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역사탐방 47탄
대한민국은 전쟁 중 - 2
남북갈등,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2012년) - 4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49 노무현 전 대통령 취임 1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0 노무현 전 대통령 취임 2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1 노무현 전 대통령 취임 3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2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3 한미자유무역협정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4 최초의 낙향 봉하마을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5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6 이명박 대통령 취임 1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7 이명박 대통령 취임 2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8 이명박 대통령 취임 3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59 이명박 대통령 취임 4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60 이명박 대통령 취임 5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61 이명박 대통령 취임 6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62 광우병파동과 촛불시위 1~9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76 4대강정비사업 1~3
http://cafe.daum.net/cultureSpice/MS7g/80 용산참사와 쌍용차 사태 1~5
무상급식 지원범위에 관한 서울특별시 주민투표 (2011)
201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서울특별시장 (2011)
대한민국 뉴타운 사업 (2008)
용산참사 (용산4구역 철거 현장 화재 사고) (2009)
쌍용차 사태 (쌍용자동차 노조원 평택공장 점거 농성 사건) (2009)
출처 : 연합뉴스
본 내용은 작성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근현대사” 역사를 좋아하는 학생들에게 교육용으로 제공
하고자 작성한 내용으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재구성하였음을 밝힙니다. 참고문헌으로, 위키 백
과와 포털 <다음>, <네이버>, <구글>의 백과사전 내용과 사진을 인용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사실과 위배되는 내용이나 반론이 있으시면, 쪽지,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 하겠습니다. 또한, 본
글은 특정 단체들과 무관함을 밝힙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오전 9시 51분 평안북도 동창리 발사장에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를 발사했다. 발사된 광명성 3호는 지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은하 3호(銀河-3, Unha-3)는 2012년에 계획 및 실행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실용위성 발사용 우주발사체이다. 광명성 3호를 발사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은하 2호 이후 새롭게 만든 발사체이다. 은하 3호는 당초 김일성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로 계획되었으며, ""국가우주개발계획에 따라 우주개발기관을 확대강화하고 정지위성을 포함해 나라의 경제발전에 필수적인 각종 실용위성들을 계속 쏘아 올리겠다."고 2012년 11월 15일에 유엔총회 제67차 전원회의에서 밝힌 바에 따라 발사되었다.
1> 1차 발사
2012년 3월 16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4월 12일에서 4월 16일 사이 지구 궤도로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어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에서는 3월 28일 광명성 3호 계획을 발표하였고, 2년간 지구궤도 500 km 상공에 있을 위성이라 밝혔다. 이어 2012년 4월 13일 22:38:55 GMT, 계획대로 은하 3호를 발사했지만 2단계에서 속력이 부족하여 실패하였다.
2> 2차 발사
2012년 11월 23일, 디지털글로브 위성사진에서 동창동 미사일 발사장에 새로운 로켓이 건조되는 것이 발견되어 2차 발사 준비 사실이 알려졌다. 이후 2012년 12월 1일,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에서 은하 3호 발사계획을 12월 10일에서 12월 22일 사이로 결정했다고 알렸다. 이후 연기를 발표했다가 정규 일정대로 12월 12일 발사를 하고, 이는 궤도에 안정적으로 광명성 3호를 올려보냈다.
광명성 3호 (2012년 12월 12일)
광명성 3호(光明星 3號)는 김일성 생일 100주년인 2012년 발사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공위성이다.
1> 1호기
당측은 광명성3호 관련 긴급회의에서 2012년 3월 11일 4차 노동당 당대표자회, 2012년 3월 13일 제125기 15차 최고인민회의를 끝내고 태양절 전날인 2012년 4월 14일 오후 2시부터 3시 사이에 발사할 것을 선포했다. 북한은 2012년 4월 12일 광명성 3호 발사준비를 위한 최종 단계인 '연료 주입'까지 완료하였으며 2012년 4월 13일 7시 38분께 발사했다.
북한은 2012년 4월 13일 7시 38분께 장거리 로켓인 은하 3호를 발사했으나 2분 15초(135초)여만에 추락했다.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로켓 은하 3호의 2·3단 본체는 3조각, 1단 추진체는 17조각 등으로 분리되어 추락했으며, 1단과 2단이 분리되었는지는 조사 중이다. 로켓이 상승하면서 1단 추진체가 먼저 폭발했으며, 최고 고도에서 하강할 때 2차 폭발해 2·3단 본체가 3조각으로 분리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선중앙통신은 2012년 4월 13일에 발사된 광명성 3호 로켓 발사가 오전 7시 38분 55초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진행됐으나 "지구관측위성의궤도 진입에는 성공하지 못했다"며 이례적으로 보도했다. 북한은 1998년 8월과 2009년 4월 각각 광명성 1, 2호 발사 이후에는 모두 궤도 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성공했다고 밝혔었다.
2> 2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 서거 1주년을 전후한 2012년 12월 12일 }2호기를 발사했다. 발사는 성공적으로 진행되였으며 위성은 궤도진입에 성공하였다. 러시와와 미국(북미항공사령부)도 위성의 궤도진입성공을 인정하였다. 14일 미국전략사령부(USSTRATCOM)가 운영하는 위성추적사이트 스페이스트랙에 따르면 이달 12일 평북 철산군 동창리 발사된 은하 3호에서 분리된 3개 물체가 우주궤도에 도착했으며 이 가운데 39026번 물체에 KMS 3-2라고 명명했다.
