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게 세상구경을 물어본다./세상 쳐다보기

동래 · 임시수도 · 부산항,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3

草霧 2013. 12. 23. 16:23

 

 

 

동래 · 임시수도 · 부산항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Busan Metropolitan City

 

3

    

 

교육·문화·관광

2000년 현재 초등학교 267개교, 중학교 157개교, 고등학교 127개교, 전문대학 12개교, 교육대학 1개교, 대학교 12개교가 있다. 그밖에 공공도서관 16개소, 박물관 11개소, 신문사 2개사, 방송국 9개사, 공연장 27개소가 있다.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25개소, 병의원 1,657개소, 치과의원 852개소, 한방병의원 653개소, 보건소 16개소가 있다.

 

 

 

 

문화

부산시민공원 근처에 있는 국립부산국악원, 범일동에 있는 부산시민회관, 부산시립박물관 부근에 있는 부산문화회관,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인 영화의전당 그리고 벡스코 오디토리움 등이 있다. 문화행사로는 6개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매년 8월 부산바다축제가 열리며, 부산시민의 날 행사로 향토축제 및 예술행사를 비롯하여 각 구청단위로 11개의 축제가 매년 성대하게 열린다. 부산국제영화제는 국제적인 영화제로 발돋움하며 매년 10월에 개최되고 있으며, 자갈치문화관광 축제는 한국 10대 문화관광 축제로 발전하였다.

 

먹거리

부산을 대표하는 먹거리로 밀면, 돼지국밥, 씨앗호떡, 부산오뎅, 비빔당면, 유부전골, 찹쌀호떡, 파전, 냉채족발, 곰장어 구이, 구포국수 등이 있다.

 

 

 

 

 

 

교육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동래향교와 안락서원이 있었다. 동래향교는 1392(태조 1)에 건립된 것으로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35(인조 13) 부사 이홍망(李洪望)이 중건하였다. 그뒤 여러 번 중수를 거듭하다가 1813(순조 13)에 지금의 명륜동으로 이건해 동래 유림을 강학하는 장소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안락서원은 1605(선조 38)에 부사 윤훤이 임진왜란 때 순절한 부사 송상현을 비롯한 관민 제위를 향사하기 위해 남문에 건립한 충렬사가 그 시초이다. 1652(효종 3) 부사 윤문거(尹文擧)가 송상현의 학행과 충절이 후학의 사표가 된다 하여 안락리(지금의 안락동)에 사당을 창건해 안락서원이라 하였다.

 

이밖에 1732년에 동래부사 정언섭(鄭彦燮)이 읍성을 쌓은 기념으로 읍인(邑人)의 자제를 교육하기 위해 세운 시술재(時述齋)라는 서당이 있었으며, 당감리의 봉래재(蓬萊齋), 송정리의 송호재(松湖齋), 부곡리의 영모재(永慕齋), 화지산(華池山) 아래의 경엄재(敬嚴齋), 지곡산(池谷山) 아래의 율수재(律修齋) 등이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김우정(金禹鼎)의 강학소인 향교재(鄕校齋)와 박지우(朴志瑀)의 강학소인 양성재(養成齋)를 비롯해 당리의 학산재(鶴山齋) 등이 소학교·보통학교 등과 함께 운영되었다. 근대교육기관으로는 1895년 박기종(朴琪淙)이 설립한 사립 개성학교(開城學校)가 그 시초이다. 그해 10월에 좌천동에 사립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가 개교하였다. 1900년에는 동래 기영회(基英會)에 의해 동래부소학교가 개교했으며, 개양학교(開陽學校삼락학교(三樂學校동명학교(東明學校양정숙(養貞塾초량학교(草梁學校옥성학교(玉成學校부산공립보통학교 등이 잇따라 개교해 한말 신학문의 진원지가 되었다.

