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 구조와 사회관계를 바꾸고 그것을 통하여 인간 삶을 개선시키는 과정을 의미.
근대를 특징짓는 상태, 특히 합리성으로 대표되는 사고방식을 의미.
서구화 혹은 유럽 화와 동일시되면서 보다 세부적으로는 공업화, 민주화, 도시화, 합리화라는 의미를 함축
② 19세기 중엽에 네덜란드, 스위스, 스칸디나비아 국가들,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등 중북부 유럽의 국가들
④ 근대화는 단지 서구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님.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비유럽의 서구화된 국가들,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아시아와 북아프리카 국가 근대화로 감
⑤ 마지막은 20세기 후반에서야 근대화과정을 겪게 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
1>정치적 관점 : 통합된 영토와 주권에 입각하여 대내외적인 정당성을 확보한 국민국가형성
2>경제적 의미 : 산업화에 따른 생산과 소비를 통한 자본주의적인 체제의 수립
3.사회적 국면 : 사회적. 성적 분업 및 차별화된 사회구조가 성립되어 계급과 젠데 등이 불평등의 주요 축을 이루며, 이에 대한 반발로 자유 및 권리와 평등 개념 등장.
·서구 근대 산업 문명은 세속화, 합리화, 개별화를 증진시킴
·지식을 산출하고 분류하는 방식에 변화-과학적인 지식을 수집하고 기술적으로 적용.
사회 규제적 측면-신분 집단과 동업 조합, 지역집단이 행사하던 전통적응집성과 결속력약화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기술과 조직의 우위는 개인을 원자화 시키고 자발성 역시 위축.
종교개혁은 명확하게 양 문화를 단절시킴. 특히 국가와 결탁한 기독교 문화는 민중의 통제에 기여.
세속적 공권력은 그 통제를 보다 체계화했고 산업화 과정에서 강화된 노동통제는 민중문화를 더욱 위축시킴.
서구의 근대화과정은 비서구 지역으로의 팽창 및 침투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대략 1450년경부터 시작된 유럽 팽창의 과정은 대체로 다섯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단계는 유럽이 넓은 “새로운 세계”를 알게 되었던 팽창의 시기.
두 번째 단계는 이 “신세계”의 광범위한 부분들이 정치적으로 유럽에 부속되거나, 국제적인 상업체제에 편입되었던 초기의 정복 및 식민화의 시기이다.
세 번째 단계가 유럽적인 자본주의가 지구 전역의 시장으로 출현했던 시기
네 번째 단계는 1,2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지는 제국주의가 절정을 맞는 시기
서구와 타자간의 문화적 차이로 말미암아 문명권 사이의 긴장과 충돌을 야기하는 것으로 파악.
① 은의 생산량이 증가(세계유통의 1/4):중국의 회취법 도입
② 중국의 비단과 차 등을 수입(은을 지불) : 무역의 담당(왜구)
③1557년 마카오 거주권 획득 >마카오와 일본서단의 나가사키를 잇는 무역항로를 개설, 왜구세력과 경쟁
①1571년 마닐라 건설 동아시아 무역의 거점으로 삼음
1624년 타이와 남부에 성을 쌓고 1644년 인도네시아 자바를 점령 후 무역을 함
동아시아 무역과 경제의 급격한 변화는 정치적. 군사적변화를 가져옴
일본 : 조총 대량수입>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 통일
북방 : 1588년 누루하치 여진족의 건주부 통일하고 후금 건국
몽골 : 무역확대요구로 명은 긴장 상태>중국은 막대한 양의 은을 북방 전선의 군수자금으로 투입
일본과 만주 : 1592년(임진왜란), 1627년(정묘호란), 1636년(병자호란) 조선 침략
→일본은 실패 했지만 여진족의 청은 성공하여 1644년 쯔진청을 함락하고 명을 멸망시킴.
① 18세기 양쯔강 하류 지역의 농촌 수공업과 상업발달
② 전통적인 인기제품인 도자기, 비단, 차 등을 생산하여 세계에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대량의 은이 청에 유입됨.
③ 임금, 기술, 법적제도, 신용 등의 측면에서도 유럽이 중국 양쯔강 지역보다 뚜렷하게 선진적인 면은 없었고 두 지역 은 거의 동등한 수준의 발전단계를 보이고 있다.
선박- 타이의 양질 목재는 중국보다 쉽게 구할수 있어 중국 상인들은 중국 기술자를 방콕으로 데리고 가 선박을 만들어 중국으로 되팔았다.
② 주변국의 독자적인 노력으로 중국의 기술을 따라 잡은 경우
고려인이 송나라의 청자 기술을 받아들여 고려청자를 생산
비단, 면화, 차- 도쿠가와 바쿠후는 은의 유출을 막기 위해 18세기 중반 비단, 면화, 차를 자체생산에 성공하였고 훗날 일본을 대표하는 수출품이 되었다.
근세 일본의 경제적 성장: 일본의 수입 대체 산업의 성공적 요인은 농업 생산력의 상승이다.
- 경지개간 >정농주의 >근면혁명 등을 바탕으로 농업의 생산력을 높였다.
① 1820년대부터 은의 순유출시기가 시작되면서 중국과 유럽의 위치가 역전되기 시작했다.
② 아편전쟁- 영국의 급성장한 경제력을 배경으로 아편전쟁에서 승리리 거두고
③ 애로호사건- 애로호 사건으로 다시 서양 열강과 전쟁을 벌여 패배를 당하였다.
④ 양무운동- 서양과의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군사려과 경제력만을 육성하기 위한 양무운동을 전개하였다.(전통적인 통치 방식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국력은 강화할 수 없었다.)
⑤ 청일전쟁- 청일전쟁에서의 패배는 동아시아 국제 관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청이 패배하자 조선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청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청불전쟁 이후
베트남이 청의 지배에서 벗어난 것과 더불어 중화 체제의 해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①서양에 대한 태도- 불평등 조약을 바로잡기위해 근대화 정책에 박차를 가함.
- 청과조선의 근대화를 도우면서 정한론(조선을 정벌하자)이 일어남.
- 조선에는 강화도조약이라는 불평등조약을 강요하였고 타이완에는 군대를 파견함.
- 1880년대 초반 임오군란, 갑신정변 등으로 조선과 청의 대립이 심해지자 두 나라를 경멸하기 시작함.
- 1885년 조선과 청의 절교를 선언하며 탈아 입구론(아시아를 벗어나 유럽의 일원이 되자는 주 장)을 주장.
- 1890년에는 주권선, 이익선(일본을 지키기 위해 주권선인 일본열도를 방어해야 할 뿐 아니라,
일본의 이익에 관계되는 이익선, 즉 한반도까지 군대를 파견할 수 있다는 주장)을 내세움
- 청의 신사나 조선의 양반과는 달리 토지를 소유한 지주 계층이 아니었다.
- 무인들 이었다. 19세기 중엽 서양의 위협을 군사적 위협으로 민감하게 받아들였고 이에 대응했던 것이다.
- 중국: 서양의 정보가 일본보다 빨리 흘러들어갔으나 균등하게 전국적으로 파급되지 않았고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려 들지 않았다.
- 청: 18세기부터 대란위기보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내란의 방비를 우선시 했다.
문화적우월성을 중시하여 국지적인 군사적 패배는 그 권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 조선: 군사적 승산에 대한 고려보다는 명분에 입각해 군사적인 모험을 감행했다. 대원군 때의 병인양요, 신미양요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일본: 미국과 불평등 조약을 맺긴 하였으나 미국의 남북전쟁으로 내란에 휩싸여 일본에 많이 간여할 수 없었다.
① 일본이 근대화에 일찍 성공하여 타국의 근대화 세력에게 모범이 되고 전근대적인 질서에 충격을 가했다
- 조선은 중국보다 일찍 1881년 정부사절단인 수신사를 일본에 파견, 갑신정변을 일으킨 개화파들도 일본형 근대화모델에 깊은 관심을 가짐.
- 중국의 지식인들은 청일전쟁 패배에 충격을 받고 일본을 찾았다. 훗날 신해혁명의 주역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 1905년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자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의 지식인들도 도쿄로 유학 가자는 동유운동을 벌였다.
② 근대화로 강국이 된 일본이 위협적인 존재로 타국에 다가왔다
- 1876년 강화도조약과 1880년대 갑신정변을 통해 조선을 청의 국제 질서로부터 떼내려 했다.
- 청과 도쿠가와 바쿠후에 동시에 조공하고 있던 류큐왕국(현재의 오키나와)을 멸망시키고 메이지 정부의 직할 현으로 삼았다.
- 1894년 청일전쟁을 도발하여 승리함으로써 청 중심의 국제 질서에 종지부를 찍었다.
- 1905년 을사조약을 맺어 보호국으로 만들고 1910년에는 대한제국의 독립을 옹호한다는 약속을 저버리고 합병해 버렸다.
- 인도의 뭄바이가 아시아의 면업 생산기지로 발전한데 이어 일본에서도 19세기 후반 방적업과 방직업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 동아시아 무역은 중국상인, 인도상인, 화교상인들이 주도하여 유럽의 침투 속에서도 건재하였다.
