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게 세상구경을 물어본다./밥 먹고 도시여행

한양도성

草霧 2013. 7. 4. 15:30

 

 

한양도성

 

1395년(태조 4) 한양(지금의 서울)을 방위하기 위한 도성을 쌓으려고 도성축조도감(都城築造都監)을 설치하고 정도전에게 명하여 성터의 조사 측정을 실시하였다.

 

1396년(태조 5) 음력 1월 9일 기공식을 올리고 춘추 2회에 걸쳐 전국에서 징발한 장정 19만 7천 4백여 명을 동원, 전후 98일 만에 북악산·낙산·남산·인왕산을 따라 성의 축조를 완료하였다. 성의 길이는 9천 9백 70보(步 : 1보는 6자)이며 높이는 40자 2치로서 성을 97구(區)로 나누어 구마다 천자문에 따른 번호를 하늘 천(天) 자부터 조상할 조(弔) 자까지 붙였다.

성이 낙성된 후에는 배수지(排水地)로 5칸 수문(五間水門)·2칸 수문 등을 만드는 한편 성곽의 관문(關門)으로 숙청문(肅淸門 : 북대문)·흥인문(興仁門 : 동대문)·돈의문(敦義門 : 서대문)·숭례문(崇禮文 : 남대문)의 4대문과 홍화문(弘化門 : 동소문)·광희문(光熙門 : 수구문)·창의문(彰義門)·소덕문(昭德門 : 서소문) 4소문을 합해 8문을 완성하였다.

개수

1422년(세종 4년)에 흙으로 쌓은 곳을 모두 돌로 다시 쌓는 등 봉족(奉足)과 잡색(雜色) 32만 2천 4백 명을 동원하여 38일 만에 대대적으로 성곽을 고쳤다. 1451년(문종 1년)에도 성을 고쳤지만 임진왜란 때 일부가 부서졌다. 1616년(광해군 8년)에 개수하였으나 병자호란 때 다시 부서졌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 맺은 약조중에 성벽을 쌓지 않고 보수도 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있어 부서진 채로 방치되다가, 1704년(숙종 30년) 이조판서 이유(李儒)의 주장으로 5군문(五軍門)의 장정을 동원하여 1711년(숙종 37)까지 수축하였으며, 1743년(영조 19년)에 다시 고쳤다. 그밖에도 효종·현종·영조·순조 시대에 부분적인 개수를 행했으나 현재 남아 있는 서울의 성곽은 대체로 태조·세종·순조 때의 것이다.(자료에 현재 남은 서울 한양도성은 주로 태조, 세종, 순조라는 자료(서울시 블로그)와 태조, 세종, 숙종(낙성 표지판)이라는 자료가 혼재되어 있음.)

 

태조 시기에 지어진 성은 자연석을 거칠게 갈아서 사용했으며, 아래쪽은 큰 돌을 사용하고 위로 갈수록 작은 돌로 축성하였다. 세종 시기에 지어진 성은 좀더 직각사각형의 모습을 띄고 있으나, 돌과 돌을 갈아 자연스럽게 이으려 했으며, 숙종 또는 순조 시기에는 직각사각형으로 돌을 잘라서 축성하였다.

 

한편 일제 강점기의 도시계획과 한국 전쟁으로 성문과 성벽이 많이 부서졌다. 지금은 삼청동·성북동·장충동 일대에 성벽이 남아 있고, 흥인지문·숭례문·숙정문·홍화문이 남아 있다.

철거

서대문과 청량리 사이의 전차를 부설하면서 서대문과 동대문의 일부를 헐어내었고, 광화문과 용산 사이의 전차를 부설하면서 숭례문 부근을 역시 헐어내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산성을 제외한 평지에 있던 성곽은 모두 헐리어 현재의 모습과 같이 되었다.