 

1946년에는 국립 부산대학과 사립 동아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이 설립되어 영남지방 교육문화의 중추적인 구실을 담당하게 되었다. 2013년 현재 교육기관은 초등학교 302개 교, 중학교 170개 교, 고등학교 144개 교가 있다. 각 대학에는 많은 연구기관이 부설되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해양·수산과학 분야의 특색 있는 연구소가 많다. 이밖에 시민을 위한 공·사립 도서관이 11개소가 있다. 특히 부산대학교와 동아대학교의 박물관 외에 대연동에 부산시립박물관이 있어 선사시대·가야문화·대일본 관계의 유물을 많이 소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기관으로는 유일한 관학인 동래향교가 임진왜란 후 1635(인조 13)에 중건

안락서원(安樂書院)1652(효종 3)에 동래부사 윤문거에 의해 창건

1898년 동래유지 신명록은 동래부학교(東萊府學校) 설립

동래 기영회에 의해 삼락학교(三樂學校) 설립

동명학교(東明學校사립동래고등보통학교로 발전

여성교육기관인 양정숙(養貞塾)과 구명학교·옥성학교·명림학교 설립

 

 

 

 

국보 6, 보물 26, 사적 4, 천연기념물 7, 중요무형문화재 5, 명승 2, 지방문화재로서 유형문화재 80, 기념물 46, 무형문화재 13, 민속자료 4

2000년 현재 국가지정문화재로 국보 5, 보물 14, 사적 4, 천연기념물 7, 중요민속자료 5점 등 35점과 시지정문화재로 유형문화재 40, 무형문화재 9, 기념물 40, 민속자료 1, 문화재자료 6점 등 90점으로 총 131점의 문화재가 있다. 부산은 일찍부터 나라의 관문 구실을 하여 왜관과 왜란의 유적도 적지 않다.

 

용두산의 초량왜관 경계에 세웠던 약조제찰비(約條製札碑,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7척화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8)는 부산시립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동구 좌천동의 정공단(鄭公壇,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0), 연제구 복천동의 송공단(宋公壇,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1), 사하구 다대동의 윤공단(尹公壇,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9)은 임진왜란 때 순국한 부산첨사 정발, 동래부사 송상현, 다대포첨사 윤흥신과 전몰장병을 위한 제단이다. 연제구 망미동에는 25의용단(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2)이 있다. 동래구 복천동에는 동래성에서 전사한 군·민의 유해를 거두어 설립한 임진동래의총(壬辰東萊義塚,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3)이 있다. 수안동의 장관청(將官廳,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 안락동의 군관청(軍官廳,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동래남문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1온정

개건비(溫井改建碑,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4이섭교비(利涉橋碑,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3독진대아문(獨鎭大衙門,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 사하구 다대동의 정운공순의비(鄭運公殉義碑,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0), 강서구 성북동의 가덕도척화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5), 동래구 온천동의 망미루(望美樓,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가 있다. 영도구 동삼동의 태종대(太宗臺,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8), 남구 용호동의 오륙도(五六島,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2), 용당동의 신선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9), 중구의 용두산공원(龍頭山公園), 사하구 다대동의 몰운대(沒雲臺,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7), 부산진구 초읍동의 어린이대공원 등이 있다. 동아대학교박물관에는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券, 국보 제69안중근의사유묵(安重根義士遺墨, 보물 제569·6초충도수병(草虫圖繡屛, 보물 제595궁궐도(보물 제596동궐도(국보 제249융기문토기(隆起紋土器, 보물 제597마두식각배(馬頭飾角杯, 보물 제598쌍자승자총통(雙字勝字銃筒, 보물 제599의령보리사지금동여래입상(보물 제731조대비사순칭경진하도병(趙大妃四旬稱慶陳賀圖屛, 보물 제732헌종가례도병(憲宗嘉禮圖屛, 보물 제733지자총통(地字銃筒, 보물 제863) 등의 많은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 부산시립박물관에는 금동보살입상(국보 제200영태2년명납석제호(永泰二年銘蠟石製壺, 국보 제233)가 있다. 해운대구 중일동에는 조숭가정대부상의중추원사도평의사사사왕지(趙崇嘉靖大夫商議中樞院事都評議使司使王旨, 보물 제953조서경무과급제왕지(趙瑞卿武科及第王旨, 보물 제954)가 있다. 그밖에도 부산진구 부전동의 동모(銅鉾,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19동파두(銅把頭,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 등의 유물이 있다.

