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역사탐방 21탄
6 · 25 전쟁 (1950년 ~ 1952년)
1950년 6월 25일 북한 공산군이 38선 전역에 걸쳐 불법 남침함으로써 일어난 전쟁
전쟁기간 |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
기념행사 | 6.25 전쟁 기념식
6.25 전쟁사 | 해방과 분단, 북한의 남침준비, 남침에서 휴전까지, UN군 참전
관련정보 | 전쟁기념관 | 국립서울현충원 | 6.25 60주년 기념사업 위원회 | 국가보훈처 | 6월 기념일
추천영상 | [역사특강] - 끝나지 않은 전쟁, 6.25
http://ebs.daum.net/historylecture/episode/7102
http://www.kbs.co.kr/section/adTest.html
http://www.warmemo.or.kr/main.jsp
http://www.keons.com.ne.kr/Kwphoto/kwphotos.htm
http://www.abductions625.go.kr/
http://blog.naver.com/kimseogk/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700&mobile&categoryId=3065
http://100.daum.net/search/search_media_popup.do?lo=p&id=0_k17a000101a4.flv&type=video
한국 전쟁(韓國戰爭) (Korean war, 韓戰)은 1950년 6월 25일 이 후에 발생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전쟁 또는 내전이다.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4시, 한반도를 지나는 북위 38도선 이북을 점유하고 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인민군이 38도선을 넘어 이남의 대한민국을 남침함으로써 발발하였다. 1953년 7월 27일의 정전 협정으로 말미암아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현재까지 서류상으로 정전 중이지만, 정전 이후 쌍방 간에 크고 작은 국지적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경, 중화인민공화국의 마오쩌둥과 소비에트 연방의 스탈린의 지원을 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소비에트 연방에서 제조한 탱크로 38도선을 넘어 남침해 왔다. 오전 9시경에는 개성 방어선을 격파하고 당일 오전에 동두천, 포천을 함락시켰다. 26일 오후에 의정부를, 27일 정오에는 이미 서울 도봉구의 창동 방어선을 넘고 있었다. 창동 방어선이 뚫린 대한민국 국군은 강북구의 미아동에 있는 미아리 고개에 미아리 방어선을 구축하였으나 결국 조선인민군의 전차에 의해 붕괴되었다. 28일 새벽 2시 30분에는 한강에 있던 한강대교가 폭파되었고, 이후 서울에는 공산군이 주둔하였다. 7월 14일에는 대한민국 국군의 지휘권이 미군에게 넘어갔다.
대한민국 정부는 대전에서 대구를 거쳐 부산까지 이전하였다. 1950년 9월 15일에는 더글러스 맥아더의 인천 상륙 작전으로 같은 해 9월 28일에 낙동강 방어선을 넘었고, 10월 19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평양에 다다랐으나, 중국인민지원군의 개입으로 전세가 역전되었으며, 그 와중에 거창 양민 학살 사건, 국민 방위군 사건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 1953년 7월 27일에는 휴전선을 중심으로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고, 한국 전쟁은 원칙적으로 현재까지도 존속되고 있다.
3년 동안 계속된 이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숨지거나 다치고, 대부분의 산업 시설들이 파괴되는 등 양국 모두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이 결과로 남북 간 서로에 대한 적대적 감정이 팽배하게 되었다.
공식적으로 6·25 사변(六二五事變) 혹은 6.25 전쟁(六二五戰爭), 한국동란(韓國動亂), 6·25 동란(六二五動亂)으로 부르기도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전쟁(祖國解放戰爭)으로 부른다. 조선 전쟁(朝鮮戦争 일본), 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戰爭, 중국) 등 입장에 따라 제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미국는 잊혀진 전쟁(The Forgotten War)으로도 부르기도 한다.