서구의 근대 기점: 정치 혁명과 경제 혁명의 이중 혁명이 진행된 18세기 말
① 1851년 수정궁에서 대형 박람회(?세계의 공장?-영국이 지닌 장점과 우위를 과시, 보호무역의 시대가 끝나고 자유 무역의 시대가 열렸을 암시)
② 박람회 당시 영국: 세계의 철, 석탄, 직물의 절반을 생산하는 세계최대의 공업 국자이자 무역국가.
③ 기술과 생산 방식의 변화로 대량생산, 광범한 유통이 가능해지면서 절대빈곤에서 벗어나는 기반 마련
① 급속한 도시 성장으로 인해 주거 환경이나 급수 등 위생 여건이 악화되어 콜레라 유행으로 3만 1000명이 사망
② 자본과 이윤의 집중, 계층 간의 격차 심화, 경기 변동과 기술 변화로 인한 주기적인 실업, 생활여건을 악화시키는 도시화를 초래.
① 군주의 간섭을 견제하고 지주와 상공업 세력 사이에 일종의 정치적 타협을 이끌어 기업하기에 좋은 조건이 조성
② 이윤 활동을 합리화하는 프로테스탄티즘 및 경제적 개인주의와 합리주의가 빨리 확산
④ 농업 부문의 변화: 인클로저(양을 치기 위해 목초지를 확대하려는 목적으로 울타리를 치는 것)가
: 노퍽식(농사짓는 데 노동 집약적인 방식 대신 토지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경작으로
농촌 인구는 새로운 공업 도시로 이동해 산업 노동력 공급원이 됨.
⑤ 영아 사망률이 줄어 노동력 확보와 구내 시장 확대를 유리하게 함.
⑥ 석탄, 철이 풍부하고 해외 진출이 용이한 입지 조건을 갖춤.
: 케이가 자동 북 발명(면직물 생산, 손으로 할 때보다 2배 이상 빨라짐)
: 제임스와트의 증기기관(수력발전에 비해 입지조건이나 기후에 구애받지 않는 동력 제공)
② 노동시간이 증가: 들여놓은 기계를 계속 돌려야 수지타산을 맞출수 있기때문.
③ 새로운 기술이 도입될 때마다 새로운 기술자를 필요로 함.:주기적인 실업 유발.
④ 경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닥치는 경제 불황: 사회보장이 없던 시기라 노동자의 어려움이 큼.
: 숙련이 필요치 않은 분야에 남성노동 대신 여성노동력과 아동고용
* 영국의 근대화란 산업화를 의미하게 되었고 최초의 대표적인 산업국가로 자리 잡음으로써 정치. 사회. 경제적 여건을 두루 갖춘 이상적인 모델로 부각
① 산업화의 성과 자체는 긍정적으로 보더라도 영국의 사례가 생각보다 대단하거나 급속한 것은 아니었다 시각: 1970년대 이후 장기적인 경기 침체되면서 역사적 재평가에 의해
② 영국의 특수성에 따른 산업화의 한 방식일 뿐 다른 나라가 애써 추구해야 할 모델은 아니라는 평가로 연결됨.
③ 근대화 자체에 대한 비판: 산업화로 인한 물질적 진보가 사람들의 삶을 개선했는가라는 근본적인 회의가 바탕에 존재. 이런 입장은 한동안 사회주의적 산업화라는 대안으로 연결되었다.
④ 생태주의 대안 등장: 산업화의 결과를 비판하면서 환경이나 삶의 질에 관심을 기울이는 경우
② 종교: 프로테스탄트로서의 유대감과 프랑스와의 갈등은 가톨릭에 대항하는 신교 세력으로서 영국민의 일체감을 북돋았다.
③ 전쟁: 18세기 말에는 미국 독립전쟁,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전쟁등 프랑스와 충돌속에서 애국심이 고취됨.
* 근대의 국민 형성 과정은 통합의 과정인 통시 분열과 차이가 드러났다.
① 인종: 세계대전을 겪은 후에는 더 이상 여유롭고 관대한 제국 국민의 이미지를 표방하기가 어려웠다. 인종주의.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의 화살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 우리가 바라보는 프랑스: 혁명과 왕의 나라, 문화와 지성의 나라
* 베트남인, 북아프리카인, 서부아프리카인, 카리브해인: 식민지를 겪은 나라들은 우리나라와 사뭇 다를 것이다.
→ 이런 문제의식에서 프랑스는 어떠한 근대적 가치를 세상에 내놓았으며 그것이 프랑스 밖의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
공화주의란 프랑스인들의 기질과 역사 담긴 민주주의이며, 그 제도의 확립은 바로 제3공화국에 의해 이루어졌다.
* 공화정: 1인의 지배가 아니라 인민에 의한 지배를 목적으로 함. 즉, 사회의 거의 전 계층이 인민이었다. 따라서 부르주아와 농민과 소생산자, 노동자들이 모두 인민이었다.
① 1500년대 초 이후 영국, 네덜란드, 스펜인과 함께 주요한 식민 제국의 지위를 획득했다.
② 1500년대 왕정기에는 브라질의 식민지 건설이나 플로리다 장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아메리카 대륙을 놓고 영국과 전쟁을 했지만 패배로 돌아갔다.
③ 1600년대 영국, 스페인 세력과 공방전 끝에 확보한 지역이 중남미의 카리브 해 연안에 위치한 섬들인 마르티니크와 과들루프, 기아나 등이다.
④ 17세기의 식민지 건설은 민간 차원의 동인도 회사에 위탁했지만 국가도 적극적으로 개인했다.
: 흑인법 제정, 종교를 통한 정신적 제압, 기독교 전파 활동, 공적인 신앙행위 금지,
⑤ 1760년대에는 영국과의 전쟁에서 폐함으로써 인도에서 밀려났고
1789년부터는 혁명의 소용돌이에 팽창 정책은 주춤했다.
⑦ 1830년 아프리카 서해안의 세네갈과 기니에 상관을 설치 남태평양의 타이티와 주변 섬들은 1842년 보호령으로 만들었다.
⑧ 1830년부터 수행된 알제리 정복과 1860년대의 인도차이나 점령. 인도양의 마다가스카르는 1896년 점령.
⑨ 1890년대에서 10년간 아프리카 대륙 분할하여, 1914년 1100만 제곱킬로미터의 면적과 4억 8000만 명의 주민을 소유하여 거대한 제국이 되었다.
* 프랑스의 근대화는 곧 산업화이자 정치적 근대화였다.
* 식민지 실태가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구현하려는 프랑스 사회의 원칙과 어떻게 양립할 수 있었던가?
①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의 점령기에 근대사에서 처음인 시련을 겪게 되었다.
② 시련을 과거의 폐단을 물리치고 소생의 가능성을 열어 주어는 기회로 삼았다.
③ 세계 권력의 중심이 미국과 소련으로 옮겨가는 정세 속에서 프랑스 국민은 세계적인 위상보다는 평등한 사회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정치와 사회는 국민의 열망을 따라갔다.
④ 사회 내부의 변화에 비해 타 민족과 타 인종에 대한 사고의 전환은 그리 쉽게 일어나지 않았다.
① 세계적 규모의 전쟁은 약소민족들의 내부의 사회적이며 정신적인 각성의계기마련
② 사회 경제적 변화: 도시화, 전통적 가족형태의해체, 식민본국의 교육과 사상의 영향을 받은 엘리트의형성
- 프랑스 해외 영토인 생트도맹고, 마르티니크,과들루푸은 변함없음.
- 알제리: 1954년 11월 시작되어 1962년 3월 휴전 협정까지 7년 이상 계속되었다.
* 1960-1980년대의 프랑스는 농민의 감소와 도시화, 고도의 산업화로 지난 100년간의 안정된 전통적 사회와 아주 다른 모습을 갖게 되었다.
* 사회변동과 국민의 정치의식은 어떻게 연관되었던 것일까?
① 유산상속에 의한 불평등이 많이 완화, 20세기 후반은 유산가치 하락.
② 국민의 90퍼센트 이상이 근로의 대가로 살아가는 봉급생활자가 되었고 불로 소득으로 계속 소득을 갖는 층이 극히 제한되었다.
① 1950년대 전까지 고등 교육의 기회는 매우 한정적이었다.
① 제2차대전 후 평등의 감각이 크게 상승효과를 올림.
② 민간 기업에서도 노동자들의 경영 참여가 어떤 형태로든 이루어졌고 사회적 독점을 정당하게 여기는 관행은 바뀌었다.
① 평등의 기회를 만들어 가는 것에 정권의 성격에 따라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③ 제5공화국(드골): 생산을 중요시함으로써 경제와 사회를 탈바꿈.
④ 68운동(드골 퇴진 요구): 프랑스를 전면적 반성의 기회 제공
프랑스가 세계의 패권을 쥔 강대국이 아니며 대학생이 많아졌으며 이제 농업사회가 아니라는 선언
⑤ 샤방 델마스와 지스카르 데스탱의 우파 정권: 신사회의 가치를 내걸고 경제 근대화에 박차를 가했다.
⑥ 사회당: 지방화를 비롯한 현대화 작업을 추진하면서 국민의 사회적이고 민주적인 의식이 고양을 정책 목표로 삼았다.