 

 

국보

국원종공신록권(69)·금동보살입상(200)·영태2년 명납석제호(233)·동궐도(249)·조선왕조실록(51-2)

 

보물

범어사 삼층석탑(250)·범어사 대웅전(434)·안중근의사 유물(569-6, 569-16)·초충도수병(595)·융기문 토기(597)·마두식각배(598)·쌍자승자총통(599)·의령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731)·조대비사순칭경진하도병(732)·헌종가례도병(733)·지자총통(863)·조숭가정대부상의 중추원사도평의사사사왕지(95)·과급제왕지(954)·지장보살삼존도(1287)

 

사적

동래패총(192)·복천동고분군(273)·금정산성(215)·동삼동패총(266)이 있고, 중요무형문화재에 동래야류(18)·수영야류(43)·대금산조(45)·좌수영어방놀이(6동해안별신굿(82-)

 

천연기념물

부산진 배롱나무(168)·범어사 등나무군생지(176)·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179)·구상반려암(267)·수영동 곰솔(270)·구포동 팽나무(309)·수영동 푸조나무(311)

 

 

 

 

선사시대 문화재

부산만의 해안선과 낙동강 하구 및 내륙의 부산진·동래지역은 우리나라에서도 선사시대 유적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곳이다. 해안과 강변의 동삼동·다대포·금곡동 등에는 신석기시대 패총이 있으며, 내륙의 동래·전포동에는 철기시대의 패총이 있다. 그리고 동래지역과 사하지역의 여러 곳에서 청동기시대의 지석묘와 각종 유적·유물들이 발견·조사되었다.

 

이러한 유적들 중에서도 영도구의 동삼동패총(사적 제266)은 신석기시대의 여러 문화층이 겹쳐져서 우리나라 선사문화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동래구 낙민동의 동래패총(사적 제192)은 초기철기시대의 유적으로 여기에서는 제철노지(製鐵爐址)가 발견되었다. 구석기시대의 청사포 유적과 신석기시대의 동삼동·영선동·아치섬·암남동의 패총(貝塚)과 영선동 패총에서 출토된 융기문토기(隆起紋土器보물 제597)가 있다. 청동기시대의 유적으로는 노포동·반여동·온천동 등지의 주거지와 감천동지석묘의 분묘, 유물로는 동모2(銅鉾二點: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19), 동파두(銅把頭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마제석검 등이 있다.

 

 

 

 

삼국시대의 고분군

동래 복천동고분군(사적 제273), 연제구의 연산동고분군(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 금정구의 노포동고분군(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2), 강서구의 생곡동 가달고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3범방동고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4), 유물로는 마두식각배(馬頭飾角杯보물 제598) 등이 있다. 복천동고분군은 최근에 발굴 조사되어 그 독특한 묘제와 풍부한 부장품이 발견되었으며, 연산동고분군은 일찍이 도굴되고 파괴되어 그 부장품이 해외로 유출되었다. 구포동·화명동·덕천동에서도 소규모의 군집묘(群集墓)가 발굴 조사되었고, 동래구 거제동에는 동래정씨의 시조묘가 고려시대부터 전해지고 있다.

 

복천동고분군(福泉洞古墳群사적 제273)

연산동고분군(蓮山洞古墳群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

반여동고분군·오륜대고분군·두구동임석유적·서동토광묘

 

 

 

 

불교유물

삼국시대에 창건된 금정구 청룡동의 범어사(梵魚寺)에 범어사대웅전(보물 제434범어사삼층석탑(보물 제250범어사일주문(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원효암동삼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원효암서삼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범어사당간지주(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범어사석등(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 등의 문화재가 있다. 범어사, 장안사, 충렬사, 삼광사, 해동용궁사 등이 있다.