KMS 3-2는 광명성 3호의 머릿글자를 딴 것으로 이는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광명성 3호를 정식 인공위성으로 인정한 것이다. 이로서 북한은 세계에서 10번째로 스페이스 클럽으로 인정 받게 되었다. 현재 스페이스 클럽은 러시아,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영국, 인도, 이스라엘, 이란, 북한 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303802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62187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15&aid=000267352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1&aid=0005583514
23일에 발표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대변인담화
예고된 발사, 끝이 안보이는 터널, 「프레시안」2012-12-06
경기만 북서쪽 북방한계선에 근접한 고도로서 대·소연평도를 중심으로 주위의 여러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연평도라고 하면 대연평도를 가리키는데, 군사분계선에 근접해 있고 꽃게 어장이 형성되어 있어[1], 군사상·어업상으로 대단히 중요한 지역이다.
예전에는 5월 조기철에 1,500척 이상의 어선이 모여들어 파시가 섰으나 현재는 없어지고, 조기 대신 꽃게 어장이 형성되었다. 지리적으로는 인천광역시 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선로(船路)로도 먼 길을 왕래해야 했으며 2010년 11월 23일 포격사태가 발생하면서 연평도 주민 대부분이 인천광역시 도시로 피난하여 생활을 하고 있다. 피난하는 동안에 임시 거처를 김포의 미분양 아파트로 결정되었다. 지금은 파괴된 주택 등의 시설물에 대한 복구작업이 진행되고있어 연평도를 떠났던 주민들이 속속 돌아오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포격 이후 대피시설이 예전보다 보강되었다.
1. 대연평도(大延坪島)는 경기만 북서쪽 북방한계선에 근접한 섬이다. 흔히 연평도로 부른다. 이 곳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매우 가까이 있어 대한민국에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2. 소연평도(小延坪島)는 대연평도 남쪽에 있는 섬이다. 대연평도와 함께 연평도를 구성하고 있다.
백령도(白翎島)
대한민국 인천 서북쪽 옹진반도 앞바다에 있는 대한민국의 섬이다. 대체로 대지상(臺地狀)의 산지를 이루며, 해식애(海蝕崖)는 장관을 이룬다.
주민은 반농반어자가 많으며 중요 어업은 조기잡이이다. 예부터 중국 산둥 반도와의 교통 중계지로 중요하였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매우 가까운 곳에 있는 군사상 요충지이기도 하다. 행정 구역 상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에 속해 있으며 백령면사무소가 있다.
백령도 사곶의 사빈(천연기념물 제391호)
백령도 남포리의 콩돌해안(천연기념물 제392호)
백령도 진촌리의 감람암 포획 현무암 분포지(천연기념물 제393호)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천연기념물 제507호)
대청도(大靑島)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위치한 섬이다. 대청도 주변에 소청도(小靑島), 무인도인 갑죽도가 있다. 북쪽으로 백령도, 동쪽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옹진군과 마주하고, 서 ·남쪽은 황해에 면한다. 황해 해상의 섬 가운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가장 인접해 있는 서해 5도에 속하는 섬들이다.
편암 및 반송층(盤松層)으로 되어 있으며, 대청도의 삼각산(三角山:343m) 등 산지가 많아 농경지는 대청도 북부에 좁게 펼쳐질 뿐이다. 따라서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며, 면내에 어획물 저장시설과 급유시설, 위탁판매장 등 수산업관계 시설이 있다.
산림유전자보호구역
2000년 4월 20일 산림청은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산25-1번지 일원의 1ha와 대청리 281-1번지 일원의 2ha 규모 소나무 숲이 진귀한 임상을 띠고 있어 산림유전자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소청도(小靑島)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있는 섬이다. 옛날 이름은 소암도(小岩島)이다. 신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섬의 남쪽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이루어진 해안인 천연기념물 제508호가 있다. 인천 연안부두에서 1일 2회 쾌속선이 운항되는데, 3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 (천연기념물 제508호)
노무현(盧武鉉, 1946년 ~ 2009년 5월 23일)
김대중 (金大中, 약칭 DJ, 1924년 ~ 2009년 8월 18일)
버락 오바마 (Barack Hussein Obama, Jr. 1961년 8월 4일 ~ )
김정일(金正日, 1941년/1942년 2월 16일 ~ 2011년 12월 17일)
끝
1.
김대중 도서관
|
|
http://cafe.daum.net/cultureSpice/LhPO/3 봉화마을탐방-2 봉화마을탐방-3 문화양념통 4대강 캠핑 |
2.
사람사는세상
노무현 재단
|
| |
3.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
| |
4.
4대강 홍보관
(디아크 문화관) |
고령 강정보 근처
| |
5.
연평도 |
| |
6.
천안 천안함
추모공원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pak0417&logNo=20166248011
| |
7.
백령도
|
| |
8.
대청도
|
| |
9.
소청도
|
|
'길에게 세상구경을 물어본다. > 지식의 피라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현대사 (0) | 2013.01.24 |
---|---|
근현대사 역사탐방 48탄, 문화양념통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선거 (2012년) (0) | 2012.12.19 |
근현대사 역사탐방 47탄, 문화양념통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2012년) - 3 (0) | 2012.12.18 |
근현대사 역사탐방 47탄, 문화양념통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2012년) - 2 (0) | 2012.12.18 |
근현대사 역사탐방 47탄, 문화양념통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2012년) - 1 (0) | 201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