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기자 한우진 | 2013.09.11
[서울톡톡] 그동안 2개 노선으로 시범운행을 하던 서울시 심야버스가 9월 12일부터 9개 노선으로 확장, '올빼미버스'라는 이름으로 정식출범한다. 심야버스 노선번호는 밤을 뜻하는 영단어 'Night'의 'N'에다가 출발지 권역번호 + 도착지 권역번호를 붙인 것이다. 서울시의 버스번호 명명법에서는 도봉, 강북, 성북, 노원구를 1번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7번까지 배정되어 있다.(서울시 버스번호 권역구분도 참고)
노선번호 | 출발지 | 경유지 | 종착지 |
N26 | 중랑차고지, 상봉역 | 종각, 신촌역 | 송정역, 강서차고지 |
N37 | 송파차고지, 복정역 | 강남역, 종각 | 구파발역, 진관차고지 |
N13 | 노원역 | 동대문 | 복정역, 송파차고지 |
N16 | 도봉차고지, 도봉산역 | 서울역, 영등포역 | 온수역 |
N61 | 양천차고지, 개봉역 | 강남역, 건대입구역 | 노원역 |
N62 | 양천차고지, 목동역 | 신촌역, 왕십리역 | 면목동 |
N10 | 우이동 | 동대문 | 서울역 |
N30 | 강동차고지, 상일동역 | 동대문 | 서울역 |
N40 | 방배동, 사당역 | 고속터미널 | 서울역 |
심야버스 9개 노선은 유동인구가 많은 서울 전 지역을 지나고 있어 2개 노선으로 시범운행하던 때보다 한층 편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심야버스끼리의 환승이용도 가능하다. 단순한 버스노선체제에서 버스망(Bus Network)으로 진화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하는 서울 심야버스 '올빼미버스'를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지하철과의 대응관계를 이해하면 편리하다. 심야버스는 0시부터 5시까지 운행하지만 지하철은 평일에 1시가 되면 끊긴다. 따라서 지하철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1시가 지나면 지하철 대신 버스를 이용해야 하는데, 지하철 노선과 대응되는 버스노선을 알면 지하철 경로를 그대로 따라가며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서울시 지하철 노선과 심야버스의 대응관계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서울시 지하철과 심야버스의 노선대응표
(작성자 한우진 시민기자) 서울지하철 노선 | 지하철 구간 | 대응되는 심야버스노선 | 1호선 | 서울역~신설동 | N10 | 종각~청량리 | N26 | 동대문~청량리 | N13 | 2호선 | 신촌~건대입구 | N62 | 건대입구~잠실 | 없음 | 잠실~강남 | N13 | 삼성~교대~사당~신림 | N61 | 신림~당산 | 없음 | 당산~충정로 | N26 | 3호선 | 지축~신사 | N37 | 신사~고속터미널~양재 | 없음 | 양재~가락시장 | N37 | 가락시장~오금 | 없음 | 4호선 | 당고개~쌍문 | 없음 | 쌍문~서울역 | N16 | 서울역~동작 | 없음 | 동작~사당 | N40 | 5호선 | 방화~발산 | N26(N62 환승시 목동 가능) | 발산~목동~여의도 | 없음 | 여의도~공덕 | N16 | 공덕~답십리 | 없음 | 충정로~종로3가 | N26 | 종로3가~답십리 | 없음 | 답십리~상일동 | N30 | 강동~마천 | 없음 | 6호선 | 응암~봉화산 | 없음 | (돌곶이~태릉입구) | N13 | 7호선 | 장암~노원 | 없음 | 노원~청담 | N61 | 청담~온수 | 없음 | 8호선 | 암사~잠실 | 없음 | 잠실~복정 | N13 | 9호선 | 개화~등촌 | 없음 | 등촌~당산 | N26 | 당산~신논현 | 없음 |
|
위의 표에서 보듯 모든 심야버스 노선이 지하철과 1:1로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버스차고지의 위치, 휴대폰 통화량을 통해 수요가 많은 노선 선정, 버스가 달릴 수 있는 간선도로 확보 등 종합적인 것을 고려하여 노선을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지하철 노선과 심야버스가 연계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까운 곳까지 심야버스를 타고 가서 택시를 타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예를 들어 7호선 강남구간을 지나가는 심야버스는 없는데, 이 경우에는 2호선 강남구간을 지나는 N61번 심야버스를 타고 가까운 곳에서 내려 목적지까지 택시를 타면 된다.