    

 

3층석탑(보물 제250)

석등(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

당간지주(幢竿支柱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

원효암동3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

원효암서3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

 

 

 

 

 

고려시대 불교문화재로는 북구 만덕동의 만덕사지(萬德寺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에는 만덕사지당간지주(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가 남아 있다. 그밖에 부산대학교의 오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 동아대학교의 삼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 동래구 온천동의 고려오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 강서구의 범방동삼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3),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국보 제200영태2년명납석제호(永泰二年銘蠟石製壺국보 제233의령보리사지금동여래입상(宜寧菩提寺址金銅如來立像보물 제731) 등이 있다.

 

만덕사지(萬德寺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

3층석탑·당간지주·고려5층석탑(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

범방동3층석탑(凡方洞三層石塔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3)

사직동석곽묘(社稷洞石槨墓)

 

 

 

 

조선시대의 건축물

동래부동헌(東萊府東軒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다대포객사(多大浦客舍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망미루(望美樓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독진대아문(獨鎭大衙門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동래향교(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범어사대웅전(보물 제434) 등이 있으며, 임진왜란의 선열 유적으로는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 공을 모신 충렬사(忠烈祠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 송공단(宋公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1), 부산첨사 정발 장군을 모신 정공단(鄭公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0), 다대첨사 윤흥신 공을 모신 윤공단(尹公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9), 의용단 및 임진동래의총 등이 있다.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卷국보 제69)

초충도수병(草蟲圖繡屛보물 제595)

궁궐도(宮闕圖보물 제596)

조대비사순칭경진하도병(趙大妃四旬稱慶陳賀圖屛보물 제732)

헌종가례도병(憲宗嘉禮圖屛보물 제733)

조서경무과급제왕지(趙瑞卿武科及第王旨보물 제954)

쌍자승자총통(雙字勝字銃筒보물 제599)

안중근의사유묵(보물 제569-6)

 

 

 

 

산성

성곽으로는 연제구 연산동의 배산(盃山)에 있는 배산성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 금정구 금성동의 금정산성(金井山城, 사적 제215)이 있다. 금정산성은 우리나라 최대의 산성으로 금정산성복설비(金井山城復設碑,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5)가 있다. 북구 덕천동에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쌓은 구포왜성(부산광역시 기념물 제6)과 동구 범일동에는 부산진지성(부산광역시 기념물 제7)과 부산진지성 서문 및 성곽우주석(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9)이 있다. 동래구 일부 지역에 걸쳐 있는 동래읍성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5)는 지형을 이용한 산성식 읍성으로 고려 말 박위(朴葳)가 왜구 침략에 대비해 축성한 것이다. 또한 온천동의 내주축성비(萊州築城碑,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16)와 남구 대연동의 동래남문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1, 부산시립박물관 소장)가 있고, 수안동의 성내에는 동래부사청동헌(東萊府使廳東軒,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이 있다.

 

금정산성(사적 제215)

동래읍성지·부산진지성(일명 子城臺,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7)

좌수영성지(부산광역시 기념물 제8)

동평현성지·범천증산성(凡川甑山城)

응봉·구봉·황령산·계명봉·간비오산·천성연대 등의 봉수대

 

 

 

 

성지

수영구 수영동과 망미동 일대에는 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8)와 수영성남문(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 사하구 다대동에는 수군첨사영의 성지와 다대포객사(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가 있다.

 

유교문화재

동래구 명륜동의 동래향교(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 안락동의 충렬사(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 해운대구 반송동의 반송삼절사(盤松三節祠,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가 있다.

