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가 돌아오고 있다
문화평론가 하재근의 ‘컬처 톡’ 23
[서울톡톡] 1990년대 복고 열풍이 불고 있다. 홍대 앞과 강남에선 90년대 복고 클럽이 인기를 끌고, 90년대의 아이돌도 각광받고 있으며, 90년대에 유행했던 디자인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1990년대의 풍경을 그리는 드라마 <응답하라 1994>가 방송가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열풍을 견인하고 있다.
<응답하라 1994>는 1990년대에 서울 하숙집에 모인 지방 출신 대학생들의 삶을 통해 당시의 일상사를 그린 작품으로, 작년에 방영됐던 <응답하라 1997>의 후속작이다. 이 두 작품이 연이어 방송가를 강타하면서 90년대를 소환하고 있는 것이다. 이 드라마들을 통해 90년대의 히트곡들이 잇따라 음원차트에 오르고 있다. 세시봉과 함께 불었던 7080 복고 열풍이 90년대 복고로 넘어가는 분위기다.
90년대가 복고의 중심이 된 것은 당시에 청춘을 보냈던 세대가 어느덧 나이를 먹어 과거를 돌아볼 때가 됐기 때문이다. 이들은 당시에 '엑스세대'라고 불리며 한국사회에 큰 충격을 줬고, 이들 때문에 본격적으로 신세대 담론이 나타났었다. 그랬던 신세대들이 이젠 과거를 추억하는 30~40대가 된 것이다. 이들은 인구도 많고 구매력도 크다. 게다가 문화적 활동성도 20대 못지않게 크다. 따라서 이들이 움직이면 대중문화시장이 흔들린다.
1990년대는 한국사회에 질적인 변환이 일어났던 시대였다. 당시에 세계적으론 냉전 대립체제가 끝났고, 국내적으론 산업화와 민주화가 어느 정도 일단락됐다. 냉전 체제가 끝났다는 건 이념적 경직성에서 자유로워졌다는 뜻이고, 산업화가 일단락됐다는 건 경제적 풍요가 시작됐다는 것, 민주화가 일단락됐다는 건 젊은이들의 열정이 자유롭게 표출될 조건이 형성됐다는 의미였다. 그에 따라 당당하게 욕망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가 등장했고, 이들은 그 전 산업화 시대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소비사회의 주역이 됐다.
이들은 그 전까지 비교적 차분했던 한국 가요를 밀어내고 서태지와 아이들을 중심으로 한 댄스음악 혁명을 주도했다. 기성세대가 이런 격변에 얼마나 경악하며 반발했던지, '서태지 악마주의 파동'까지 일어날 정도였다. 90년대의 새로운 흐름을 도저히 편안하게는 받아들이지 못했던 것이다. 그렇게 격렬한 반발이 있었지만 신세대는 전진했고, 결국 HOT에 이르러 변화는 돌이킬 수 없는 것으로 확정됐다.
90년대의 의미...
신세대는 개인휴대통신을 처음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90년대는 삐삐에서 시티폰, 그리고 CDMA, PCS 등이 잇따라 나온 통신의 폭발적 발전기였다. 또 이들은 파란 화면의 PC통신으로 가상세계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처음 경험한 세대이기도 했다. 채팅이나 게시판 동호회 활동 등이 이때 처음 시작됐다. PC통신은 90년대 말에 이르러 초고속 통신망 인터넷으로 발전하고, 개인휴대통신과 인터넷의 발달은 거대한 IT 벤쳐붐을 만들어냈다.
오늘날 싸이 등을 통해 인기를 끄는 B급문화도 90년대에 나타났다. B급문화는 재미와 쾌락을 최우선적으로 여기는 태도인데, 경제적으로 궁핍하고 이념적으로 엄숙했던 산업화·민주화의 시대엔 청년문화 속에 B급문화가 자리할 여유가 없었다. 80년대까지만 해도 세상은, 삶은 청년에게 한없이 무거운 것이었다. 9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욕망을 내세우는 박진영이라든가, '양아치' 정신을 내세운 DJ DOC 등이 등장해 싸이의 선구가 될 수 있었다. 김혜수가 강렬한 노출 드레스를 통해 2000년대를 예비한 것도 90년대였다.
이렇게 보면 2000년대가 바로 90년대에 만들어졌다는 걸 알 수 있다. 심지어 2000년대를 특징짓는 해고의 불안, 양극화, 상시적 구조조정, 비정규직 등도 모두 90년대에 태어났다. 90년대는 바로 풍요의 정점이었으며 동시에 불안의 시작이었고, 그 전과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만들어내며 2000년대를 잉태한 문화적 대폭발의 시기였다. 그렇기 때문에 90년대는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이것이 30~40 세대뿐만이 아니라 20대까지도 90년대 복고 열풍에 동참하며, 매체들이 90년대에 비상한 관심을 보이는 이유라고 하겠다.
'길에게 세상구경을 물어본다. > 세상 쳐다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 서울의 심장부, 중구 中區 (0) | 2013.12.11 |
---|---|
‘희망서울 생활지표’ 인포그래픽 … (1) 노후준비 방법 (0) | 2013.12.11 |
‘한파백서’ 건강, 생활, 자동차 편 (0) | 2013.12.11 |
12.12~17 정독도서관 등 3개 도서관에서 ‘독서론, 독서법’ 등 강연 (0) | 2013.12.11 |
선유도공원 이야기관을 되살린 건축가, 조성룡의 공공건축 이야기 (0) | 201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