배경
1945년 일본군 무장해제를 명분으로 진주한 소련군과 미국군에 의해 남북분단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38도선 분쟁
한국전쟁 직전 남북 군사상황
1948년 소련과 1949년 미군 (군사고문단)이 점령군 철수
1948년 각각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수립
미 군부의 전략
미 군부는 한반도 '전략적으로 포기할' 계획과 도서방위선 “애치슨 라인”을 구축해 소련과 3차 대전을 수행한다는 계획 수립의 1946년 수립한 핀서 계획과 문라이즈 계획
1949년 김일성의 스탈린 설득과 마오쩌둥의 지지로 소련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쟁 원조
좌와 우의 대한민국 내부의 혼란
조선노둥당의 독재와 숙청
이승만의 허황된 북진통일론
1950년 일본 공산당의 과격시위
한국 전쟁 전에 있던 전투
1949년~1950년, ‘작은전쟁’ 옹진 반도, 개성, 의정부, 춘천, 강릉부근에서 전투 수행
1948년 4월 3일 : 제주 4·3 사건
1948년 10월 19일 : 여수·순천 사건
1949년 12월 24일 : 문경 양민학살 사건.
원인
김일성의 남침
남조선로동당 박헌영의 설득을 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이 대규모의 대한민국 침입을 계획하고 스탈린의 재가를 얻어 개시된 것으로 밝혀졌다.
과거의 한국전쟁 원인 가설
스탈린 주도설
한미 공모설
내란 확전설
1.작은 전쟁( ~ 1950년 6월 25일): 38선 부근에서의 국지적 무력 충돌
2.제한 전쟁(1950년 6월 25일 ~ 1950년 7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규모 무력 동원을 통해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전격 침탈하여 불법으로 통일 정부를 수립
3.전면 전쟁(1950년 7월 1일 ~ 1950년 10월): 일본에 주둔하고 있던 대대규모의 미군 스미스부대가 참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7월 1일부로 전시국가총동원령을 발령
4.확대 전쟁(1950년 10월 ~ 1951년 6월): 인천상륙작전의 성공 후 UN연합군은 서울을 수복함. 이후 항복을 재차 권고했으나 대답이 없어, 국군이 최초로 38선을 넘어 북진 시작, 곧 국제연합군(UN군)도 진격시작, 평양수복, 압록강까지 진격했으나, 중국 인민해방군 참전
5.고착 전쟁(1951년 6월 ~ ): 중국 인민해방군의 2차례에 걸친 춘계공세를 막아내고 연합군의 막강한 화력에 공산측이 정전협정
전쟁준비
조·소 비밀회담과 '조·소 경제·문화협정' 체결
제 4 야전군 휘하 제 55군단 166사단과 조선인민군 제 7사단(12사단), 오토바이 연대의 조선 의용군 입북
준비 과정 수립
김일성과 박헌영의 주도로, 김책, 무정, 리승엽 등 남로당, 강건, 김웅, 김광협, 방호산, 이권무, 김창덕, 유경수의 적극 찬성이에 비해 최용건은 적극 반대와 김두봉, 홍명희, 장시우 소극적 찬성
경과
경위
1949년 9월 30일 이승만은 "우리는 북한의 실지(失地)를 회복할 수 있으며 북한의 우리 동포들은 우리들이 소탕할 것을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채병덕 육군참모총장은 "아침은 개성에서 점심은 평양에서 저녁은 신의주에서 먹겠다." 하였다. 이 발언은 미국이무기를 한국군에게 제공하지 않은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1950년 6월 24일 육군본부 정보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규모 병력이 38선에 집결했다는 보고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군 수뇌부는 바로 그 날 비상경계를 해제, 주말에 병력이 외출했다.