 

 

 

 

무형문화재

동래들놀음(중요무형문화재 제18수영들놀음(중요무형문화재 제43대금산조(중요무형문화재 제45좌수영어방놀이(중요무형문화재 제62동해안별신굿(중요무형문화재 제82의 가호)과 함께 수영농청놀이(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동래학춤(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동래지신밟기(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충렬사제향(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부산농악(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다대포후리소리(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가야금산조(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 등이 각각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동래야류(東萊野遊, 중요무형문화재 제18)

수영야류(水營野遊, 중요무형문화재 제43)

대금산조(大笒散調, 중요무형문화재 제45)

단청장(중요무형문화재 제48)

좌수시직할놀이(左水營漁坊, 중요무형문화재 제62)

자수장(중요무형문화재 제80)

풍어제(중요무형문화재 제82)

수영농청놀이(水營農廳,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

동래학춤(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

동래지신밟기(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

충렬사제향(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

부산아미농악(釜山峨嵋農樂,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

다대포후리소리(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

가야금산조(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

부산영산제(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

동래고무(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은 부산진구 양정동의 부산진배롱나무(천연기념물 제168), 청룡동의 범어사등나무군생지(천연기념물 제176), 낙동강하류철새도래지(천연기념물 제179), 부산전포동의 구상반려암(球狀班糲巖, 천연기념물 제267), 부산수영동의 곰솔(천연기념물 제270부산수영동의 푸조나무(천연기념물 제311), 북구의 부산구포동의 팽나무(천연기념물 제309), 강서구의 가덕도자생동백군(부산광역시 기념물 제36)이 있다.

 

범어사등나무군생지(천연기념물 제176)

낙동강하류철새도래지(천연기념물 제179)

 

민속

부산에 전해오는 민속놀이로는 역사가 오랜 동래줄다리기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동래야류·수영야류·좌수시직할놀이및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수영농청놀이·동래학춤·동래지신밟기·부산아미농악등이 있다. 동래줄다리기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1922년의 연희를 보면 정월 보름날 부산시를 동(좌천동에서 북쪽)과 서(수정동에서 남쪽)로 나누어서 서로 줄을 당겼는데, 한국인 6만 명 중에 2만 명이 참가했다고 한다. 이 놀이는 1930년대에 중단되었다가 광복 후 복원되어 몇 년마다 한 번씩 연희되는데 그 규모는 처음보다 작아졌다. 동래줄의 특색은 큰 줄이 세 갈래라는 점이다.

 

부산지방에는 가면극인 야류가 성행했으며, 현재는 동래와 수영에만 전래되고 있다. 동래야류의 앞놀이인 군무(群舞) 속에 두꺼비춤이 있고 수영야류의 전편에는 길놀이(行列)와 군무 및 잡희가 있다. 부산진에도 야류가 있어 문둥이·양반·영노·할미과장이 있었고 끝머리에 요보지춤과 거북춤이 있었으나 1930년대부터 단절되었다. 수영농청놀이는 수영에 전래되는 농요이며, 좌수영어방놀이는 수영·다대포에 전래되는 어로요인 후릿소리에 맞춰 실제 작업을 통해 구성되는 놀이이다. 이밖에도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는 정월대보름에 국제연날리기대회와 단오에 시민그네뛰기대회를 계속 개최하고 있다.

 

부산은 다른 지방보다 당제가 많으며 성행하고 있다. 2004년 조사에 의하면 부산의 당산계는 287개 마을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중 기장군이 92곳으로 가장 많으며 중구는 2곳에 불과하다. 계열 분류에서 보면 산신계열이 가장 많고, 다음이 인신계열이며 그다음이 지신·곡신계열이다. 특히 인신계열에는 입향조 인물을 당산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대부분 기장군에 집중되어 있다.

 

설화·민요

이 고장에는 고찰의 유래설화로 범어사의 창사유래범어사의 매학동자·마하사의 16나한·선암사의 꿈등이 있고, 샘과 굴에 관한 것으로 동래온천의 영험·냉정우물·새미산베틀굴등이 있으며, 풍수설화로 정묘의 명당·주전자섬의 금기·삼성대의 김장군설화등이 있다.

