草霧의 세상구경을 시작합니다./도시 공상하기

돈이란 무엇인가? / 3D프린터의 마술, 그림같은 집도 짓는다

草霧 2013. 8. 13. 10:56

 

 

 

돈이란 무엇인가?

세계미래포럼 이영탁 이사장(wff@wff.or.kr)

돈은 차가울까? 따뜻할까? 아니면, 돈은 추할까? 아름다울까? 참 대답이 쉽지 않은 문제이다. 이것은 결국 돈 자체가 아니라 돈을 가진 사람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는 문제다. 마치 같은 칼이라도 의사가 사용할 때는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도구가 되지만, 강도가 사용하면 흉기가 되는 것과 같다고 할까.

몇 해 전 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가 부모 없이 외롭게 공부하는 아이들을 위해 써 달라며 평생 어렵게 모은 재산을 한 자선단체에 기부하여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세상은 할머니에게서 빼앗아가기만 했는데도 할머니는 자신이 가진 전부를 세상에 베풀었다. 그래서 그 단체에서는 할머니가 기부한 돈으로 할머니의 이름을 딴 별도 기금을 만들어서 소년소녀가장이나 불우한 학생들의 학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런 경우라면 누가 보아도 돈은 따뜻하고 아름다운 존재이다. 

이번에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소개한다. 서울의 한 재래시장에서 일어났던 일이다. 새벽 무렵 야채장사를 하던 아주머니가 길을 건너다 그만 차에 치이는 사고를 당했다. 그 바람에 아주머니의 가방에서 한 뭉치의 지폐가 쏟아졌고, 돈은 바람에 날려 여기저기 흩어졌다. 사고 자동차는 그 길로 뺑소니를 쳐버렸고, 근처에 있던 사람들은 그 광경을 목격하고 뛰어나왔다. 그런데 사람들은 피투성이가 된 채 신음하는 아주머니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오직 흩날리는 돈을 줍는 데만 정신이 팔려 있었다. “사람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누군가 그렇게 외쳤지만 돈을 줍기 바쁜 사람들은 그 말이 들리지 않았다. 결국 경찰이 뒤늦게 도착했을 때는 사람들은 이미 사라져 버렸고, 아주머니의 몸은 싸늘하게 식어 있었다. 이렇게 보면 돈은 정말 비정하고 추한 모습이 된다.

그렇다고 돈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만일 돈이 말을 할 수 있다면 이렇게 얘기할지 모른다. “내가 어떤 모습으로 변하는가는 오로지 나를 가진 사람에게 달려 있다.” 따라서 돈은 그저 모으고 과시하는 도구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다른 사람과 어울려 사는 수단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왜냐하면 돈의 모습을 만들고, 돈에게 따뜻한 체온을 불어넣는 것은 바로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런 말도 있다. “부귀영화는 구할 때에 괴로움을 겪어야 하고, 얻고 나서는 지키느라 괴로움을 겪어야 하며, 후에 그것을 잃으면 다시 괴로움을 겪어야 하니 알고 보면 전혀 즐거움이 없다.” 그런데도 왜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귀를 그토록 열망하면서 살아갈까? 아마도 돈이 지닌 양면성보다는 우선의 편리함에 비중을 두고 판단하기 때문일 게다.

돈은 잘만 사용하면 우리들에게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좋지 못한 결과를 가져다주는 경우가 더 많다. 물질 위주의 사고방식은 갖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돈이면 무엇이든지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이야말로 옳지 않고 위험하다. 물질만능주의는 결국 정신적 측면을 소홀히 함으로써 인간사회를 황폐하게 한다. 역사적으로 개인이든 나라든 애써 일궈낸 부를 오랫동안 지탱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이와 같이 물질적인 것이 정신적인 것을 압도한 데 있었다.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샌델 교수는 최근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에서 돈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 나가고 있다. 돈은 원래 시장 안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데 유용한 도구다. 그런데 지난 30여년간 모든 것의 상품화로 인해 돈으로 거래되는 영역이 크게 넓어졌다. 예를 들어 건강, 교육, 공공안전, 국가보안, 환경보호 등이 그것이다. 한마디로 시장경제가 시장사회화함으로써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줄어들었다. 여기서 문제가 제기된다. 이 세상에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과 돈으로 사서는 안 되는 것들의 경계는 어디인가?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시장경제인가, 시장사회인가? 돈으로 거래할 수 있는 영역이 어디까지인지 선을 긋기는 쉽지 않겠지만 토론의 광장이 마련될 필요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

* 2013. 8. 5일자 서울신문에 게재된 칼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