⑦ 70-80년대에 일어난 커다란 변화는 좌우의 문제라기보다 사회문화적인 것이었다.
① 종교관행 변화: 어린이 세례가 50퍼센트 선으로 하락
예배 참석율이 80년대 이후 전 국민의 10퍼센트에 불과
② 국민의 지성은 프랑스 사회가 어느 한편의 이데올로기나 선동에 쉽게 휩쓸리지 않는 장치일 것이다.
이민자 가족의 1962-1974까지 200만명에서 400만명으로 늘어났다.
벨기에,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칼, 폴란드: 공업 노동자
① 1970-80년대 극우 이념이 대중의 호응을 얻음,특히 1981년 사회주의 정권의 탄생을 보면서 좌파에 대항하는 극우의 인기가 높아졌다.
② 종교와 문화가 다른 유색인을 프랑스인으로 받아들일 수없다는 극우 논리는 지지를 받을 만한 호소력도 있지만 그 안에는 타 문화,타 인종에 대한 배척과 불관용이 도사려 있다.
② 아프리카 여성 단체도 지방과 전국 단위로 활동하면서 아프리카와 북아프리카인들의 전통적인 것을 잃어버리고 낯선 문명에 무조건 동화되지 않으려고 한다.
③ 프랑스의 입장: 다문화사회의 틀을 마련,1981년10월 법으로 외국인들의 결사가 허용,이슬람의 공적기도허용
: 외모와 직업과 소득이 다르고, 아마도 장래의 물질적 가능성이 제약된 많은 사람들이 서로 어떻게 자신의 문화와 가치관을 인식하고 서로 인정하며 사는가
① 매일매일 누구나 참여하고 누구나 피할 수 없는 일상 속에서 민주화를 기하는 것
◈ 중앙 아시아의 유목 민족인 훈족의 게르만족의 한 분파인 동고트족에 대한 공격으로 게르만족의 본격적인 이동이 시작(375 AD)
◈ 476년 서로마는 아프리카로부터 내습한 반달족의 약탈을 받아 국위가 크게 쇠약해진 상태에서 게르만의 용병대장 오도아케르(Odoacer, 434∼493)의 침입에 의해 멸망
◈ 여러 게르만 왕국들은 숫적.문화적 열세, 종교적 갈등으로 대개 단명하고, 프랑크 왕국만이 혼란을 수습, 새로운 유럽세계 형성의 중심으로 부각
◈ 메로빙거(Merovinger) 왕조(481∼751)
- 메로빙거 왕조 창시자인 클로비스(재위 481∼511)는 프랑크부족을 병합하고 갈리아 지방을 통합하였으나, 사후 왕조 분열이 계속되어 왕권은 유명무실
- 이에따라 정치의 실권은 귀족 대표인 궁재(Mojor Domus)의 수중에 들어감(대표적인 궁재는 투르푸와티에 전투(732)에서 이슬람군의 침입을 격퇴한 카롤루스 마르텔)
- 카롤루스 마르텔의 아들 피핀 (재위 751∼768)이 메로빙 왕가 마지막 왕인 킬데리히 2세(재위 742∼752)를 폐위시키고 즉위
- 피핀의 손자인 카롤루스 대제(재위 768∼814)가 서로마 황제로 등극(800)
- 프랑크족 고유의 분할 상속에 따라 카롤루스 대제 사후 골육상쟁이 전개되었으며, 왕권이 급격히 약화
- 베르덩 조약(843) : 카롤루스 대제의 장남 로타르가 황제 칭호와 함께 중프랑크를, 차남 카롤루스 2세가 서프랑크를, 삼남 루드비히 2세가 동프랑크를 차지
- 메르센 조약(870) : 동 조약으로 오늘날의 독일(동프랑크), 프랑스(서프랑크), 이탈리아의 기틀이 마련
◈ 신성 로마제국(제1제국 : 962-1806)의 성립
- 동프랑크의 콘라드1세 사후 Heinrich 1세(919-936)의 아들 Otto 1세 (936-973)가 집권
- 오토 1세는 962년 교황 요하네스 12세로부터 신성 로마제국의 황제의 관을 수여받음.
- 신성로마제국 역대 황제들이 국내문제보다 이탈리아 문제에 깊이 간여, 제후들의 독립 경향 촉발
- 1438년이후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가가 황제권을 세습하여 오다가, 1806년 나폴레옹에 의해 해체, 라인동맹으로 대체
- 라인동맹은 1815년 비엔나회의 결과로 독일 연방으로 변경
- 프로이센은 원래 13세기경에 독일 기사단이 개척한 곳으로 30년전쟁(1618-1648) 이후부터 국가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
- 18세기초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재위 1713∼1740)때 절대 왕정의 기초를 확립
- 프리드리히 2세("프리드리히 대제", 재위 1740∼1786)때 오스트리아 왕위계승 전쟁과 7년 전쟁에서 승리, 유럽의 강대국으로 발전하는 기틀 마련
·프로이센은 1867년 오스트리아와 남부 독일의 4개국을 제외한 21개국을 결속하여 북부 독일연방을 결성하고 맹주로 등장
·비스마르크는 에스파냐 왕위 계승문제를 이용, 프랑스에 전쟁을 도발, 나폴레옹 3세의 항복을 받고 파리를 정복(1871)
- 파리 교외의 베르사이유 궁전에서 프로이센왕인 빌헬름 1세(재위 1871∼1888)가 황제로, 비스마르크가 재상으로 취임하여 통일된 독일제국 수립(25개로 구성된 연방국가)
- 상원인 연방의회(Bundesrat)와 하원인 제국의회(Reichstag)가 구성, 입법부 구실을 하였으나, 실질적 권한은 황제와 제상이 보유
- 시효가 다 된 러시아와의 재보장 조약 갱신을 거부하고, 1898년에는 영국의 해군력에 도전, 치열한 건함 경쟁 촉발
- 세르비아인의 오스트리아 황태자 페르디난드공 암살사건(1914.6.28)으로 폭발, 제1차 세계대전 발발로 연결
- 동맹군측 : 독일, 오스트리아, 오스만투르크, 불가리아
- 연합군측 : 영국, 불란서, 러시아, 이탈리아, 일본
- 1918.11월 1차 세계대전 패배후 독일제국은 붕괴되고 바이마르 공화국(Die Weimar Republik) 성립
F.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립과 시련(1919∼1933)
- 1918년 혁명이 일어나 호엔촐레른 왕가의 빌헬름 2세는 네덜란드에 망명하고, 독일은 군주제에서 공화제로 전환
- 바이마르 공화국은 좌익과 우익 양쪽으로부터 공격을 받는 등 공화국 출범 초기부터 시련에 봉착
· 좌익 스파르타쿠스단이 소비에트를 조직, 1918년말부터 1919년초까지 혁명기도
· 히틀러의 나찌당은 1923년 뮌헨에서 공화국 타도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
G. 나찌즘의 등장과 제2차 세계대전(1933-1945)
- 1933년 히틀러는 재상 겸 총통이 되어 바이마르 공화국을 해체, 제3제국 수립
· 1939년 3월 체코슬로바키아 영토 점령 및 단치히(Danzig) 자치시 병합
· 1939년 8월 독.소 불가침조약을 비밀리에 체결한후 9월 1일 폴란드 침공
- 영국·프랑스는 기존의 유화정책을 포기하고 1939년 9월 3일 독일에 선전포고, 제2차 세계대전 발발
- 패전후 독일은 미.영.불.쏘 4대전승국에 의해 분할점령
H. 제2차대전 이후 정세 및 독일 재통일(1945-1990)
- 전후 통일독일 정부수립을 위한 동.서간 교섭이 실패하고 냉전이 구체화되자 1949년 서방 점령지역은 통화개혁을 단행, 경제통합을 실시
- 1949.5월 잠정 헌법인 "기본법(Grundgesetz)"을 제정하고 1949.9.21 독일연방공화국(BRD, 서독) 수립
- 이에대해 소련 점령지역도 1949.10.7 독일민주공화국(DDR, 동독) 수립을 선포함으로써 독일은 동·서독 양독으로 분단
- 1954년 체결된 파리협정이 1955년 발효됨에따라 서독은 주권을 회복
·서독은 1958.5월 NATO 및 서구연합(WEU) 가입, 동독은 1950.9월COMECON, 1955.9월 WARSAW 조약기구에 가입.