 

목민관에 얽힌 미담으로 유심(柳心)의 전생모·한부사(韓府使)의 젓가락·동래의 관항묘·옥서계의 망령등이 있으며, 서민의 생활설화로 의적 정봉서·박권농의 양자·만덕고개와 빼빼영감등이 전해온다. 몇 개 설화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동래온천의 영험은 동래 고을에 있는 샘물에 관한 이야기이다. 신라 때 동래 고을에 절름발이 노파가 살고 있었다. 노파는 다리를 고치려고 갖은 방법을 다 썼으나 허사라 실망에 차 있었다. 어느 날 다리를 저는 백학이 노파의 집 근처에서 돌아다녀, 노파는 자기의 신세와 견주어 백학을 동정하였다. 사흘째 되는 날 백학이 왔을 때는 다리를 절지 않고 자유롭게 부근을 몇 바퀴 돌다가 힘차게 날아가 버렸다. 노파가 신기하게 여겨 학이 있었던 곳으로 가보니 따끈따끈한 샘물이 솟고 있어 자기 다리에 여러 번 발랐더니 놀랍게도 절름거리던 다리가 자유로워졌다. 그뒤 이 샘을 온천(溫泉)이라 불렀다고 한다.

 

한부사의 젓가락은 선정을 베풀었던 동래부사 한배하(韓配夏)에 관한 이야기이다. 한배하가 동래부사로 있을 때 가뭄이 들어 절망 상태가 되자 그는 장작더미에 올라가 누워 불을 지르라고 했다. 목민의 장이 무력해 이토록 한발이 심하니 자기가 죽으면 비가 내릴 것이라는 뜻에서였다. 누가 감히 불을 지를 수 있으랴마는 하도 명이 엄한지라 불을 질렀다. 그러나 부사의 몸에 불이 닿으려 할 때 소나기가 쏟아지기 시작해 가뭄이 해소되었다. 그뒤 한배하는 재상이 되어 선정했으며, 꿈에 동래에서 지내는 제향에 갔다가 첨저(尖箸)를 실제로 놓고 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이 고장에 전해오는 민요는 담바구타령·큰애기·김매기소리·후릿소리등으로, 그 유형이 다양하며 대부분 지방색을 강하게 띠고 있다. 동래에는 동래담뱃대와 연관하여 담바귀타령이 있다. 담바귀는 담배를 가리키며 한국에 담배가 들어온 이후의 민요이다. 조선 광해군 때 일본에서 들어온 담배에 대한 노래라는 설과, 임진왜란 때 왜군이 동래 ·울산에 오래 주둔하여, 이에 대한 적의가 깔린 노래라는 설도 있으나, 이 타령의 두 가지 사설 중 한 가지에 대한제국이라는 어구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한말에 지어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도드리장단에 의한 단조로운 가락이 반복되는 매우 느린 노래이다. 부산지역에는 멸치잡이 후리질하는 곳이 현재는 없으나 후릿소리가 다대포와 수영에 어로요로서 다행히 남아 전한다. 이밖에도 장타령·사랑노래·과부한탄가·각설이타령과 수영들놀음 등에서 불리는 오독도기타령등 다수의 민요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전해오는 민속놀이

윷놀이·연날리기·연등놀이 등의 성인놀이와 아동놀이

 

민요

모찌기노래·논매는노래등의 노동요와 지신밟기·성주풀이등의 의식요가 전해진다.

 

설화

범어사 창건 이야기, 성지곡·신선대에 대한 문헌설화와 동래정씨 시조묘, 동래온천에 대한 구비설화 등 다수가 전한다.

 

사적

금정산성, 동래 읍성, 동삼동 패총, 복천동 고분군

 

관광

부산은 우리나라의 관문이며, 온화한 기후에 해변을 따라 발달한 해수욕장과 경승지 및 온천·사찰·역사유적 등의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따라서 일년 내내 내국인은 물론 외국관광객이 많이 찾는 국제적 관광지이다. 또한 우리나라 10대 관광지에 속하는 경주권·제주권·한려수도권·지리산권 등의 관광권과 연결되는 관광거점도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동래온천 및 해운대온천과 많은 해수욕장을 비롯하여 수려한 해안, 역사유적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고, 경주권·한려수도권·지리산권·제주권 등 관광권역들을 접속하는 관광거점도시로서 그 잠재력이 매우 풍부하다. 조선8경의 하나인 해운대는 온천과 함께 한국 최대의 해수욕장으로 약 40의 백사장과 송림이 조화를 이룬 해안경승지이다.

