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여행자가 세상구경을 말한다./草霧의 수다떨기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草霧 2013. 5. 15. 11:50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1897년 10월11일 고종은 신하들을 대거 거느리고 환구단에 나아가 하늘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 뒤 황제 즉위식을 갖고 대한제국을 선포했다. 그러나 일제는 1913년 환구단을 헐고 그 자리에 조선총독부 철도호텔을 지었다. 따라서 지금은 태조의 신위를 모신 황궁우와 악기를 상징하는 듯한 모습의 석고 세 개만 덩그마니 남아 있다. 과거 하늘에 제사 지내던 신성한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이제 ‘호텔의 장식품’으로 전락해 버린 것이다.’

‘경남 창녕군 영상면에서는 준비과정부터 놀이까지 대단한 규모를 자랑하는 민속놀이인 ‘영산줄다리기’가 전해져 온다. 참여하는 인원만 수천 명을 헤아린다. 마을 사람들은 남녀로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는데, 이상하게도 해마다 이기는 쪽은 힘이 약한 여자 편이다.

 

아이들은 물론 나이가 많아도 장가를 못 간 남자는 여자 편으로 쳐서 여자 쪽 수를 많게 하거나 솔가지나 빗자루로 남자들을 콕콕 찔러서 힘을 못 쓰게 한다. 이렇게 억지로라도 여자 쪽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믿기 때문이다.’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저자
문화재청 지음
출판사
사계절 | 2006-12-05 출간
카테고리
아동
책소개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시리즈 제2권《무형문화재ㆍ민속자료》. 본...
가격비교


 

모두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재들이다. 경복궁 숭례문 수원화성 같은 옛 건축물이나 박물관에 진열된 청자 백자 등 무수한 도자기들만 문화재가 아니다. 또 국보와 보물 또는 몇 호 몇 호 하는 문화재 지정순서가 그 문화재의 가치를 나타내거나 국보가 보물보다 더 중요하다는 생각도 잘못이다. 이처럼 물질적 형태로 남아 있지는 않지만 대대로 이어져 오는 모시짜기를 비롯한 추석 설 단오와 같은 명절,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굿, 판소리 같은 전통음악도 엄연한 문화재이다.

제1권 ‘유형문화재·사적’, 제2권 ‘무형문화재·민속자료’ 등 2권으로 구성된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은 역사 전문 출판사인 사계절과 전문학자, 초중고 현직 교사, 우리나라 문화재 정책에 관한 최고 국가 기관인 문화재청이 손을 잡고 만든 명실상부한 ‘책 속의 문화재 박물관’이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유형문화재는 물론 사적, 무형문화재, 민속자료까지 망라하고 있다. 특히 ‘무형문화재·민속자료’는 어린이 역사책 사상 처음으로 만들어진 단행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그 자체가 문화재인 예술혼을 불사른 설장구 김형순, 남도 들노래 조공례, 가야금 산조 함동정월, 진도씻김굿 박병천, 우리 시대의 명인 소목장 설석철, 명주짜기 조옥이, 조선왕조 궁중음식 황혜성 등 중요무형문화재, 즉 인간문화재들의 삶과 그들이 전승하는 재능이 책에 빼곡히 담겨 있다. 뿐만 아니라 무형문화재의 전승 보유 현황도 일일이 조사해 매 장의 마지막에 수록했다.

책에는 특히 무려 295점에 이르는 화려한 시각 자료가 담겨 어린이들의 시선을 끌어당기고 있다.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1유형문화재 사적(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저자  문화재청 지음     
출판사 사계절 | 2006.12.05    
                       형태 판형 A4 | 페이지 수 215                       
정가 12,800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시리즈 제1권《유형문화재ㆍ사적》. 본 시리즈는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우리 문화유산의 참된 가치와 아름다움을 바로 알게 하기 위해 기획된 책으로, (주)사계절출판사와 문화재청이 손을 잡고 발간하였습니다.