- 東方政策에 바탕을 둔 서독정부의 부단한 대동독 교류 및 협력강화와 특히 고르바쵸프 집권이후의 동구의 개혁무드 및 89.11월 베를린 장벽 붕괴로 양독간 통일무드는 급속히 고조
- 이에따라 90.5.18 양독간 화폐.경제.사회 통합조약 서명, 90.8.31 양독간 통일조약 서명 및 90.9.12 전승 4개국에 대한 독일통일을 양해하는 조약
★ Helmut Kohl 총리(기민당) 후반기(90.10-98.10)
◈ 독일의 통일과 동구권 국가들의 몰락으로 형성된 새로운 국제질서하에 독일과 우방국가들은 완전히 새로운 도전에 직면
◈ 독일은 주변국가들의 통일독일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유럽속의 독일을 강력히 추진
- 유럽경제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독일 경제의 상징인 마르크(DM)를 포기, 유럽경제·화폐 통합(EMU)을 적극 추진
◈ 동·서독간의 경제적 통합은 유럽통합의 틀안에서 그리고 탈냉전 이후 지구적 차원의 새로운 정치·경제적 구조하에서 추진
★ Gerhard Schroder 총리(사민당) 시대(98.10-05.11)
◈ 98.9.27 총선에서 사민당이 승리, 녹색당과 연립정권 출범
◈ 슈뢰더 총리는 신중도(Neue Mitte) 이념으로 각종 개혁 정책을 추진중이나, 사민당내 이념 갈등과 사회복지 축소에 대한 국민의 반발 등 정권 출범 초기 어려움에 직면
- 98.10 정권출범후 실시된 주의회 선거에서 계속 패배
- 99.5.23 선거에서 Johannes Rau 대통령(사민당) 선출
- 연방정부와 의회는 99.9.1을 기해 베를린에서 공식업무 개시
* 19세기 유럽에서 산업화가 본격화되었을 때 독일은 선진 대열에 속하지 못했다. 하지만 오늘날 통합된 유럽에서 독일은 정치․경제적으로 최강국의 지위에 올라 있다.
① 19세기 초 전제적 국가가 저지르는 정치적․신체적 억압을 벗아나기 위한 해방 투쟁
② 자유방임적 시장 경제의 위험성: 경제. 사회적 하류층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확대된 것
① 19세기 후반 양극화 사회의 절대 다수 가난한 사람들의 적대감을 잠재우기위해 등장
② 국가의 개입으로 최소한의 복지와 인간다운 삶 보장, 자아 실현의 힘 부여.
① 선진 영국 따라잡기를 국가 목표로 자신들에게 적합한 새로운 경제 원리를 만듬.
② 이기적 자유를 포기한, 윤리적 존재만이 보편적 이익을 위하여 활동할 수 있다라고 주장, 국가만이 인간윤리의 최고 존재라고 주장.
③ 독일식 자유 이념은 세계 최초의 사회보장제도 실시:1880년대 비스마르크는 노동자, 노령, 질병, 및 재해 그리고 실업보험을 포함한 사회보장제도를 시행.
①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전쟁: 봉건적 질서의 지속을 원하면서 프랑스의 대혁명이 내세웠던 자유,평등 등 반봉건적 이념의 확산을 막기 위한 간접 전쟁.
② 나폴레옹 프랑스군대가 승리>독일 민족의 신성 로마 제국을 멸망.
③ 프랑스 대혁명의 이념은 독일에서 지방분권적 전통이 강력하여 뿌리내리지는 못했다.
: 봉건 속박을 벗어나 자유로운 시민 사회를 만들기 위한 개혁. 농노제도 폐지,영업의 자유, 도시의 자치 행정 그리고 법 앞의 평등과 징병제도 도입 등.
⑥ 나폴레옹 몰락 후 빈 회의에서 반동복고, 즉 구체제의 회복을 기도했다.
⑧ 반동적 정치 행태가 자행되었음에도 근대적 경제 발전은 지속되었다.
: 1834년 관세 동맹이 맺어져 통일된 경제 시장이 독일에서 열렸다.
① 1848년 2월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1848년 3월 독일 전역에서 혁명이 발생.>군주 굴복
대독일주의: 많은 이민족들도 독일이 포용하고 함께 가지는 입장
소독일주의: 순수 독일인들로만 통일된 민족국가를 수립하자는 입장
>소독일주의가 다수의 지지를 얻었고 의회 책임제를 규정한 헌법 제정.
④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4세가 세습 독일 국왕으로 옹립되었으나 1848년 혁명의 결실인 입헌군주제 왕위 거부>혁명 실패를 의미
⑤ 개별 주권국가들이 반동 보수 노선의 헌법을 제정>1850년 독일 연방이 부활
① 프로이센은 산업화를 주도하며 독일 전역의 경제를 압도적으로 장악.:자유주의 성향의 중간 계급들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정치적 자신감을 키워 나갔다.
② 1861년 진보당은 프로이센의회를 장악: 군대를 반동적 구조로 개편하려던 군대예산 삭제
③ 1862년 프로이센 재상으로 비스마르크 취임: 헌법에 규정된 의회의 예산 동의를 무시하고 자의적으로 군대예산 편성, 집행
④1864년 덴마크와 충돌: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와 힘을 모아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공화국 합병.
⑤1866년 오스트리아 전쟁: 두 공국의 영토를 독식하려는 의도>오스트리아 항복
⑥ 오스트리아를 몰아낸 뒤 독일연방을 없애고 북독일 연방을 조직
⑦ 프랑스와의 전쟁: 독일 민족국가의 수립을 위하여 비스마르크는 스페인 왕위 계승 문제를 구실로 전쟁함>프랑스 패전: 프랑스는 알자스로렌 지방을 빼앗기고 거액의 배상금 지급.
⑧ 프로이센의 파괴력을 알게 된 소규모 영방국가들도 북독일 연방과 함께 독일 제국의 수립에 동참.
⑩ *독일통일은 아래로부터, 국민의 합의된 것이 아닌 위로부터 완성되었다.
* 제국의회는 보통. 평등선거권에 의하여 구성되었으나 독일제국에 속해있는 개별국가들의 의회는 제한 선거권으로 구성되었다.
* 독일의 중간 시민계층들은 산업혁명의 경제적 성과를 바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키워 나갔지만 19세기후반 독일사회를 좌지우지한 사람들은 군부를 장악한 귀족신분이었다.
* 비스마르크는 19년 동안 제국 재상직을 지냈고, 외교부문에서는 뛰어났으나 내정부문에서는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였다.
⑩ 1890년 비스마르크가 제출한 사회주의자 법의 효력 연장 법안이 제국의회에서 부결되자 갓 즉위한 젊은 황제 빌헬름2세는 재상을 쫓아내었다.
① 행동보다는 말이 앞섰던 빌헬름2세는 노동자들을 보듬어 안겠다는 사회황제임을 자처하였으나 노동자들의 마음을 얻지 못하자 즉각 반동적황제로 변시하였다.
② 독일 유권자의 표를 얻은 사회민주당의 정국 운영에서는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이렇듯 상당한 비율의 국민을 적으로 간주하며 제국을 통치한 빌헬름은 사회 불안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① 1917년 미국이 유럽전쟁에 참전화고 러시아에서 사회주의혁명이 발생하자 지루한 전쟁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② 독일의 루덴도르프 장군은 휴전을 통하여 독일군의 입지를 유지하였다.>빌헬름2세는 1918년 제위 포기
① 1833년 통일된 경제 체제를 수립하기 위해 체결된 관세동맹은 독일 경제 발전을 위한 초석이 되었다.
② 미국캘리포니아 황금 열기의 자극으로 독일에도 최초의 근대적 신용 은행 등장.
③ 1857년 철도와 중공업 설비들을 건설, 많은 은행이 문을 열었다.
① 1871년 금본위제에 입각한 단일 통화제 시행>중앙 집중적 경제 정책 추진
② 1875년 프로이센 은행은 제국 은행으로 재조직>국가 주도적 경제 개발의 든든한 금융기반확립
③ 1879년 영국에서 개발된 철강 제련법이 독일에 전해진 후 알자스로렌의 철광 및 칼륨 광산이 집중 개발되어 독일 강철 및 기계 공업 발전을 이끌었다.
④ 패전국 프랑스가 지불한 50억 프랑의 전쟁 배상금도 독일 경제 발전에 기여.
⑤ 이를 바탕으로 독일은 중화학, 금속기계, 전기부문을 중심으로 산업화를 추진하여 18세기 말 영국이 주도한 경공업 중심의 산업혁명에 비견될 만한 제2차 산업혁명을 주도했다.
① 독일 산업화의 기초는 인구의 폭발적 증가와 농업 생산성의 비약적 발전에서 비롯.
① 독일 은행들은 산업화와 경제발전에서 결정적 역할을 수행했다.
② 예금과 대출금리의 차액을 주된 수입으로 삼는 앵글로색슨의 은행과 달리 독일의 은행은 중앙은행의 강력한 후원으로 상업 기능과 투자 기능, 투자 신탁의 종합기능 수행
③ 독일 은행은 대외 무역과 해외 자본 투자에서도 중요한 역할 담당.
④ 거대은행의 거대자본은 해외무역과 해외투자를 촉진시키며 독일의 경제적 영향력을 전 세계로 확대시켰다>독일자본이 투자된 해당국들과 직․간접적으로 정치적 관계를 맺음.
식민지는 아닐지라도 독일제국은 자본이 투자된 국가들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
① 독일의 급진전된 산업화와 주요 항구 도시들이 제국에 편입되면서 독일 제국은 식민지 획득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버리고 식민지 확보에 열을 올렸다.
② 독일 식민지정책은 19세기 말 자신의 힘을 과신하고 국가적 위상을 높이기 위한 의도였다.>독일의 식민지 시장진입은 다른 국가들에게 시비를 건 셈이다.