 

동백섬과 미포 사이에 위치한 해운대는 우리나라 최대의 해수욕장이자 백사장과 송림이 조화를 이루는 해안경승지이다. 대한팔경의 하나로서, 1994년에 관광특구로 지정된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이곳에는 해운대온천이 있고, 여름철이면 100만 명 이상의 피서객이 모여들고 있다. 이밖의 해수욕장으로는 광안리·송정·송도·다대포·일광 등이 있으며, 특히 광안리해수욕장 일대에는 카페촌이 형성되어 젊은이들의 명소가 되고 있다. 태종대와 몰운대는 울창한 수림으로 둘러싸인 기암절벽의 절경을 이루며, 부산항의 상징인 오륙도는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부산의 본산이라 할 수 있는 금정산도 관광지로서 손색이 없다. 금정산의 남쪽 기슭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온천인 동래온천과 동물원·식물원을 비롯해 케이블카 등 많은 위락시설이 구비되어 있는 금강공원이 있다. 북쪽 중턱의 수목이 울창한 계곡에는 우리나라 삼대본산의 하나로 많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는 범어사가 있으며, 산꼭대기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금정산성이 있다.

    

그외에도 충렬사·안락서원 등의 역사유적, 대청공원·용두산공원·어린이대공원·자성대공원 등의 시민공원, 동양 제일의 철새도래지인 낙동강 하구의 을숙도, 어패류 전문시장인 자갈치시장, 그리고 시립박물관·복천동고분박물관·유엔묘지 등도 주요 관광지이다.

 

해변을 따라 발달한 해수욕장과 온천 등 관광자원이 풍부해 적극적인 관광개발을 통해 국제관광도시로 키워 나갈 계획이다. 주요 관광지인 태종대·해운대·황령산이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있으며, 금강공원, 동래온천, UN군묘지, 용두산공원, 범어사, 성지곡유원지, 그리고 해운대·광안리·송정·송도·다대포 등 5대 해수욕장, 낙동강하구, 자갈치시장, 국제시장, 을숙도, 오륙도 등이 유명하다.

 

대한민국 최고의 해수욕장인 해운대 해수욕장, 광안대교 야경으로 유명한 매년 부산세계불꽃축제가 열리는 수영구 광안동에 있는 광안리 해수욕장,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원형지름 60m, 최대 물높이 55m, 물 분사 노즐수 1046, 조명 511, 소분수 24개 등을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바닥음악분수)가 있는 다대포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에 가깝고 비교적 한적한 송정 해수욕장, 최초의 공설 해수욕장인 송도 해수욕장, 임랑 해수욕장 그리고 일광 해수욕장이 있다.

 

 

 

 

국내 최고의 관광지 가운데 한 곳으로, 관광·영상·MICE 산업이 중심인 지역이며, 인구수 기준 부산 최대 자치구인 해운대, 부산 최대 번화가인 서면, 부산의 구도심으로 롯데백화점 광복점 개점과 거가대교 개통으로 다시 옛날의 명성을 찾고 있는남포동, 수영강 변에 있는 첨단 산업 단지로 벡스코, 영화의전당, 부산시립미술관,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 등이 있는 센텀시티, 광안대교·횟집·카페 등 다양한 문화·오락시설이 있는 광안리, 세계 유일의 6·25 해외참전군인들의 UN묘지, 부산시립박물관 및 부산문화회관이 있는 UN기념공원, 동래 온천, 해운대 온천, 부산경남경마공원, 도심 공원으로 부산타워가 유명한 용두산공원, 동백섬에 있는 누리마루 APEC 하우스, 해운대해수욕장 해변에 있는 부산아쿠아리움 등이 있다. 그러나 2013년 현재 놀이공원과 동물원은 하나도 없다. 하지만, 2014년 상반기 어린이 대공원 동물원이 '더파크'로 재개장할 예정이다. 1980년 충무공의 부산포 해전승전일인 105일을 부산시민의 날로 제정한 후 매년 각종 문화·체육 행사가 벌어져 시민의 축제일이 되고 있다.