박정희의 군사반란 모의 시도 실패
이형근은 저서 《군번 1번의 외길인생》에서 6.25 초기의 10대 불가사의를 제기, 지휘관을 교체, 전방 부대의 위치 변경, 전방 부대의 중화기와 차량 중 60%가량을 후방 배치
발발
"장병들은 누구를 막론하고 빨리 원대복귀하라“
6월 27일, 정부는 대전 – 이리 – 목포 - 부산 피신
6월 28일, 한강 철교 폭파
6월 27일 보도연맹원 처형
1950년, 이승만은 일본 야마구치 현에 망명정부 설치방안 모색
1950년 6월 28일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3일의 의문점
첫째 춘천전투의 패전으로 인한 포위계획 실패, 둘째 도하장비 부족, 셋째 남로당 책임자인 박헌영이 전쟁 발발시 20만 명의 남로당원의 일제 봉기로 대한민국 자체가 조기 붕괴시키겠다고 주장 하였다는 설
유엔군의 참전
6월 26일, 주미 한국대사 장면
UN 안전보장이사회는 6월 26일 소집 "조선인민군의 즉각적인 전투 행위 중지와 38도선 이북으로의 철수"를 요청하는 결의안을 9대 0으로 가결하였다.(유고슬라비아는 기권)
한국군을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의 지휘 하에 편입, 대폭 증강하여 낙동강을 마지막 방어선으로 삼고 반격
UN군의 참전 결의
몽클라르 장군 (프)
타흐신 야즈즈 장군 (터)
콜롬비아의 게릴라 용병부대
에티오피아의 황제 친위대
뉴질랜드의 마오리족
미군의 참전
낙동강선을 마지막 방어선
6월 30일 해리 S. 트루먼이 더글러스 맥아더에게 권한부여
스미스 부대(Task Force Smith) 의 오산전투와 패배
7월 10일, 장면은 "38선은 의미를 상실했으며 전한국의 해방과 통일은 필수적"이라고 주장
7월 13일, 이승만은"조선인민군의 행동은 38선을 제거시켜 주었고, 38선에 의한 분단이 지속되는 한 한반도에서 평화와 질서는 결코 유지될 수 없다.", "침략자를 격퇴하는 데 있어 한국군은 결코 38선에서 멈추지 않을 것이다"고 주장하였다.
윌리엄 F. 딘 소장이 이끄는 육군 24사단을 대전 투입과 패배
대구 후퇴와 다부동 전투
8월까지 조선인민군은 대구 점령
제1사단장 백선엽은 다부동 전투와 승리
8월 3일 유엔군은 마산-왜관-영덕을 잇는 낙동강 방어선 구축
UN에서의 설득 작업
장면와 소련 말리크의 충돌
‘1950년 소련제’라는 철인이 찍힌 소련제 소총 한 정을 증거물로 제시
“대한민국의 북침” 주장과 “한국민들끼리의 내란”이라는 주장을 반박하는 연설
인천 상륙 작전과 서울 수복
미 제5해병연대와 월미도
국군 제17연대, 미군 제7사단, 미국 1 해병사단이 주도
9월 28일에 서울 수복, 10월 10일에 원산, 10월 19일에 평양 점령, 10월 26일에 서부는 청천강 북부와 압록강의 초산, 중부는 장진호까지 진격, 동부는 압록강의 혜산진까지 진격. 11월 두만강 진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계이동
중공의 참전과 1.4 후퇴
중화인민공화국의 마오쩌둥은 미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기면 머지않아 바로 중화인민공화국도 공격할 것이고, 미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공격하기 시작하면, 타이완도 중화민국 통일을 위해, 쳐들어올 거라는 추측으로 인해 결국, 마오쩌둥은 한반도에서 미국과 싸워서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의 공산주의 혁명을 지켜야 되는 목표를 삼았었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인해전술