또한 지하철은 차량기지 위치 등의 이유로 7호선 광명시 구간, 8호선 성남시 구간처럼 시외로 나가지만, 심야버스는 순수한 서울시 노선이므로 경기도로 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역시 기존에 지하철 7호선을 타고 광명시로 가거나, 8호선을 타고 성남시로 가던 승객들은 지하철이 끊긴 뒤, 심야버스를 탈 경우에 가까운 곳에서 내려 택시를 이용하면 된다.
서울시 심야버스는 기본요금이 1,850원이 될 예정이지만,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포함되어 있어서 경기도 버스와 환승이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울시 심야버스를 타고, 주요 환승지점에서 경기도 심야버스를 갈아타면 야간에 경기도까지도 갈 수 있다. 수도권에서 서울과 경기도를 유·출입하는 광역 심야수요도 매우 많은 만큼 꼭 필요한 이용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경기도에는 서울시 심야버스처럼 24시간 운행을 하는 버스가 1개 노선이 있으며, 최대 3시까지 운행되는 노선도 있다. 특히 이들 노선은 심야전용버스가 아니므로 낮에도 운행을 한다.
예를 들어 서울시 심야버스 N40번이나 N61번을 타고 사당역에 가서 경기도 심야버스 7770번을 타면 한밤중이라도 수원역까지 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들 경기도 버스들은 잠실역, 강남역, 서울역, 강변역 등 서울시의 주요 교통 결절점에서 출발하니 잘 알아두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경기도 버스를 포함한 수도권 전체의 자세한 버스정보는 서울시 버스정보 웹사이트 http://bus.go.kr에서 알아볼 수 있다).
경기도 심야버스
경기도 시군명 | 노선번호 | 출발지 | 경유지 | 종점 | 운행횟수 | 운행시간 |
가평군 | 30 | 구암2리 | 상봉역 | 청량리 | 2 | 00:00~00:30 |
고양시 | 1000 | 대화역 | 광화문 | 서울역 | 6 | 00:00~02:50 |
2000 | 교하 | 대화역 | 서울역 | 5 | 00:00~02:10 |
광주시 | 1113-1 | 동원대 | 중부고속도 | 강변역 | 3 | 00:00~01:10 |
500-1 | 잠실역 | 모란역 | 동원대 | 3 | 00:00~01:10 |
1117 | 외대 | 성남 | 강변역 | 1 | 0:00 |
김포시 | 60 | 원흥아파트 | 방화동 | 영등포 | 5 | 00:00~01:30 |
60-1 | 대포리 | 당산역 | 영등포 | 2 | 00:00~00:50 |
1002 | 백석동 | 송정역 | 서울시청 | 5 | 00:00~00:30 |
60-3 | 대명항 | 당산역 | 영등포 | 4 | 00:00~00:30 |
8600 | 대포리 | 당산역 | 서울시청 | 2 | 00:00~00:30 |
남양주시 | 1115-7 | 오남리 | 올림픽대로 | 잠실역 | 3 | 00:00~02:30 |
1670 | 도곡리 | 강변북로 | 잠실역 | 1 | 00:10~00:40 |
23 | 내촌 | 천호역 | 풍산지구 | 3 | 00:00~02:20 |
202 | 진벌리 | 퇴계원 | 청량리 | 3 | 00:30~02:20 |
707 | 내촌 | 오남,사능·신내 | 청량리 | 4 | 00:10~02:15 |
1 | 진벌리 | 구리시장 | 강변역 | 3 | 00:20~02:10 |
9 | 진벌리 | 사능.교문리 | 강변역 | 3 | 00:30~02:30 |
65 | 차산리 | 금곡역 | 청량리역 | 2 | 00:10~01:45 |
1660 | 도곡리 | 덕소 | 강변역 | 1 | 00:10~00:40 |
1000 | 호평동 | 금곡동 | 잠실역 | 2 | 00:00~00:20 |
1100 | 차산리 | 금곡동 | 강남역 | 2 | 00:10~00:20 |
167 | 유기농박물관 | 도농동 | 경동시장 | 2 | 00:00~02:20 |
166-1 | 도곡리 | 도농동 | 경동시장 | 1 | 00:50~01:45 |
1115 | 대성리 | 강변북로 | 강남역 | 1 | 00:00~02:00 |