 

 

 

 

다대포와 몰운대, 젊은이들의 명소가 된 광안리해수욕장·카페촌·송정해수욕장

태종대는 기암괴석과 울창한 송림이 있어 해금강을 연상

맑은 날씨에는 항도부산의 상징인 오륙도와 대마도가 가까이 보인다.

동래에는 동래온천과 금강공원

금정산성은 산성마을의 막걸리와 염소고기로 유명

금정산 중턱의 범어사는 한국 31본산의 하나

용두산공원·대청공원·성지곡유원지 등과 부산시립박물관, 유엔 묘지

철새도래지로 유명한 을숙도

광안대교

오륙도

태종대

범어사

해운대 해수욕장

부산타워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사직야구장

금정산성

해동용궁사

부산세계불꽃축제

부산시티투어

 

 

 

 

 

자연 공원

천연기념물인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부산의 상징인 오륙도, 기암괴석이 장관인 태종대, 아름다운 해안인 이기대, 육계도로 동백꽃이 유명한 동백섬 그리고 대한팔경의 하나인 해운대 달맞이언덕

 

체육 시설

수영만 요트경기장,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사직 야구장, 2002FIFA 월드컵과 2002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된 곳인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 구덕운동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승마 종목이 열렸던 경기장인 부산경남경마공원, 2002년 아시안 게임 사이클 종목이 열렸던 금정경륜장, 2002년 아시안 게임 양궁 경기가 열렸던 강서체육공원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구덕경기장

부산종합운동장

수영 요트 경기장, 영도 승마장, 영도 사격장

부산 아이파크 (K리그 클래식)

롯데 자이언츠 (한국프로야구)

관중 수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프로야구팀이다.

부산 KT 소닉붐 (KBL)

부산경남경마공원

    

 

박물관·미술관

영도구 동삼동에 있는 종합 해양박물관인 국립해양박물관, 남구 대연동에 있는 부산시립박물관,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복천박물관,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 내부에 위치한 임진왜란 역사박물관인 동래읍성임진왜란역사관,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동아대학교 박물관,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며 미문화원으로 널리 알려진 중구 대청동에 있는 부산근대역사관 그리고 해운대 벡스코 옆에 위치한 부산시립미술관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부산대학교·동아대학교·경성대학교·동의대학교·부경대학교·한국해양대학교·신라대학교

부산시민회관

 

도서관·과학관

부산에는 도서관이 총 27개가 있으며, 그 외에도 사립도서관, 대학도서관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부산시립도서관, 공공과학관으로 초읍 어린이대공원에 있는 부산어린이회관 그리고 부산진구 연지동에 있는 LG사이언스홀 등이 있다.

 

 

 

 

부산 배경 영화·드라마

친구 (영화) (2001)친구2 (2013)해운대 (영화) (2009)부산 (영화) (2009)범죄와의 전쟁(2012)바람 (영화) (2010)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2002)퍼펙트 게임 (2011), (2011)태풍 (영화) (2005)친절한 금자씨 (2005)박수건달 (2012)신세계 (영화) (2012)도둑들 (2012)몽타주 (영화) (2013)소원 (영화) (2013)푸른소금 (2011)황해 (영화) (2010)내 사랑 내 곁에 (2009)위험한 상견례 (2011)무적자 (2010)부당거래 (2010)애자 (영화) (2009)달콤한 거짓말 (2008)마린보이 (2008)사랑 (영화) (2007)피아노 (2002)어느 멋진 날 (2006)드림 (2009)친구, 우리들의 전설 (2009)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 (2010)영도다리를 건너다 (2011)적도의 남자 (2012)골든 타임 (2012)해운대 연인들 (2012)응답하라 199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