한국군과 유엔군은 38도선 이북에서의 대대적 철수 계획
12월 4일에 평양철수, 12월 9일는 UN군이 원산 철수, 1월 4일 서울 철수, 1월 7일 수원 함락
1월 12일 일본군의 참전설에 이승만은 반대
3월 2일에 한국군이 14일에는 서울 수복
3월 24일 유엔군은 방어선을 쳤다. 이것이 지금의 휴전선이다. 소련이 전쟁에 부분적 참전
휴전 협정
이승만은 1951년 6월 9일 38선 정전의 결사반대 선언
6월 27일 소련의 정전안을 거부
1951년 7월에 정전 회담이 개시된 후 세계 전쟁 사상 처음 보는 제한 전쟁
1951년 9월 20일 이승만은 정전 수락의 전제조건 제시
1952년 1월 27일에 군사분계선 문제 타결
1952년 5월 합의
미국은 현상유지 차원의 휴전협정을 추진과 소련의 부분 참전으로 세계는 냉전체제와 제3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거라는 가능성이 커질 거라고 생각했다. 이로 인해, 유엔군과 중국 인민해방군은 한국전쟁을 중단, 정전 합의
1952년 3월 이승만은 휴전은 한국에 대한 “사형선고” 주장과 평화 협정 반대
1953년 3월 5일 스탈린의 죽음
1953년 3월 19일 소련 내각은 '한국 전쟁을 정치적으로 마감한다.'는 결정 통보
1953년 5월 30일 이승만은 아이젠하워에게 한미상호방위조약 요구
1953년 6월 18일 이승만은 휴전 협정을 방해할 목적으로 포로 석방과 미국은 이승만 제거 작전 계획
1953년 7월 27일에 판문점에서 휴전 협정이 조인
1953년 8월 28일 제7차 국제 연합 총회는 결의 711호를 통해 휴전협정을 인준, 협정 4조60항이 한반도 통일을 위한 정치회의 개최 선언
2007년 남북 정상 회담으로 종전 선언 문제 추진 협력
정전 협정 이후의 충돌
1968년, 1·21 사태 김신조 사건
1999년, 제1연평해전
2002년, 제2연평해전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망 사건
2009년, 대청해전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
2010년, 연평도 포격
망명 정부 계획
1950년 6월27일 이승만의 일본 야마구치 현에 망명정부를 설치 방안모색과 미국의 서사모아 제도 근처의 사바이섬이나 우폴루섬에 '신한국'을 창설 계획
피해
3년 1개월에 걸친 한국 전쟁은 한반도 전체를 폐허화, 1차 세계대전에 맞먹는다. 그 밖에도 약 20만 명의 전쟁 미망인과 10여만 명 전쟁 고아, 1천여만 명이 이산가족,. 그리고, 45%에 이르는 공업 시설이 파괴되어 경제적, 사회적 암흑기를 초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13만 명의 인구가 사망, 250만 명 사망, 미군은 약 54,000명의 사망 60만 명 사망 그 중 85%는 민간인이다.
1950년 7월, 노근리 학살사건
1951년, 거창 민간인 학살사건
1950년 보도연맹 사건
1951년, 산청·함양 양민학살 사건
1951년, 강화 양민학살 사건
인민재판 등의 전시 민간인 학살피해자
1951년 1월 국민방위군 사건
이승만정권의 반공주의
한국의 우경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산주의적인 산업화과 대규모 공업단지가 완전 소실
미국 윌리엄 F. 딘의 포로
전쟁 중의 인권유린 문제
한국 전쟁 중의 거창 양민 학살 사건이나 노근리 사건 등의 양민 학살 사건, 정치인 납북 사건, 협력자 사살 등의 문제에 대한 비판 여론이 있다.
