총력 조선예수교장로회연맹과 일본교단 조선장로회

     

    일본기독교 조선장로교단(日本基督敎 朝鮮長老敎團)은 1943년 5월 7일 신문내교회당에서 창립총회를 열었다. 1945년 7월 19일 '일본기독교 조선교단'으로 통합되었다.


    교단은 기독교계 교파합동의 실패와 일본기독교 혁신교단의 설립에 충격을 받아 각 노회장으로 구성된 총회 상치위원회의 결의만으로 불법적으로 조선예수교장로회를 해체하고 조직한 교단이며,  평북노회만 참여하지 않았다.

    이 조직에 참여한 인사들은 통리 채필근(佐川弼近), 부통리 전필순(平康米洲), 교구장  김길창(경남)·조승제(趙村昇濟, 전남)·구연직(具道信夫, 충청)·김세열(전북)·정순모(河東順模, 제주), 총무 김종대(金子鍾大), 국장 김영삼(전도) 등이다.


    주요 활동을 보면, 1943. 5. 26 장교단 용 신편 곡조찬송가(수정판) 발행. '국가(기미가요)' '우미유카바' '국민서사' 수록, 1943. 7. 14  평북노회장 금성진수(김진수) 일본기독교조선장로교단 부인, 총회장 탄핵통고문발송, 1943. 8. 18 김해장로교회 목야호차 전가인선(전인선) 목사 초청 시국대종교강연회 개최, 1943. 8. 25 신편찬송가 수정판 206장곡 불창처분 곡 어메리카 "피난처 있으니", 1943. 10. 25. 평북노회장 금성진수(김진수) "감사절에 관한 건" 징병제실시감사예배 실행하였다.

    또한 1944. 1 .12. 조선예수교장로회 평북노회장 금성진수 "긴급 실행해야 할 애국사업에 관한 건" 제2차 애국기헌납금 모집의 건, 징병제실시에 따른 국민태세를 정비하는 운동에 관한 건,  1944. 6. 23. 일본기독교 조선장로교단 대표 좌천필근 조선군애국부 방문 10만 3천 원, 휼병금 2천53원 53전, "애국기 1대 조선장로제2호기 육군에" 헌납, 1944.06. 26. 부민관 영미격멸종교단체 총궐기대회 개최 신도대표 2천명 참가. 기독교장로교 좌천필근 결의 표명하는 연설 등을 하였다.

     

      

    국민총력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연맹( 國民總力 朝鮮耶蘇敎長老會 總會聯盟)은 1940년 12월 5일 경성부민회관에서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연맹'을 해소하면서 결성되었다가, 1945년 7월 19일 '일본기독교 조선교단' 성립으로 해소하였다.


    이 단체의 조직에 이사장(총회장)은 곽전근(牧野道雄), 총간사 정인과(德川仁果), 1941년 11월 이사장 최지화( 鐵原志化), 1942년 9월 이사장 김응순(新森一雄), 1943년 5월 이사장 채필근(佐川弼近) 등이 맡았다.
    총회연맹의 성격은  국민총력 조선연맹 산하의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연맹. 국민총력 조선연맹의 지시에 따라 각종 행사 및 부일 협력 활동 전개하였다.


    주요 활동은 1940. 12. 5.∼6 전선장로회신도대회 개최, 1941. 3. 17. "부여신궁조영근로봉사에 관한 건" 공무 각 노회연맹에 발송, 1941. 4. 29.∼30 서울에서 전선여신도대회 소집, 본부연맹 여자부 결성식, 1941. 6. 3 부산항서교회당에서 경남노회신도대회를 열어 국민총력 조선예수교장로회 경남노회 연맹 결성(연맹 이사장 김영환 목사) 시국강연, 1942. 2. 본부 주최로 "대동아전쟁 목적 관철과 기독교도의 책무를 재삼 격려하기 위하여" 5대로 나누어 연사를 파견하여 "지방 시국강연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1942. 2. 10 총회중앙상치위원회의 지시를 받아 조선장로교신도애국기헌납기성회와 협력하여 육해군에 애국기 1대, 육전기관총 7정의 대금으로 15만 317원 50전을 헌납하고 1942.04. 29. 총회연맹 기관지 (장로회보)는 제118호로 폐간을 선언하고 장·감·성결·구세 4교파 연합으로 기독교신문협회를 조직하고 주간 『기독교신문』을 발행하였다.


    1942. 6. 19 애국기헌납기성회에 그후 수입잔금으로 본부 이사장 외 기성회 위원 대표 4인이 조선군사령부를 방문하여 육군환자용 자동차 3대 기금으로 23,221원 18전을 헌납하고, 1942. 9. 20 해군성에 헌납한 '報國機'(비행기) 명명식('조선장로호')을 경성운동장에서 갖고 해군대신의 감사장과 수납서, 헌납 비행기의 사진을 해군성으로부터 받았다.


    1942. 10. 10. 1941년 11월 25일부터 1942년 10월 10일까지 (연맹본부에서 받은) 공문은 63통, (하부 연맹에 보낸) 공문은 61통에 이르렀다. 1942. 10. 15. 1941년 12월부터 1942년 10월 15일까지 보고 받은 유기헌납건은 2,165점에 이름. 10월 15일 현재로 헌종상황보고에 의하면 헌종수는 1,540개, 총액 약 119,832원에 이르렀고, 1942.  11. 12. 국민총력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연맹 황군환자용 자동차 3대 헌납식을 조선신궁에서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