③ 독일의 중공업 기업군은 제품의 재고 과잉에서 비롯된 경영악화를 돌파할 기회로 독일정부에게 제국주의 정책을 요구
④ 젊은 황제의 과시욕구충족이 적극적으로 전쟁을 고려하게 만든 요인이다.
① 독일제국수립 이후 20년간 독일을 통치해 온 비스마르크가 물러나고 빌헬름2세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독일제국은 격랑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① 승전국과 패전국을 불문하고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하여 잘 나가던 서유럽 국가들은 지는해가 되었고 미국은 뜨는 해가 되었다.
② 사회민주당이 주도한 바이마르 공화국의 수립은 독일인의 환호속에서 수립되지는 못했다>많은 사람들은 제국의 붕괴와 공화정의 수립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빠른 안정된 삶을 갈구했다.
③ 준비가 안 된 채 망가진 정권을 책임 맡게 된 사회민주당 지도부는 과거 청산보다 사회 안정에 전력 기울였다.
④ 그러나 승전국 프랑스의 전쟁 배상금 문제로 산업의 용충지를 강점하고 독일 경제를 마비시켰다.
⑤ 끊임없는 내우외환에 신생 공화국은 정신을 차릴 수없었다>아수라장을 단번에 정리할 구세주 초인의 등장을 대부분의 독일 사람들은 다시 한 번 갈구하게 된다.
② 충격과 피해가 큰 만큼 전후 연방을 재건하는 일은 쉽지 않았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국민의 관심사가 재건이 아닌 산업화로 방향이 바뀌었다.
③ 철도의 건설을 통해 남북의 지역적 대결보다는 토착인과 이민자들의 갈등에, 정치인들의 당파적 대결보다는 대기업들의 경쟁에 관심을 가졌다.
④ 자유방임주의에 따른 기업들의 경쟁은 거대 독점 기업을 탄생시켰고 ‘가진자?와 ?가지지 못한자?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⑤ 19세기 말은 미국사회의 분기점이 된 시기이다. 전통적농업에 기반을 둔 경제체제는 상공업에 기반을 둔 산업자본주의체제로 변환되었다.
① 미국의 산업화는 남북전쟁 이전부터 시작되고 있었다. >건국 초부터 상공업에 힘을 쏟음.
② 1803년 루이지애나 영토가 미국에 편입되면서 미국의 서부 팽창은 전환점을 맞이함>자급자족에서 시장경제로 바뀜.
- 황소제국, 소목축업: 남부의 경제 뿐 아니라 중서부의 경제도 활성화되었고, 남부는 중서부와 동부와 연결되었다
- 철강산업: 베서머법(강철을 대량생산하기 위한방법)을 통해 무연탄과 역청탄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펜실베이니아주의 피츠버그는 미국 철강 산업의 메카로 등장.
기업가: 철강회사(카네기),석유산업(록펠러),정육업체(스위프트),철도(밴더빌트),금융(모건)등이 대표적 인물들이다.
기업: 미국담배회사, 비스킷회사,싱어회사,코닥,아이보리,캠벨,퀘이커 오츠등
① 애덤스미스의 자유방임주의: 자유 경쟁은 서구 자본주의를 지탱하는 이론적 지침
③ 카네기의 부의 복음: 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자본가의 사회적 책임이며 의무라고 설파
② 1886년 시카고의 헤이마켓에서 대규모 소요 사태발생>미국 중간계층의 노동운동에 대한 불안은 미국 노동조합 운동에 불리하게 작용.
* 산업화에 따른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농민들도 조직화되기 시작했다.
∴ 미국의 자유방임주의 기조는 탄탄했고, 인민주의자들과 기타 개혁 세력들이 주장하는 전통 자본주의에 대한 수정과 개혁은 아직 시기상조였던 것이다.
② 산업화가 낳은 직접적인 폐해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개혁운동
② 북구 증권회사에 대한 도전의 시작으로 이후 44개의 반트러스트제소>국민들의 지지와 연방 대법원도 시대적 흐름에 동조해 소송에서 승리
① 정부가 독점 기업을 규제하며 제재해서 국가적 통합을 이룩하려 했다.
③ 관세 인하에 따른 세수의 결손을 보완하기 위해 누진 소득세법까지 통과
⑤ 선거 공약이었던 반트러스트 개혁에 착수하여 아래의 법을 제정했다
- 연방 통상 위원회법: 정부는 기업의 불공정 행위를 더욱 강력하게 조사,제재할수 있었고
- 클레이튼 트러스트 금지법: 노동조합은 강력한 단체 교섭권을 획득하게 되어 기업간의 자유 경쟁을 보장받았다.
① 전쟁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혁신주의 운동의 기세는 꺽이고 말았다>혁신주의 시대에 보여 주던 개방과 다양성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는 사라졌고 폐쇄적인 분위기로 전향되었다.
② 언론과 자유를 억압, 방첩법, 태업법, 보안법이 제정되어 전쟁에 방해되는 행동을 허용하지 않음.
② 적색 공포의 광풍은 1920년대 후반 팽배해진 반 이민정서로 이어졌다>1921년 쿼터법 제정 인민자수를 제한하였다. 1924년 국적 기원법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③ 전쟁 중의 ‘100퍼센트 미국주의’는 전후 반 이민정서와 맞물려 미국 남부를 중심으로 인종 편견이 조직화되었고 집단화되었다.
④ 미국 사회의 급속한 보수주의로의 선회는 정치에도 반영되었다.
-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지만 전후처리 문제로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함.
- 베르사유조약은 윌슨의 뜻대로 마무리되지 못했고 유럽제국주의세력들 간의 갈등을 근절하지 못함.
- 전후 경기침체와 사회의 혼란은 윌슨의 민주당에 치명적이었다.
- 그러나 대통령과 정부의 역할에 대해 수동적인 입장을 견지했던 하딩은 행정부조차도 장악하지 못했다.
- 정부의 역할은 국민의 생활에 가능한 한 간섭하지 않는 것이며, 보호해야 할 대상을 대자본가와같은 부유한 계층이라고 했다
- 후버:․ 대통령의 신임 속에서 주요한 경제정책을 수행했다.
․ 자유방임주의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정부와 기업의 협조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 정부는 동일한 성격의 기업들이 상호 협조하도록 설득하고 유도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믿었다.
① 1929년10월24일 ‘검은 목요일’의 증시 폭락으로 시작된 대공황은 미국 자본주의의 최대의 위기하고 할 수 있다.
② 이 시기의 공황은 유럽을 비롯한 세계적인 공황과 맞물려 있어서 쉽게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무엇보다 미국인들에게 엄청난 심리적 충격을 주었다.
③ 공화당 행정부는 중소 기업보다는 대기업에, 일반 서민보다는 부유층에, 소비자보다는 생산자에, 농민보다는 도시 거주자에게 유리한 정책을 팼다. 결국 부의 재분배에 실패한 셈이다.
① 공항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던 국민들은 1932년 프랭클린 루스벨트라는 새로운 지도자를 선택했다.
② 대공황의 본질과 국민 정서를 간파한 루스벨트는 ‘행동하는 행정부’를 약속하고 뉴딜정책을 시행했다.
③ 그는 경기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펴기 시작했다.
- 농업 조정법(AAA): 농경지를 줄이고 그에 따른 손해를 정부가 배상함으로써 농산물 가격을 높이고자 했다.
- 전국 산업 부흥법(NIRA): 정부 주도하에 도로,공공 건물,공원,학교 등과 같은 공공 시설을 건설함으로써 고용을 늘이려고 하였다.
- 주택 소유자 대부법: 중산층도 정부 보조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우익 보스주의자들: 정부의 권한을 필요 이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미국의 자유민주주의 전통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고 비판
- 좌익 세력들: 뉴딜 정책이 기업가와 부유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 하층의 대중들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
- 1935년 연방 대법원이 AAA와NIRA에 위헌 판정을 하면서 뉴딜은 위기를 맞게되었다.
④ 회복을 보이는 듯했던 경기가 다시 악화되고 다가오는 선거를 의식해 루스벨트는 일반 대중을 위한 보다 파격적인 정책을 시행하였다.
- 전국 노사 관계법: 노동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노동조합을 통하여 고용주와 교섭할 권리를 보장받게 되었으며 고용주의 노동조합에 대한 간섭으로 해방될 수 있었다.
- 정부 세입법: 고소득자와 지주들의 세율을 높인 것으로 평화기에 만들어진 세율로는 가장 파격적인 것이었다.
① 루스벨트의 정책을 통해 대공황의 늪에서 서서히 빠져나오기 시작한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참전을 계기로 완전히 대공황을 극복할 수 있었다.
② 그렇지만 루스벨트와 그의 뉴딜은 미국의 민주주의 역사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 러시아의 역사에서 근대화의 물결은 19세기 후반이지만 18세기 초 표트르1세 때부터 서구화를 강력하게 추진하게 되어왔다.
① 군대․경제․행정․교육․종교 등 러시아 사회의 전 분야 개혁>유럽 열강들,북유럽의 강국 스웨덴 맞설 강건한 군대를 만드는데 주력함. 징병제도입.