평가
대한민국을 비롯한 세계 대부분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이 한반도 전체를 공산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38도선 전역에 걸쳐서 대한민국에 대한 무력 침공을 감행하였다는 남침설을 정설로 보고 있다. 3년 동안 계속된 이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숨지거나 다치고, 대부분의 산업 시설들이 파괴되는 등 양국 모두가 큰 피해를 입었으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에 서로에 대한 적대적 감정이 팽배하게 되어 한반도 분단이 더욱 고착화되면서, 지금까지도 분단 국가로 남아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6/21/2010062100181.html
http://news.donga.com/Total/3//20080704/8598236/1
http://news.kbs.co.kr/world/2010/06/16/2113578.html#//
http://news.kbs.co.kr/tvnews/news9/2010/06/24/2118018.html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37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016174&cloc=olink|article|default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27607.html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20451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28
http://www.army.mil.kr/gbbs/gunsa/pdf/122.pd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0623016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6/08/14/200608140500031/200608140500031_1.html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8/02/12/200802120500004/200802120500004_1.htm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042289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494305
http://pann.nate.com/video/16100770
http://www.imhc.mil.kr/imhcroot/data/korea.jsp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792091&cp=nv
http://news.donga.com/3/all/20100617/29170031/1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67241&PAGE_CD=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67635&PAGE_CD=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513520&category=mbn00006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513520&category=mbn00006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616010005
http://news.kbs.co.kr/world/2010/06/18/2114679.htm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6/23/2010062300185.html
http://www.foia.cia.gov/KoreanWar.asp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71510
한국 전쟁 전투 목록 정전 이후의 전투 및 국지도발 1·21 사태 김신조 무장공비 침투사건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대청해전 천안함 사태 연평도 포격 56함 피격침몰사건 해군방송선 피랍사건 해경경비정 제863호 피격사건 재일학도의용군 |
제1공화국 이승만 이시영 망명정부 백선엽 인천 상륙 작전 더글라스 맥아더 강계시 평양 철수 1·4 후퇴 인해전술 |
대한민국 국군 백인엽 신성모 신익희 원용덕 이범석 윌리엄 F. 딘 해리 트루먼 존 무초 김홍일 김일성 김종필 |
박헌영 리승엽 김신 장면 최용덕 한신 주한미군 9·28 수복 마오 쩌둥 이오시프 스탈린 중화인민지원군 조선인민군 |
한국 전쟁 작품 《전우》 1975년 드라마 《전우》 1983년 드라마 《야인시대》 2003년 드라마 《태극기 휘날리며》 2003년 영화 《서울 1945》 2006년 드라마 《전우》 2010년 드라마 《로드 넘버원》 2010년 드라마 《포화 속으로》 : 2010년 영화 《고지전》 : 2011년 영화
|
전시작전통제권 [戰時作戰統制權]
전쟁 발생시 군대의 작전을 총괄 지휘하고 통제하는 권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국 군대의 전시 및 평시 작전권을 각 국가가 갖는다. 단, 현재 대한민국은 전시 작전권을 한미연합사령부(ROK-US CFC)에 이양하고 있다. 연합군에서 작전통제권을 어느 쪽이 갖느냐는 문제는 매우 민감한 사안인데, 전문가들은 ‘NATO형’과 ‘일본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한국군의 작전권은 평시작전통제권과 전시작전통제권으로 나뉘어 있다. 전시작전통제권은 유사시 한국군의 작전을 통제하는 권한을 말하는데, 전쟁이 일어나면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이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이관된다. 작전통제(Operational Control)는 특정 임무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정된 지휘관계를 의미하며 해당 부대에 대해 임무를 부여하고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이다. 이는 행정·군수·내부편성·부대훈련 등에 대한 권한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작전지휘(Operational Command)보다는 제한된 권한이다.
작전지휘권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14일 이승만 대통령이 맥아더 유엔군 사령관에게 국군의 작전지휘권(Command Authority)을 현 작전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이양(assign)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며 시작되었다. 이 서신은 7월 25일 유엔사무총장에게 전달되어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됨으로써 사후 추인을 받았다. 정전 후인 1954년 한미 합의의사록(1954. 11. 17)에 'UN사령부가 대한민국의 방위를 위한 책임을 부담하는 동안 대한민국 국군을 UN사령부의 작전지휘권 아래 둔다'라고 규정하여, 유엔군사령관이 지속적으로 한국군을 지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78년 11월 7일 한미연합사령부(CFC)가 창설되면서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은 유엔군사령부로부터 한미연합사령부로 이관되었다.
한편 평시작전통제권은 1988년 초부터 미국과 작전통제권 환수에 대한 협의를 시작한 후 1992년 말 '1994년 평시작전통제권 이양'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1994년 12월 1일 한국군에 대한 평시작전통제권은 한국 합참의장에게 환수되었다.
