草霧의 세상구경을 시작합니다./도시 상상하기

가공식품 및 외식 영양성분표시 개선방안 마련 포럼

草霧 2014. 1. 15. 12:11

 

 

 

생생리포트2



지난 12월 19일 서울 연세빌딩 중회의실에서 「가공식품 및 외식 영양성분표시 개선방안 마련 포럼」이 열렸다. 이번 포럼에는 각계각층의 전문가들과 소비자들이 함께 참석해 영양성분표시 개선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글_서형숙(서울식품안전 시민리포터)

이번 프로그램 개요는 가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함선옥 교수의 ‘영양성분표시제도의 국제적 동향’ 과 녹색식품연구소 허혜연 국장의 ‘영양성분표시 제도의 소비자 인식’으로 진행됐다. 토론은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윤요한 교수, 식품안전정보원 김지영 책임연구원, CJ푸드빌 김태진 식품안전팀 파트장, 한국식품산업협회 김정년 식품안전부 부장,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이종혜 사무총장 등이 자리해 소비자들과 함께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영양성분표시제도란?
영양성분표시제도란?
영양성분표시제도는 식품표시 항목 중 하나로 가공식품의 영양적 특성을 일정한 기준과 방법에 따라 표현하여 ‘영양’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해주고 소비자들이 식품의 영양적 가치를 근거로 합리적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이다. 영양표시제도의 기능은 소비자 보호수단으로 경쟁상품과 비교하여 소비자의 알 권리를 제공하고, 소비자에 대한 영양교육으로 영양과 함께 건강에 미치는 정보를 올바르게 전달해준다. 또 건전한 식품의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제조업자가 건전한 식품을 생산하고 나아가 식품산업의 국제화에도 대처할 수 있다.

영양성분표시제도의 국제적 동향
영양성분표시제도의 국제적 동향
가천대 함선옥 교수는 외식 영양표시의 해외 현황을 통해 영양표시 법령과 제도를 비교하고 사례조사를 소개했다. 그는 미국 현장조사의 경우 심층면접 결과, 영양표시제도에 대해 여자들이 남자에 비해, 그리고 대졸이상 중상류층 시민들이 그렇지 않은 시민들에 비해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소개했다. 그리고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 올바른 영양표시제도가 정착되기 위한 제언을 했는데 “외식업체가 융통성 있게 표시하도록 허용하고 DB구축 시 신뢰성 있는 출처를 활용하고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영양정보를 최대한 많이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정보에 대해서도 매체, 형식 등의 제한을 두지 않고 최대한 많이 홍보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영양성분표시제도의 현 실태와 소비자 인식
허혜연 녹색소비자 연대 녹색식품연구소 국장은 ‘소비자가 원하는 영양성분표시 제도’라는 주제로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를 중심으로 조사해 본 영양성분표시제도의 현 실태를 보고했다. 그는 먼저 가공식품의 영양성분표시들을 다양한 자료를 통해 보여주며, 영양성분표시를 잘한 제품들과 그렇지 못한 제품들을 소개했다. 영양성분표시가 잘 된 제품들은 제품 전면에 별도로 박스 처리까지 하여 구분하기가 쉽게 되어 있지만, 그렇지 못한 제품들의 경우는 뒷면에 작은 글씨로 처리돼 있어 소비자들이 한눈에 알아보기 힘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패스트푸드점에서의 경우도 영양성분표시안내를 카운터 아래 메뉴판과 함께 부착했거나 메뉴판 자체가 없어 영양성분표시를 볼 수 없는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그리고 가게 한 쪽에 영양표시를 따로 부착해뒀지만 눈에 잘 띄지 않는 장소에 배치해 소비자들이 정보를 찾아 읽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또 영양성분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에게 인식조사를 해 본 결과 (서울 경기 거주 10~50대 소비자 중 최근 1개월 내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를 한번 이상 구매 혹은 섭취 경험이 있는 소비자 520명을 대상) ‘가공식품의 영양성분표시제도의 시행여부’를 ‘알고 있다’는 응답이 72.7%, ‘모른다’는 응답이 27.3%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가공식품의 영양성분표시 항목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적절하다’가 50%, ‘보통이다’가 35.7%, ‘매우 적절하다’가 7.0%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영양성분표시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

영양성분표시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

윤요한 교수는 총섭취량에 대한 표시 등이 허용된 기준치보다 낮은게 현실이라고 지적하고 패스트푸드점의 경우 영양표시를 포장지나 컵 등 눈에 잘 띄는 위치에 표시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를 정부정책에 반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 매체를 통해 홍보활동에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년 부장은 판에 박힌 영양성분 정보는 가독성이 떨어진다며,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가 제공돼야 하는데 그런 점 등이 많이 부족한 실태라며 아쉬운 기색을 내비쳤다. 이런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식품영양이 국민의 건강도모를 위해 꼭 필요한 제도이니만큼 국가가 나서서 영양표시의 항목 조정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김지영 책임연구원은 생산업체가 영양성분 분석의 한계와 문제점을 밝히고, 메뉴분석, 표시값에 대한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타 회사와 선의의 경쟁을 하며 올바른 영양표시토착화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리고 소비자 역시 알 권리를 주장, 개인 스스로 식품을 구입하는데 책임을 갖고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업체에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주고, 소비자에게는 잘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마련해 홍보해줘야 한다고 의견을 내놓았다.


이 날 함께 참석한 소비자들과 다른 관계자들 역시 “식품영양성분의 표시글자 크기가 너무 작아서 안 보인다”, “눈에 잘 띄지 않은 위치에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리고 토론을 마무리하는 시간에는 “기업과 소비자, 그리고 정부가 사회적 책임을 안고 올바른 영양성분표시제도를 정착해하는데 힘쓴다면 기업이미지도 홍보되고 판매매출도 좋아지며, 국민들 또한 더욱 건강해져 살기 좋은 국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