1권 <유형문화재ㆍ사적>는 건축, 그림, 공예, 조각 등의 문화유산에 대해 살펴봅니다. 각각의 문화재는 생생한 사진과 삽화가 실려 있어, 우리 문화유산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책과 함께 신명나는 문화재 여행을 떠나 보세요~! [제1권]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1

저자
문화재청 지음
출판사
사계절 | 2006-12-05 출간
카테고리
아동
책소개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시리즈 제1권《유형문화재ㆍ사적》. 본 시...
가격비교

 

 

미술

1. 풍속화, 옛 사람들의 생활을 엿보다
2. 금강전도, 인왕제색도, 진경으로 보는 우리 산
3. 민화, 그림에 숨은 백성들의 꿈
4. 토기와 도자기, 그릇으로 시대를 읽는다
5. 성덕대왕 신종, 마음에 울려 퍼지는 소리
6. 백제금동대향로, 백제의 타임캡슐
7. 금관총과 금관, 신라의 금세공기술
8. 토우, 신라인들의 생활과 바람
9. 반가사유상, 미륵 정토에 대한 희망

건축
1. 경복궁, 조선의 대표 궁궐
2. 한양의 성문, 숭례문과 흥인지문
3. 설굴암, 돌로 지은 아름다운 절
4. 목탑과 석탑,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건축물
5. 옛날 학교, 성균관, 향교, 서원
6. 오래된 목조 건물, 봉정사 극락전과 부석사 무량수전

과학
1. 첨성대, 신라의 천문대
2. 해시계와 물시계, 똑딱 소리 없는 시계
3. 수표와 측우기, 세계 최초의 기상 관측 기구
4. 고지도, 선조들의 세계관이 담긴 지도

사적
1. 제사유전, 나라의 번영을 기원하는 곳
2. 암사동선사주거지, 신석기 사람들의 생활 모습
3. 백제 성곽, 백제의 수도를 지키던 성
4. 강화도, 외세 침략에 맞선 격전지
5. 화성, 조선 시대의 계획 신도시
6. 고인돌, 권력자의 무덤
7. 무령왕릉, 주인을 알 수 있는 무덤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2무형문화재 민속자료(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문화재청 지음
   출판사사계절 | 2006.12.05    
  형태판형 A4 | 페이지 수 162 |
              정가12,000원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시리즈 제2권《무형문화재ㆍ민속자료》. 본 시리즈는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우리 문화유산의 참된 가치와 아름다움을 바로 알게 하기 위해 기획된 책으로, (주)사계절출판사와 문화재청이 손을 잡고 발간하였습니다.

2권 <무형문화재ㆍ민속자료>는 연극, 무용, 공예, 민속놀이 등의 무형문화재와 민속자료에 대해 살펴봅니다. 각각의 문화재는 생생한 사진과 삽화가 실려 있어, 우리 문화유산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책과 함께 신명나는 문화재 여행을 떠나 보세요~! [제2권]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 2

저자
문화재청 지음
출판사
사계절 | 2006-12-05 출간
카테고리
아동
책소개
『어린이 문화재 박물관』시리즈 제2권《무형문화재ㆍ민속자료》. 본...
가격비교

 

 

1. 무형문화제


음악
1. 종묘제례악, 왕과 와비를 위한 음악
2. 대취타, 장엄하고 씩씩한 행진 음악
3. 가곡과 시조, 양반들이 즐기던 노래
4. 농악, 강아지도 춤을 추는 흥겨운 소리
5. 민요, 잊혀지는 우리 노래
6. 가야금 산조와 병창, 흥겨운 우리 장단
7. 판소리, 이야기가 있는 음악

무용
1. 처용무, 귀신을 쫓아 내는 춤

연극
1. 탈놀음, 마을의 복을 비는 놀이
2. 야류와 오광대, 들에서 노는 한 판 탈놀이
3. 굿, 복은 받고 한은 풀고
4. 발탈, 발에 탈을 씌우는 탈놀이
5. 꼭두각시놀음, 인형들이 하는 연극

놀이
1. 줄다리기, 하나 되는 대동놀이

공예
1. 옹기장, 진흙과 잿물로 그릇을 빚는 장인
2. 대목장과 소목장, 나무의 아름다움을 살리는 사람들
3. 모시, 무명, 명주, 풀과 벌레로 만든 자연 옷감

음식
1. 조선왕조궁중음식, 조선의 음식 문화를 이끈 음식

무예
택견, 우리의 혼이 담긴 무술

2. 민속자료


생활
1. 조선 시대 옷, 조상들의 멋과 유행
2. 강릉 선교장, 옛날 살림집의 모습

신앙
1. 서낭당, 장승, 솟대, 우리 민족의 토속 신앙
2. 풍어제, 기우제, 안택, 공동체의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
3. 세시 풍속, 우리 조상들의 한해살이