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된 것은 1600 여년 전이다.그 장구한 역사속에서 불교는 한민족의 문화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으며, 현재까지 그 문화의 유산을 남겨오고 있다. 불교가 전래된 국가중에서 한민족의 정신과 가장 잘 융화되고 있는 불교유적지를 찾는 것은 또 다른 우리문화를 만날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된다.
불교는 삼국 시대에 들어왔다. 가장 먼저 고구려가 소수림왕 2년(372)에 받아들이고, 백제가 침류왕 즉위년(384)에, 신라가 법흥왕 14년(527)에 받아들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삼국에 불교가 처음 도입된 것은 훨씬 이전으로, 고구려는 372 이전, 백제는 384년 이전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불교의 도입 시기에 비해 공인이 늦어진 것은 토착 종교와의 갈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토착 종교는 자연주의적 신(神)관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지배 세력층의 선민(先民)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해 주었으며, 이러한 기준으로 보면 왕과 최고 귀족들은 같은 천강지응족으로 대등한 입장인 셈이다.
그런데 왕권이 강화됨으로써 왕은 다른 귀족들을 초월하는 절대 권위를 확립하고자 고등 종교인 불교를 도입해 왕즉불(王卽佛), 왕이 곧 부처라는 정치 이념을 내세웠다. 결국 왕과 귀족들의 정치적, 종교적 입장이 대립함으로써 불교 공인이 늦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결국 국왕 주도로 불교가 공인된 이후 왕의 권위는 급상승했으며, 신라는 토착 종교로 신성시하던 신성 구역에 절을 짓거나 불상을 조성하는 등 불교가 토착 종교를 빠르게 대체해갔다.
이후 불교는 국왕의 정치 이념에만 머무르지 않고 귀족 불교로, 서민들의 신앙으로 영역을 넓혀갔다. 그리하여 불교는 교학(敎學)과 신앙이라는 종교 본래의 정신을 발휘하여, 신정(神政)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하는 고대 사상의 틀을 깨뜨리고 중세 사상을 마련하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고려 시대로 들어오면 정치 이념이었던 유교와 함께 불교는 가장 강력한 통치 이념이었다. 그러나 고려 후기에는 불교가 권문세족과 결탁해 세속화됨으로써 타락하였으며, 고려 왕조 몰락의 한 요인이 되기도 했다. 당시 사찰은 막대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고, 고리대업과 상업에도 손을 대어 부패가 심했다. 이로 인해 조선시대에 들어와 초기에는 강력한 배불 숭유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불교는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세조나 문정왕후 시기에 몇 차례 부흥이 있었으며, 임진왜란 등 국난이 있었을 때 불교는 호국 종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화쟁사상은 통불교라는 한국 고유의 사상으로, 종파를 초월하여 불교를 통합해야 한다는 요지를 가지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이후 고려의 승려 의천의 천태종에서도 명맥이 이어졌다.
원효와 같은 시대의 인물인 의상은 화엄 사상을 내세워 화엄종을 개창하였다. 이는 하나 속에 우주 만물을 아우르려는 사상으로, 전제 정치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선종은 삼국 통일 전후에 전래되었으나, 교종에 눌려 빛을 보지 못하다 신라 말기에 교종의 전통과 권위에 대항하면서 크게 유행하였다. 교종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우선시하며, 화엄종과 의천의 천태종을 가리킨다. 선종은 이에 비해 스스로 사색하여 진리를 깨닫는 것을 중시하고, 개인적인 정신 세계를 찾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선종은 지방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려는 호족의 취향에 어울렸으며, 새로운 시대의 정시전 기반이 되었다. 이후 선종은 호족들과 관계를 가지면서 각 지방에 본거지를 두고 여러 종파를 이루었는데, 그 중 유력한 것이 9산이었다. 선종은 중국 당에 유학중이된 학자들의 반신라적 움직임과, 호족들과 결부되어 고려 왕조 개창의 정신적 바탕이 되었다.
'길에게 세상구경을 물어본다. > 밥 먹고 도시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통일의 자취가 있는 탐방지 (0) | 2013.04.21 |
---|---|
한국의 왕릉 탐방 (0) | 2013.04.20 |
궁궐탐방 (0) | 2013.04.19 |
동학농민운동의 자취 탐방 (0) | 2013.04.18 |
과학문화재 (0) | 201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