서울 한양도성길

정식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4코스로 나눈다. 북악산 코스(혜화문~창의문), 인왕산 코스(창의문~숭례문), 남산 코스(숭례문~장충체육관), 마지막으로 낙산 코스(장충체육관~혜화문)

북악산 코스

혜화문-와룡공원-숙정문-청운대-백악마루-창의문으로 이루어져 있는 코스다. 지난 40여년 동안 폐쇄되었다. 2007년 일반인에게 개방되었기에 네 코스 중 자연이 잘 보존되어 가장 인기가 많다. 그러나 와룡공원~창의문은 아직까지 제한이 있어 하절기(4월~9월) 오전 9시 부터 오후 5시, 동절기(10월~3월) 오전 10시 부터 오후 5시 까지만 탐방이 가능하다. 월요일은 이 길이 통제된다.

인왕산 코스

창의문-윤동주 시인의 언덕-인왕산 정상-경교장-돈의문 터-정동길-서울시립미술관-숭례문으로 이루어진다. 등산 코스 입구에 있는 '윤동주 시인의 언덕'은 윤동주가 이곳을 걸으며 시상을 생각했다고 한 걸 기리며 이 언덕 부근을 공원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목멱 코스

숭례문-백범 광장-잠두봉 포토아일랜드-N서울타워-남측 포토아일랜드-국립중앙극장-우수조망소-장충체육관로 이어진다. 조선시대 태종이 쌓은 성벽이 비교적 많이 남아있다.

낙산 코스

순성(巡城)놀이

조선 시대에는 성곽을 따라 걸으면서 도성 안팎의 풍경을 감상했는데 이를 '순성'이라고 했다. 조선 후기 한성부의 역사와 모습을 기록한 <한경지략>에는 '봄과 여름이 되면 한양 사람들은 도성을 한 바퀴 돌면서 주변의 경치를 구경했는데 해가 떠서 질 때까지의 시간이 걸린다'고 적혀있다. 이러한 순성은 일제강점기까지도 이어졌다.

 

3차원 인터랙티브 순성놀이

연합뉴스 미디어랩의 서울 한양도성 걷기에서 3차원 인터랙티브 순성놀이를 할 수 있다.

 

  1. 2013/06/20 [서울 성곽] 광희문, 한양도성의 남동쪽 성문(남소문)
  2. 2013/05/27 [서울 성곽] 흥인지문(보물1호), 구한말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한양도성 동대문 (3)
  3. 2013/05/22 [서울성곽] 장충동에서 남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성벽길
  4. 2012/12/16 [서울성곽] 인왕산 정상 부근 성벽 (5)
  5. 2012/12/11 [서울성곽] 사직터널에서 인왕산 범바위까지 (1)
  6. 2011/11/23 [서울성곽(한양도성)], 북악산 성곽길 걷기 (5)
  7. 2011/11/15 [서울성곽] 숙정문, 한양도성의 북문 (2)
  8. 2010/10/22 [서울 성곽] 홍지문, 오간수문, 탕춘대성 (3)
  9. 2010/09/22 [서울 성곽] 한양도성 숭례문(남대문) 부근 (1)
  10. 2010/09/22 [서울 성곽] 남산타워 오르는 길
  11. 2010/09/22 [서울성곽] 남산 동쪽 장충동 일원
  12. 2010/09/22 [서울 성곽] 이간수문과 주위 성벽 흔적, 동대문운동장에 묻혀 있던 조선시대 수문
  13. 2010/09/22 [서울 성곽] 한양도성의 동쪽 낙산공원 성벽 (1)
  14. 2010/09/22 [서울 성곽] 혜화문, 한양도성 동소문에 해당하는 성문
  15. 2010/09/22 [서울 성곽] 성북동 경계가 되는 창덕궁 뒷편 와룡공원 성벽
  16. 2010/09/22 [서울 성곽] 창의문(자하문), 한양도성 북소문에 해당하는 성문
  17. 2010/09/22 [서울 성곽] 서대문에서 인왕산 아래 (사직동 부근)

한양도성 에 대한 태그클라우드

전문가 해설과 함께하는 ‘서울 한양도성 탐방

2013-03-06 09:38:55뉴스/ 뉴스&이벤트/ 새소식/ 전통문화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