③ 종무원을 설치 교회를 국가에 종속>근대화 비용 마련
④ 경제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 새로운 국영 공장과 사영공장이 설립되는 등 공업이 크게 발전>대외 수출을 늘리고 국내 공업을 보호하기 위해
⑤ 교육과 문화분야 혁신>항해․포술․의술․광산 학교 등을 건립하여 기술과 과학 전문가 양성에도 크게 노력, 국립 도서관을 설립하여 과학 아카데미의 창설도 준비하였다.
② 치다예프 철학: 자유주의 물결을 막으려는 정부에 맞서 「철학 서한」논문에 “러시아는 과거도 없고, 미래도 없다”고 선언>서한 이후 두 갈래로 나뉘었다
- 보트킨, 벨린스키, 게르첸등 서구주의자: 후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유럽의 선진적인 문명을 받아들여 서구화하여야한다고 주장. 표트르 대제를 긍정적 평가
>>상이한 견해를 보였으나 농노제 폐지에 대해서는 모두 동의하여 1860년대 초의 농노해방 무렵에는 동일한 자유주의 진영을 형성.
① 크림전쟁: 유럽 열강의 패권 다툼으로서 1853년에 발발했다. 러시아의 패배로 끝남.
② 이 패배는 러시아 제국의 위상이 떨어졌고, 자국의 후진성 문제가 거론 농노제와 비효율적인 전제 정치에 문제를 드러냈으며, 사회 전 분야에 대한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① 1861년 사유 농노를 대상으로 농노해방령을 선포. 1866년 국유 농노의 해방.
② 젬스트보 지방 자치기관 설립: 도로건설, 보건 및 교육 같은 공공 업무 담당>교사,의사,기술자 등의 전문가들을 채용, 초등교육이나 의료, 농촌 주민들의 복지향상에 기여.
군제 개혁: 국민 개병제가 도입되고 군대 내 체벌이 금지
① 유럽에서 제국주의적 팽창이 본격화되자 러시아도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영토 팽창에 힘을 쏟기 시작함.
② 투르크와의 전쟁: 러시아는 승리했으나 곧이어 개최된 한 국제회의에서 영국과 오스트리아의 반발로 전리품의 상당 부분을 포기함.
② 카프카스와 자카프카지예:1820년대 러시아에 편입, 니콜라이 1세의 저항이 있었으나 1860년대 겨우 진압되었음.
④ 극동 지역: 중국의 아루르 강 지역 점령, 우수리 강 지역도 1860년대 할양받아 블라디보스트크를 건설함.
⑤ 1867년 알래스카를 미국에 매각,1875년 일본과의 조약으로 쿠릴열도를 이양하고 대신 사할린섬 전체를 영유하게 됨.
4. 근대화의 마지막 시도들: 비테의 공업화와 스톨리핀의 개혁
① 철도부설과 공업발전을 지원하고 수출을 장려하며 외국인 투자를 적극유치
④ 아시아 쪽으로 철도를 부설하는 등 공업 발전 모델이 성립
- 1891~1900년 10년 동안 공업 생산은 2배 이상 증가
- 중공업이 뚜렷하게 진전하였고, 경공업 역시 급속히 발전함.
- 해외자본이 러시아 공업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면서 러시아 중간계층의 발전이 느리게 진행
- 공업화가 대기업 중심으로 진행된 결과 노동자들이 대규모로 밀집되었고, 비참한 생활조건은 노동자들의 조직화와 혁명 사상의 수용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① 의회 도입: 절대주의가 종식되고 입헌군주제의 가능성이 열림>수상으로 스톨리핀이 임명
② 혁명 운동을 잔혹하게 탄압>근대화를 좀더 수월하게 진행
- 공동체 내의 흩어져 있는 자신의 땅을 사유화하고 이 땅들을 모아서 통합된 단일 토지로 정리하여 공동체에서 이탈할 수 있게 되었다.
- 농민은행을 세워 농민들이 많은 토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자금도 대부해 줌
>>농민들의 반응은 부유 농민과 극빈 농민의 양극화 되어 근대화의 평화적인 성공은 이들의 분노를 어떻게 달래느냐에 얼마간 달려있었다.
*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세르비아를 위해 총동원령이 내려졌다. 전쟁이 장기화하자 전쟁의 부담은 표트르 대제 이래 2세기 동안 근대화를 시도하던 러시아의 노력도 중단시켰다.
* 1917년 10월 사회주의 혁명으로 정권을 잡은 볼셰비키의 당면과제
- 제정 러시아가 차지했던 영토를 가능한 유지하면서 소비에트 권력을 확고히 하는일
- 전쟁과 혁명으로 피폐해진 경제를 재건함으로써 중단되 근대화를 완수하는일
① 곡물 할당 징발제를 식량 현물세로 대체>농민들은 세금을 납부한 뒤 나머지 생산물을 자유롭게 시장에 내다 팔 수 있게 되었다.
② 농민들이 땅을 임대하고 노동자를 고용할 수 있게 되었다
③ 소규모 기업의 국유화가 해제되었고, 20인 이하의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사기업들의 설립이 허용되었다.
⑤ 외국투자가들에게도 경제를 개방하여 벌목과 광업 등의 분야에서 외국 자본을 유치하고자 여러 특혜들도 부여하였다.
외국 자본가들의 의심으로 해외 투자의 유치에는 실패했지만, 빠른 속도로 경제를 회복시켜 주었다. NET시기는 정치적으로 소비에트 권력이 확고히 정착된 시기이기도 하였다.
① 스탈린은 NET를 폐지하고, 농업 집단화를 동반한 공업화 전략을 세워 새로운 근대화의 초석을 마련했다.
② 소비에트 정부는 1,2차에 걸친 5개년 계획을 통해 공업화에 박차를 가했지만 비현실적인 목표와 과도한 자원 및 노동력 동원으로 오히려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남겼다.
①새로운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공업화 노선을 채택한 소비에트 지도부는 당시 소련 체제를 위협하던 독일과 불가침 협정을 체결
③ 이를 통해 소련은 폴란드 동부, 발트 3국 등을 손에 넣었다.
① 1941년 히틀러가 소련 침공하였으나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승리를 기점으로 상황은 반전되었고, 1945년 베를린을 점령하고 히틀러를 몰락시키는데 성공
③ 동유럽 지역 전체를 ‘제국주의자들’의 침략을 막기 위한 ‘완충지대’로도 이용하고자 하였다
마셜 플랜: 미국이 소련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한 유럽의 경제재건 프로그램
- 코민포름: 마셜 플랜에 대항하고 미국이 유럽에 진출하는 것을 막기 위한 국제적 상설 정보기관
- 경제상호원조회의(COMECON):소련이 중심이 되는 경제상호원조회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서방의 NATO에 대항하는 기구
1) 흐루시초프 시대의 폴란드 개혁 운동과 헝가리 봉기
① 1953년 3월 스탈린 사후 흐루시초프를 중심으로 새로운 지도부가 등장>소련 정부 자체는 물론 동유럽 위성국가들에서 일대 변화의 물결이 일어났다.
- 고무우카를 중심으로 개혁 정부를 구성>소련군 개입>바르샤바 조약에 충실하겠다는 약속으로 스탈린주의적 사회 경제 구조를 이완시키는 일련의 개혁을 단행
* 흐루시초프가 1964년 실각하고 1966년 브레주네프가 제1서기가 되면서 사태는 일변하였다.
- 1960년대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조직적인 비판 운동 전개되기 시작
- 12년뒤 경제정책의 실패로 노동자들의 파업초래, 레흐 바웬사를 중심으로 ‘연대 노조’라는 독립 노조를 건설하면서 임금 인상을 비롯한 사회적 민주화를 요구
- 야루젤스키는 1981년 12월 계엄령을 선포하여 이들을 진압
① 1985년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와 ‘신사고’정책은 동유럽에서의 대변혁을 야기했으며 결국 사회주의 블록의 해체로 이어졌다.
- 루마니아에서는 차우셰스쿠가 끝까지 권력을 고수하다 대중봉기로 무너지면서 처형되었다
③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형성된 ‘소련 제국’은 고르바초프의 등장으로 해체되기 시작하여 옐친의 의해 죽음을 맞이하였다
* 스웨덴의 산업화의 토대는 농업에 있었다. 산업화 이전 스웨덴사회는 큰 변화가 있었다.
① 인구증가: 1720년에 140만, 1815년에는 240만, 1860년에는 380만 명이 되었다. 인구의 증가는 곡가가 상승했고 다시 식량증산의 유인이 되었다
- 1749년,1757년에 경지통합법이 공포됨으로써 모든 농민은 자신의 보유지 통합을 요구할 권리를 지녔다.
- 1827년의 법은 경작지를 분할하는 것이 용이해졌고, 영농 방식의 개선으로 휴경지 면적이 크게 감소하여 종전 방식에 비해 더 많은 수확을 얻었다.
- 특화된 상품생산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 목재 일상용품이 수공으로 제작, 구리제품 생산
- 목재 일상용품이 수공으로 제작, 구리 제품이 생산되어 널리 판매
- 1864년부터 영업자유법으로 스웨덴 사람은 누구나 어디서나 상업이나 수공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 1865년 재무상 그리펜스테트가 추진 스웨덴도 자유무역에 대열에 합류하였다
⑥ 요컨대 스웨덴 산업화의 전제조건들은 개선되고 점점 더 상업적인 성격을 띠며 팽창했던 농업에 이었다. 농업의 성장 이 시장과 노동력, 원료를 공급했던 것이다.