1994년 12월 1일 연합군사령관이 행사하던 한국군 평시작전통제권을 한국정부가 환수함으로써 44년 만에 평시 작전활동을 한국군이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목표로 하고 있는 2012년에 전시작전통제권도 환수하게 되면 주권국가의 국군으로서 거듭 새롭게 변신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ATO
나토 회원국은 전면전 상황에서 작전권을 나토 산하 유럽연합군 총사령부(SHAPE, Supreme Headquaters Allied Power Europe)에 이양한다. 단, 회원국마다 SHAPE 통제하에 두는 병력의 범위는 조금씩 달라서, 과거 서독의 경우 연방군 전 병력의 작전권을 넘겼던 반면 본토가 유럽과 멀리 떨어져 있는 캐나다는 유럽 파견병력의 작전권만을 이양하게 된다. SHAPE의 지휘관은 SACEUR(Supereme Allied Commander Europe)이라 불리며, SHAPE 창설부터 현재까지 항상 미군 장성(대장)이 취임하게 되어 있다. 원칙적으로는 SHAPE에 지휘권을 넘기는 병력의 범위는 각 회원국의 재량에 달려 있다.
일본
대한민국의 주한미군(USFK)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주일미군(USFJ)이 주둔하고 있으나, 대한민국과 달리 일본 자위대(JSDF)의 전시 및 평시 작전통제권을 일본 정부가 갖고 있다. 따라서 일본 전역 내에서 주일미군 또한 일본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작전한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체제는 기본적으로 NATO와 유사하다. 대한민국 국군 중 한미연합작전통제권에 들어있는 부대들의 전시 작전권은 한미연합사령부가, 평시 작전권은 한국 합동참모본부가 갖는다. 평시인 데프콘 4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국군이 지휘하며, 데프콘 3 부터 1까지는 한미연합사가 지휘권을 갖는다. 한미연합작전통제권에 들어있지 않은 부대로는 제 2 작전 사령부 예하 사단 전체, 특전사 여단 전체,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부대 전체 (인근의 2개 보병사단 포함)가 있다.
2010년 6월 27일 대한민국의 이명박 대통령과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군의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를 2015년 12월로 연기하기로 합의하였다. 단, 전작권 환수 시기 조정에 맞춰 필요한 실무 작업을 진행하도록 양국 국방장관에게 지시하기로 하였다. 재연기는 없는 것으로 하였다. 전작권 환수 이후에도 전시 대한민국 해군과 공군의 전시작전권은 계속 미군이 갖게 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9135&mobile&categoryId=54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458&mobile&categoryId=53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2125&mobile&categoryId=1598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jtjdu04&logNo=13009837238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8&aid=0000060642
http://news.kbs.co.kr/politics/2010/06/27/2119033.html
주한 미군 미군 장갑차에 의한 여중생 압사 사건 지위협정 주한미군지위협정 한미연합사령부(ROK-US CFC), 카투사(KATUSA) 주한미군방송 |
국방개혁 2020 국방개혁 307계획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환수 일본 자위대(JSDF) 판문점, UN군 군사분계선, 공동경비구역 서해 북방한계선 |
1. 용산 전쟁기념관
|
|
|
2. 철원 월정리 역
|
|
http://local.daum.net/localn/header.html?url=http://blog.daum.net/choonkn/8439004 |
3. 판문점
|
|
통일전망대 고성 |
4. 부산 임시 수도 기념관
|
|
|
5. 인천상륙작전 기념관
|
|
|
6. 노근리 평화공원
|
|
|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길에게 세상구경을 물어본다. > 지식의 피라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양념통 한국 전쟁 전투 목록 (0) | 2012.10.25 |
---|---|
한국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징 (0) | 2012.10.24 |
근현대사 역사탐방 20탄 세기의 라이벌 문화양념통 5탄 역사탐방지 (0) | 2012.10.20 |
근현대사 역사탐방 20탄, 세기의 라이벌 문하양념통 4탄 김구와 이승만 관계 (0) | 2012.10.20 |
근현대사 역사탐방 20탄, 세기의 라이벌 3편 이승만 (0) | 201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