2000 | 진벌리 | 강변북로 | 강남역 | 1 | 00:00~02:00 |
2000 | 진벌리 | 서울외곽 고속도 | 강남역 | 1 | 00:00~00:30 |
7007 | 내촌 | 서울외곽 고속도 | 강남역 | 2 | 00:10~02:00 |
8001 | 대성리 | 서울춘천 고속도 | 강남을지병원 | 1 | 00:00~01:10 |
8002 | 대성리 | 서울춘천 고속도 | 잠실역 | 1 | 00:10~01:00 |
부천시 | 700 | 부천 상동 | 서울 목동 | 여의도 | 6 | 00:00~03:30 |
83 | 부천테크노파크 | 오류동 | 여의도 | 8 | 00:00~03:00 |
수원시 | 7770 | 수원역 | 과천-의왕 | 사당역 | 14 | 24시간 |
3000 | 오목천동 | 과천-의왕 | 강남역 | 6 | 00:00~02:00 |
5100 | 경희대 | 경부고속 | 양재역 | 6 | 00:00~01:50 |
5300 | 갈곶동 | 경부고속 | 신논현역 | 3 | 00:00~01:00 |
3003 | 오목천동 | 경부고속 | 강남역 | 2 | 00:00~00:30 |
3007 | 수원터미널 | 경부고속 | 강남역 | 6 | 00:00~02:00 |
7000 | 신갈 | 과천-의왕 | 사당역 | 7 | 00:00~02:00 |
7001 | 수원터미널 | 과천-의왕 | 사당역 | 3 | 00:00~00:30 |
안산시 | 5601 | 반월공단 | 광명 | 여의도 | 3 | 00:00~01:20 |
320 | 반월공단 | 영등포역 | 여의도 | 3 | 00:20~01:20 |
안양시 | 3030 | 군포 공영차고지 | 과천 | 신사역 | 4 | 00:00~01:20 |
용인시 | 1005-1 | 단국대 | 강남역 | 서울역 | 13 | 00:00~02:00 |
성남시 | 5001-01 | 명지대 | 경부고속 | 강남역 | 6 | 00:00~01:20 |
5500 | 광교차고지 | 수지 | 광화문 | 4 | 00:00~01:45 |
9000 | 죽전 | 분당 | 서울역 | 5 | 00:00~01:00 |
6900 | 광교차고지 | 수지 | 잠실역 | 1 | 00:00~00:20 |
의정부시 | 111 | 민락동 | 종로3가 | 종로1가 | 6 | 00:00~02:50 |
36 | 연천 | 도봉산역 | 수유동 | 2 | 00:45~03:30 |
하남시 | 9301 | 하남공영 | 천호대로 | 광화문 | 10 | 00:00~02:00 |
30-3 | 공릉차고지 | 천호동 | 잠실역 | 3 | 00:10~00:30 |
(자료: 경기도 버스정보시스템, 2013년 7월 기준,
http://me2.do/xEoBkFgv)
서울시 심야버스의 특징은 심야전용노선이고 낮 시간에 운행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데 낮 시간에 운행하는 버스 중에서도 밤 늦게까지 운행하는 버스들이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을 출발하여 답십리, 잠실역, 가락시장, 복정역 등을 지나 성남과 분당으로 가는 9403번 광역버스가 대표적이다. 이 노선은 서울에서 출발하는 막차가 새벽 2시 40분경까지 운행된다. 이 정도면 심야버스로 손색이 없을 터. 더구나 서울발 첫차는 4시 15분경부터 있으니 약 1시간 30분을 제외하면 사실상 심야에 계속 운행하는 버스인 것이다.
<서울시 지하철과 심야버스의 노선대응표>에서 보았듯이 2호선 건대입구~잠실 구간에 심야버스가 없지만 9403번 버스를 이용하면 구의역~잠실역 구간을 이용할 수 있어서, 심야버스가 없는 구간의 귀중한 대체노선이 된다. 이렇듯 심야에 늦게까지 운행하는 기존 버스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서울시의 심야버스 운행은 올해 상반기 서울시를 빛낸 10대 정책 시민투표 2위로 선정되는 등 시민들의 높은 호응을 받고 있다. 지하철과의 연계운행, 경기도 심야버스와의 연계운행, 막차시간이 늦은 기존 버스의 적극 활용 등 다양한 활용방법을 통해 시민 모두가 심야버스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