* 산업화는 제철업과 제재업에서 먼저 촉발되었다. 영국으로부터 봉강과 제재목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였기 때문이다.
- 1850년대 스웨덴 제재목에 대한 해외 수요가 크게 증가한다.
- 수출의 목적으로 새로이 등장한 제재소는 종전의 농민 제재소보다 훨씬 컸고 공업화의 영향으로 새로운 톱날과 시설, 증기동력의 이용으로 처리용량도 크게 늘어났다.
- 제재목의 수출은 1850~1860년대 4배로 증가했으며, 전체 수출액의 1/3이상을 차지하였다
- 숲과 순도 높은 광석, 풍부한 수량 등 봉강 생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 영국인들이 코크스를 사용하여 선철을 주조하자 철수출의 타격을 입은 스웨덴은 생산방식을 개선하여 미국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도 했다.
>>1870년대 목재업과 제철업은 전체 산업 생산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 1830년대부터 영국에서 들여온 방적기로 값싼 무명실을 생산, 1850년대 방적공장들이 설립, 모직물의 제조도 기계화되 었다.
④ 식량의 생산과 제분, 양조, 도축, 낙농에서도 공업적생산방식이 많이 적용되었으며 그 생산량도 증가했다.
* 산업화의 두 번째 시기는 1870~1890년대 호황기까지로 볼 수 있으며 이시기는 국가의 역할이 증대된 시기이다.
- 스웨덴을 공업국가로 변모시킨다는 목표로 강력히 추진된 사업이다.
- 1850년대부터 국가 교통망의 근간으로서 운하를 대체했고, 인구밀도가 높거나 낮거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철도가 부설되었고, 화물수송에 필요한 사철도 건설되었다.
- 1800년대 중반 국가는 원활한 신용의 공급을 위해 왕국은행이 사유 상업은행에 저금리로 신용을 제공했으며, 정부가 사유은행에 지폐를 발행하여 신용을 공급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 금융시장의 자유화도 병행> 은행은 자체적으로 이자율을 결정했고, 1864부터는 원칙적으로 누구든지 주식회사 형태의 은행을 설립할 수 있었다.
- 1880년대 들어 상업은행이 해외무역의 금융도 담당했고, 채권과 주식의 발행을 통해 산업자본의 공급에도 착수했다.
- 1870년대 주식회사가 본격적으로 설립되고 1914년 즈음에는 산업 노동자의 3/4이 주식회사에서 일했다
-이러한 발전은 가족과 인적 관계가 중심이 된 옛 경제구조가 익명성의 대규모 경제 체제로 전환되었음을 보여 준다.
- 내수 시장이 수출 시장보다 더 팽창하여 산업이 내수 시장을 더 지향했다 : 제철업: 건설업․기계공업의수요 증가에 따라 내수 산업으로 전화했다
- 전통적인 수출산업이 국내원료를 한층 더 많이 사용 ․목재업: 제재목의 수출은 감소하고 펄프수출이 세계최대가 되었다
② 기술의 혁신으로 성공을 거둔 기업들의 경쟁력이 우세해졌으며 수출의 토대를 마련했다
- 1883년 설립된 세파라토르의 우유 분리기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 스웨덴 전기 주식회사는 발전소 건설과 전동기계 등 산업발전에 필요한 제품을 공급하므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③ 수출도 급성히 증가하여 20세기에 들어서면 수입을 넘어선다.1910년대에 기계류의 수출액은 전체의 1/10에 달했다.
- 제화업도 기계의 도입으로 수공업 단계를 넘어섰고, 담배제조, 양조, 제분도 기계화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에 소비가 크게 증가했다.
- 1800년대 중반부터 국민총생산(GNP)은 인구보다 빠르게 증가했다. 세기말 인구가 증가했음에도 생활수준이 개선된데 에는 산업화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큰 역학을 했다
산업노동자는 어둡고 열악한 환경에서 오랜 시간 기계리듬에 따라 작업하며 엄한 감시를 받았고, 초기의 기계는 위험했 고 사고가 빈번했다.
- 인구가 밀집한 공업지대가 형성되었는데 위생문제와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 전염병사망률이 높았다
- 노동조합의 목표는 일자리에 대한 경쟁의 제한과 임금조건의 통제였다
- 당은 기술의 발전과 공업의 발달을 긍정적으로 보았지만, 생산의 성과를 다른 방식으로 분배하기를 원했고, 이를 위해 노동 계급을 결집시켜 정권을 장악하고자 했다.
- 이는 보통 선거권과 의회주의의 쟁취라는 목표로 삼아 전력을 다하였다
① 스웨덴 혁명은 의회주의와 성인 남녀의 보통 선거제로 대표되는 정치적 민주주의의 확립이다.
- 스웨덴 노총(LO)과 스웨덴 고용주연합(SAF)사이의 중앙 교섭, 양자 간의 협약인 살트시에바드 협약, 연댕 임금 정책, 노동시장에서 분규를 회피하려는 노력 등이다.
- 복지국가는 1933년‘위기협약’이후 44년간 정권을 담당했던 사회민주당이 주도적으로 건설했다
③ 넓은 의미의 스웨덴 모델은 타협과 합의의 정신을 뜻 한다
- 20세기 스웨덴정치와 경제의 특징은 다양한 이익집단들 간의 타협이다. 이는 깊은 역사적 뿌리를 지닌 것으로 평화로운 노동시 장과 복지국가 건설의 전제가 되었다.
①산업화 문제를 사회문제로 인식, 가장 주목받은 것이 아동문제, 여성문제였다.
- 여성문제: 출산과 관련하여 여성의 지하 노동이 금지되었다
② 1880년대 사회정책의 선구자들은 도시 출신 자유주의자들이었다. 대표적인 인물로 아돌프 헤딘은 사회 입법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자고 주장했다.
- 1889년 ‘직업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를 요구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 1891년 질병 기금법을 통과시켜 질병 기금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보장했다
- 초기 자유주의자들에게 사회 개혁이란 자조와 개인의 책임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 1903년 창설된 ‘사회사업중앙연맹’은 자유주의적 원칙을 바탕으로 초기 사회 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 기본적인 사상은 자발성, 예방적 자조, 개인의 책임이었다.
- 사회민주당의 이러한 의지는 1932년 선거의 승리를 가져왔으나 1928년 이전 수준을 회복하는 데에 그쳤고, 정부를 수립했으나 실업정책은 실패의 위기에 처했다.
- 이때 농민당과 사회민주당의 접촉을 통해 양 정당이 실업정책과 마가린에 대한 소비세 도입과 축산물 가격보장 등 농업지원책을 상호 수용함으로써 소위 ‘위기협약’이 체결되었다.
- 국가는 1928년 산업평화협의회에 양측을 초청하여 상호이해의 증진을 목표로 하는 ‘산업평화위원단’을 설립했다.
- 1936년 노총과 고용주 연합은 국가의 간섭을 배제한 채 노동 시장에서 분쟁을 피할 방식을 찾자는 데 합의하였다.
- 1950년대 사회민주당 경제 정책의 핵심으로 예방적 사회 정책의 성격을 띠었다.
- 렌-메이드네르 모델로 부르는 이 정책은 1951년 노총 대회에서 채택되었는데, 노총과 고용주연합에 협력과 중앙화, 즉 산업 평 화와 1955년부터 시작된 임금의 중앙협상이었다.
- 이러한 적극적 노동 시장 정책은 높은 성장과 낮은 실업률에 기여함으로써 스웨덴 모델의 초석이 되었다.
⑦ 스웨덴 복지국가는 생산의 촉진과 예방적 사회 정책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 실업자 지원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이 사용되지만, 고용과 재교육, 직업교육, 노동 시장의 유연성 확보, 질병과 재해의 예방, 가족 지원에는 훨씬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다.
- 생산을 촉진하는 사회 정책에는 많은 비용이 들지만, 비생산적 사회 비용의 지출이 그에 상응하여 감소했다.
- 이로써 얻은 성과가 완전 고용과 계급 간 격착 해소, 복지국가 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 였다.
⑧ 스웨덴은 타협과 협력의 정신으로 국가가 국민의 복지를 책임지는 ‘인민의 집’을 건설하였던 것이다.
* 스웨덴은 파시즘의 광풍이 풀던 1930년대부터 평화로운 사회발전을 이뤘다. 그 발전은 여러 요인들이 결합하여 나타난 결과이다.
- 사회민주당은 협력과 상생의 정치 문화가 뿌리를 내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타협과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신이라고 말할 수 있다.
① 중국 근대의 기점으로 아편전쟁은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② 아편전쟁으로 중국은 개항을 하게 되는데 이는 중국과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쳤다.
- 17세기 이후 동아시아의 대외무역은 국가의 엄격한 통제를 받았다.
- 아편전쟁 이후 청은 난징조약으로, 일본은 가나가와 조약과 안세이5조약으로 조선은 강화도조약으로 개항하였다.
③ 아편전쟁에서 청의 패배는 중국과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에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
- 전통적인 동아시아국제질서였던 중화주의적 조공체제는 대등한 주권국가 사이의 근대적 조약체계, 불평등조약체제(반 식민지), 제국주의 체제(식민지)로 재편되었다.
- 베트남은 1884년 청불전쟁을 계기로 조공질서에서 떨어져 나왔고, 조선이 1894년 청일전쟁으로 ‘독립국’이 되었다.
④ 중국은 난징조약을 시작으로 각종 불평등조약을 강제당하며 점차 반 식민지적 상황으로 빠져 들었다.
- 영사 재판권, 협정 관세율, 편무적 최혜국 조관을 서구 각국에 양보해야 했다.
- 중국은 1911년 신해혁명으로 황제지배체제가 붕괴하고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 일본은 1868년 메이지유신 이후 1889년에는 아시아 최초의 입헌군주국이 되었다.
① 개항 당시에도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국가였다.
② 노동집약농법을 바탕으로 중국은 농업을 기반으로 한 제국경제를 영위해 왔다
③ 유목민 만주족이 명을 대신, 중원의 패자가 된 후, 18세기에는 상업혁명이라고도 할수 있는 경제적 호황기를 맞았다.
④ 17세기 중반부터 중국인구는 100년만에 2배로 늘어 18세기 초반에 이미 3억에 육박했다.
⑦ 장거리무역이 발전함에 따라 결제 활폐시스템이 발전했다. 동전은 지역 내의 소규모거래와 구매에 사용되었고 장거리 결제와 세금의 지불에는 은이 사용되었다.
⑧ 1720년대 초와 1760년대 사이에 무역량은 5배가 증가했고 18세기 말까지는 8배가 증가했다. 18세기는 전반적으로 농업과 원공업화의 팽창시기였다.
① 1830년대에 들어서 아편이 본격적으로 문제시되었다. 19세기 이후 아편밀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그 결제수단인 은 이 막대하게 유출되었다.
② 이는 통화 공급축소, 물가하락, 농민의 세금부담가중 등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③ 만주족정규군인 팔기군병사와 관리들에게 퍼지면서 사회통제체제가 이완되었고 각종반란을 효과적인 진압능력이 현저 히 떨어졌다.
④ 푸젠도어사 장원의 상주 이후 아편밀수가 은 유출을 일으킨다는 인식이 일반화되기 시작하고 사회경제의 붕괴주범으로 서 아편문제가 재인식되었다.
- 18세기 말 이래 현저화한 사회질서의 붕괴와 재편이 가속화 되었다
- 기독교의 유입, 해운의 흥성 등의 영향으로 태평천국운동이 중국 내에서 발생하여 14년간이나 끌면서 중국을 초토화 시켰다.
- 1879년 류큐 왕국은 일본의 오키나와 현으로 편입되었고 1884년에는 베트남이, 1894년에는 조선이 조공질서에서 이 탈하였다.
⑨ 청일전쟁의 패배로부터 중국은 큰 충격을 받았다. 이로부터 중국은 반식민지 상태로 접어들게 되었다.
④ 청일전쟁에서 패배한 후 물질적 근대화의 무력함을 반성하면서 중국정치를 이끌 새로운 양대 세력, 즉 변법파와 혁명 파가 나타나게 된다.
⑥ 그러나 청조의 탄압 속에서도 입헌운동 등 개량적 방법을 제시한 변법파와 체제전복을 주장한 혁명파가 중국지식인을 양분하며 새로운 정치 공간을 형성해 갔다.
① 변법파(개량파)와 혁명파의 논전이 펼쳐진 곳은 베이징이 아닌 도쿄였다.
④ 개량파인 강유위와 양계초의 보황회「신민총보」와 혁명파인 손문의 중국혁명동맹회「민보」도 입헌군주제를 선전하면 서 광서제 복위와 개명전제를 주장하였다.
⑤ 혁명파의 기관지인「민보」와 개량파의 간행물은「신민총보」는 중국을 구할 방법을 둘러싸고 치열한 논쟁을 벌렸다. 그 과정에서 중국의 지식인들은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⑥ 그들이 귀국한 이후 이러한 네트워크는 1911년 신해혁명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① 국내의 혁명정세역시 고양되어갔다. 청조는 의화단운동 실패 후 내외의 정치개혁요구에 수동적이나마 부응해야만 했다.
④ 일본의 번역어를 참조하여 서구서적을 대량으로 번역했는데 번역어를 공유함으로써 근대적지식이 동아시아에서 유통되 었던 것이다.
② 그 대표적인 사례가 사회진화론이다. 사회진화론 중에서도 영국의 스펜서가 주창한 사회유기체설은 경쟁에 의한 사회 발전을 강조하였는데 중국과 일본에서도 크게 환영받았다.
③ 그러나 중국과 일본, 조선의 사회진화론 수용은 달랐다
③ 하지만 비단과 생사생산은 미국의 기계식견직물과 일본생사 때문에 점차 쇠퇴하였다.
⑦ 1차 세계대전 시기에는 유럽 상품이 전쟁수요를 대는데 바빠 수출을 할 여력이 없자 중국 내에서 경쟁력이 약화되고 중국의 근대적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② 민족자본의 성장과 근대적 산업발전을 배경으로 5․4운동이 일어났다. 5․4운동은 중국근현대사상 최초로 성공한 대중운 동인데 그 과정에서 노동자계급이 정치적 세력으로 등장했다.
⑥ 1936년 국가자원위원회는 산업진흥3개년 개획을 입안하여 중공업건설을 계획하였으나 중일전쟁 발발로 실천에 옮기지 못했다.
① 일본은 중국경제의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강력한 성장정책을 추진하여 제1차 세계대전 의 전시 호호아을 누리면서 공업국형 산업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② 오늘날 사회주의체제하에서 추진되고 있는 중국경제의 근대화는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실험의 연속선상에 있다.
④ 중앙정부가 징세권을 행사하게 되었고, 다이묘들을 전원 도쿄로 이주하게 하였다. 이로써 270여 개의 한들은 72개의 현으로 정리되었다.
② 조속히 헌법을 제정하고 의회를 개설하라는 자유민권운동이 크게 일어나자 국가가 혼란에 빠질 것을 우려해 정부의 핵심 세력이 주도하는 것이 필요했다.
① 1889년2월11일 「대일본제국헌법」이 공포되었고 1890년 제1회 총선거가 실시되어 의회가 구성되었다.
③ 권력기관은 내각, 추밀원, 군부, 의회 등이 거의 대등한 위상으로 나열되어 있었다. 각 기관은 천황에 대해서만 책임질 뿐 상호 통제 기능은 약했다.
① 천황의 헌법 제정과 의회 개설 약속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정당이 출현했다.
④ 정부는 의회와 무관한 강대한 정부를 만들고, 의회를 적절하게 통제하면서 국가를 운영하려 했으나 의회와 정당의 세력 은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커져 정부의 통제를 벗어났다.
⑥ 이후 대략 10년 동안 내각구성과 총리선출에서 정우회는 중요한 정치적 기반이었다.
⑨ 1921년 하라가 암살당한 후 일본의 총리는 또 다시 원로 그룹과 천황 측근들에 의해서 정해졌다.
5. 일본 근대정치의 출발을 어떻게 볼 것인가 : 공의의 제도화 과정
① 근대에는‘국민’이 창출되었다. 국민이란 전근대국가의 백성과는 달리 국가에 일체감을 갖고 정치에 참여하려는 지향을 갖는 존재이자 타 국민과는 강한 구별의식을 갖는 존재이다.
③ 메이지정부는 신분에 따른 여행, 복장, 헤어스타일, 직업의 규제를 철폐하여 시각적으로 신분을 구별 짓는 제도들은 거의 없어져 갔다.
① 메이지유신지도자들은 징병제를 부강과 국민의 형성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징병제는 1873년 성립되었다.
③ 의무교육도 국민을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국민상호간에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정치의식, 역사의식이 공유될 필요가 있었다.
① 12세기말 사무라이정권이 들어선 이래 천황에게 정치적 실권이 없었고 일반 백성들에게 널리 알려지지도 않았다.
③ 이처럼 활발한 정치정보의 유통은 이후 네트워크의 형성, 미다어의 발달 및 공론정치의 형성에 그 기반이 되었다.
① 메이지유신이후 일본경제의 특징은 두 가지이다. 첫째, 메이지유신 후 얼마 되지 않아 경제 성장이 시작되었다는 점이 다. 둘째는 경제성장률이 매우 높아다는 점이다.
근대화, 근대국가, 산업화, 자본주의, 부르주아지, 관료, 계급, 젠더, 식민화, 제국주의, 문명 충돌론, 문화적 제국주의, 탈근대주의
'길에게 세상구경을 물어본다. > 이승에서 꿈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 TESAT의 함께 풀어봅시다. (0) | 2013.04.12 |
---|---|
대항해시대 (0) | 2013.02.12 |
미국사 (0) | 2013.02.10 |
산업혁명에 대하여 (0) | 2013.02.09 |
종교개혁 (0) | 201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